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지적장애 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 김유리 1

[요약]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II. 연구방법 3

1. 분석대상 논문 선정 3

2. 분석방법 4

III. 연구결과 4

1. 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4

2. 성교육 교수방법 9

3. 성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10

IV. 논의 및 제언 11

1.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 11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3

참고문헌 15

ABSTRACT 19

초록보기

지적장애 학생은 성학대의 높은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국내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교육과 관련된 총 19편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선정되었고, 그 문헌들은 교육내용, 교수방법, 프로그램 평가방법이라는 3가지 항목에 따라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성교육 프로그램들은 지적장애 학생에게 신체발달, 위생, 임신과 출산, 이성관계, 성학대 예방에 대해서 교수하고 있었으나 신체부위, 데이트 기술, 감정, 학대경험 보고하기 기술을 교수하는 프로그램들은 제한적이었다. 둘째, 이러한 개념과 지식들은 강의, 토론, 역할놀이를 통해 주로 교수되었으며 그림자료, 비디오시청, 실물도구와 같은 시청각자료를 적절히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국내 연구들은 성교육 프로그램을 주로 질문지를 통하여 평가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고 있었으며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평가는 매우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국내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이 토론되었다. 또한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논의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터디-가이드를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 교수가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읽기과제 수행과 정반응율에 미치는 효과 성유진 ;이영선 pp.5-31

보기
자극제시 방법의 차이에 따른 이야기활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표현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소영 ;황보명 pp.33-53

보기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박승희 ;나수현 pp.55-84

보기
통합보육시설에서 보육교사와 장애전담교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배정희 ;조윤경 pp.85-111

보기
건강장애 학생의 학교복귀 지원에 대한 요구 조사 김정연 ;류신희 pp.113-133

보기
다차원적인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김미선 ;박지연 pp.135-160

보기
RAAC 중재 전략이 지적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이윤아 ;김정미 pp.161-183

보기
언어문제 동반 여부가 ADHD 아동들의 이야기 회상 및 이야기 구조 산출에 미치는 효과 이윤경 ;최윤지 pp.185-201

보기
취학전 유창성 장애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비교 이은주 pp.203-218

보기
지적장애 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김유리 pp.219-237

보기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모방능력에 대한 연구문헌 분석 이은주 ;김영태 pp.239-258

보기
발달성 난독증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 고찰 김민정 ;이승복 ;이희란 pp.259-278

보기
복잡성 이론(Complexity Theory)과 특수교육 권정민 pp.279-293

보기

참고문헌 (5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리향(2006). 활동중심 성교육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북: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 강미숙(2002).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이 성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광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3 강정혜(2002).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4 김명희(2003). 인형극 성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5 김순희(2002).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특수학교 중․고등부 학생을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강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6 김승희(2008).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인식과 성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7 김욥(1997). 그림카드를 통한 성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성지식과 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충남: 공주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8 Abuse Pre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소장
9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buse 소장
10 김인숙(2005). 그림설명에 의한 성교육 수업이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성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1 The Perception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bout The Sex Educa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소장
12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sexual education and sexual behaviors: comparison with perception differences on attitudes between mentally retarded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소장
13 박광숙(2003).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성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북: 전북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4 The Effects of a situation 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Femal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소장
15 정신지체아 성교육의 필요정도 및 실천정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소장
16 백윤정(2002). 신변처리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여학생의 성지식과 생리시 신변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북: 우석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7 성폭력피해 7.9%는 장애인(2008, 12, 26). 연합뉴스. 미소장
18 송옥자(2003). 성교육 프로그램이 경도발달장애 중학생 성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남: 창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9 오금주(2001). 성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성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북: 우석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0 이경혜(2005). 성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고등부학생의 성폭력예방기술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남: 인제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1 이경희(2003). 멀티미디어 성교육프로그램 활용이 특수학급 소속 중학생의 성의식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남: 인제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2 The Effectiveness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Mentally Retarded 소장
23 정선경(2008). 사이버커뮤니티를 활용한 가정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4 채말임(2006). ‘동그라미(Circles)’를 활용한 사회-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성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광주: 광주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5 최경화(2008).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성정체감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충남: 공주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6 정신지체아 부모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소장
27 Sexual abu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네이버 미소장
28 Beirne-Smith, M., Patton, J. R., & Kim, S. H. (2006). Mental retardation: An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disabilities(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rson Prentice Hall. 미소장
29 A Review of Sexuality Education Curricula: Meeting the Sexuality Education Needs of Individuals with Moderate and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네이버 미소장
30 Family and peer issues among adolescents with spina bifida and cerebral palsy. 네이버 미소장
31 Briggs, F. (1995). Developing personal safety skill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미소장
32 Sexuality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네이버 미소장
33 Issues in fertility control for mentally retarded female adolescents: II. Parental attitudes toward sterilization. 네이버 미소장
34 Comparative efficacies of supportive and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ies for young children who have been sexually abused and their nonoffending mothers. 네이버 미소장
35 Sex Education and the Prevention of Child Sexual Abuse 네이버 미소장
36 Teaching Self-Protection Skills to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네이버 미소장
37 Kim, Y. R. (2008). Personal safety vocabulary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미소장
38 Kvam, M. H. (2000). Is sexual abu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sclosed? Child Abuse and Neglect, 24(8), 1073-1084. 미소장
39 Sexual abuse of deaf children.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sexual abuse among deaf adults in Norway 네이버 미소장
40 Evaluation of a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Female Chinese Adolesc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네이버 미소장
41 Sexual abuse prevention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네이버 미소장
42 Evaluation of a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네이버 미소장
43 Clinical Findings Among Sexually Abuse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네이버 미소장
44 Training and generalization of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for women with mental retardation. 네이버 미소장
45 Dating-skills group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Social skills and problem-solving versus relaxation training. 네이버 미소장
46 Sobsey, D. (1994). Sexual abuse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Craft(Ed.), Practice issues in sexual and learning disabilities(pp. 93-115). London: Rutledge. 미소장
47 Sobsey, D., & Mansell, S. (1990). The prevention of sexual abus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lletin, 18, 51-66. 미소장
48 Sexually Abused Women with Mental Retardation: Hidden Victims, Absent Resources 네이버 미소장
49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Disabilities in a Hospital-Based Epidemiological Study 네이버 미소장
50 Maltreatment and disabilities: a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al study 네이버 미소장
51 Evaluation of the dating skills program for improving heterosocial interactions in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네이버 미소장
52 Teaching refusal skills to sexually active adolescents 네이버 미소장
53 Whitehouse, M. A., & McCabe, M. P. (1997). Sex education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 229-240. 미소장
54 Wilgosh, L. (1990). Sexual assault and abus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ent’s concerns.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lletin, 18, 44-50. 미소장
55 Child abuse and neglect, facing the challenge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