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로저스의 상담 이론에 드러난 현상학적 방법과 존재의 방식 / 김대현 1
〈요약〉 1
I. 서론 1
II. 로저스와 후설 5
III. 로저스와 하이데거 9
1. 거짓된 자기 개념과 비본래적 존재 양식 11
2. 존재론적인 삶과 본래적 존재 양식 14
VI. 로저스 이론의 고유성 17
V. 결론 19
참고문헌 22
〈ABSTRACT〉 25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국에서의 '어린이철학교육' 수용과정과 그 성격에 관한 연구 | 강기수 | pp.1-26 |
|
보기 |
일제시대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 연구 | 강명숙 | pp.27-53 |
|
보기 |
핀란드 교육의 성공 요인 분석과 논의 | 권충훈 ;김훈희 | pp.55-84 |
|
보기 |
로저스의 상담 이론에 드러난 현상학적 방법과 존재의 방식 | 김대현 | pp.85-109 |
|
보기 |
창의성의 시각에서 바라본 반 고흐 광기 이해의 새로운 교육적 지평 | 김소희 | pp.111-148 |
|
보기 |
Buber와 Bollnow의 인간관과 교육관 :실존적 만남으로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 김철 | pp.149-171 |
|
보기 |
조선조 제주교육사 형성의 동인(動因)으로서 표류에 관한 연구 | 김해영 ;양진건 | pp.173-189 |
|
보기 |
도행지(陶行知)의 학습자중심 교육과정 구성 원리 탐색 | 김향란 ;최화숙 | pp.191-208 |
|
보기 |
형이상학적 지식관과 극복과정의 철학사적 고찰 | 김회용 | pp.209-235 |
|
보기 |
플라톤의 교육목적론의 현대적 의미 | 박덕수 | pp.237-254 |
|
보기 |
Foucault의 권력 개념과 학교교육 | 박병락 | pp.255-272 |
|
보기 |
John Dewey의 반성적 사고와 교육 | 박준영 | pp.273-290 |
|
보기 |
듀이 철학에서 경험 연속성의 교육적 함의 | 송도선 | pp.291-313 |
|
보기 |
한국전쟁기 임시수도 부산지역의 피난학교 연구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안경식 | pp.315-350 |
|
보기 |
듀이 철학에서 정치적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적 방안 | 이주한 | pp.351-372 |
|
보기 |
플라톤의「국가(정체)」와 「파이돈」에 나타난 죽음교육론적 시사점 | 조상식 ;차미영 | pp.373-391 |
|
보기 |
곤재 정개청의 교육활동과 교육론 :16세기 향교 교관 사례연구 | 지정민 ;우용제 | pp.393-41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부버와 로저스의 상담론 비교연구 | 소장 |
2 | 김영필(1998). 현상학의 이해.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3 | 김영필(2002). 현대철학: 후설에서 들뢰즈까지.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4 | 기술시대와 현상학 | 소장 |
5 | 박찬국(2008). “초기 하이데거의 철학을 결단주의나 주의주의로 보는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철학사상, 30집, 165-199. | 미소장 |
6 | 소광희(2003).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강의. 서울: 문예출판사. | 미소장 |
7 | 연문희, 이영희, 이장호(2008). 인간중심상담: 이론과 실제 사례.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8 | 오제은 역(2007). 칼 로저스의 사람-중심 상담.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9 | 이기상(1991).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 서울: 문예출판사. | 미소장 |
10 | 이기상 편저(1993). 하이데거 철학에의 안내. 서울: 서광사. | 미소장 |
11 | 이남인(2004).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12 | 하이데거의 현상학 ![]() |
미소장 |
13 | 이영희(2004). 상담이론의 철학적 조망.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 미소장 |
14 | 이종훈(1993). “후설의 과학주의 비판”. 철학논고, 4집, 77-96. | 미소장 |
15 | 조형국(2009). 하이데거의 삶의 해석학. 서울: 채륜 | 미소장 |
16 | 주은선 역(2009). 칼 로저스 상담의 원리와 실제: 진정한 사람되기.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7 | 한승호, 한성열 역(2008). 칼 로저스의 카운슬링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8 | 한전숙(1997). “후설의 실증주의 비판”. 철학논구, 15집, 9-19. | 미소장 |
19 | Arnett, R.C.(1982). “Rogers and Buber: Similarities, yet Fundamental Differences”. Western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Vol. 46, 358-372. | 미소장 |
20 | Cissna, K. & Anderson, R.(1997). “Carl Rogersin Dialogue with Martin Buber: A new Analysis”. The Person-centered Journal Vol. 4, 4-13. | 미소장 |
21 | Clark, A.J.(2004). “Empathy: Implications of Three Ways of Knowing in Counseling,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 43, 141-151. | 미소장 |
22 | Dreyfus, H.L.(1991). Being-in-the-World: A Commentary on Heidegger's Being and Time. Division 1. Massachusetts: The MIT press. | 미소장 |
23 | Friedman, M.S.(1986). “Carl Rogers and Martin Buber: Self-actualization and Dialogue”. Person-centered Review Vol 1, 409-435. | 미소장 |
24 | Friedman, M.S.(1994). “Reflections on the Buber-Rogers Dialogue”. Journal of Humanistic Review Vol. 34, 46-65. | 미소장 |
25 | Heidegger, M.(1962). Being and Time. trans. by John & Edward.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 미소장 |
26 | Heidegger, M.(1979). Sein und Zeit. Max Niemeyer Verlag Tübingen. 15th. 이기상 역(1998). 존재와 시간. 서울: 까치. | 미소장 |
27 | Heidegger, M.(2000), Zur Sache des Denkens. Max Niemeyer Verlag Tübingen. 문동규, 신상희 역(2008). 사유의 사태로. 서울: 도서출판 길. | 미소장 |
28 | Husserl, E.(1911). Philosophie als strenge Wissenschaft. 박만준 역(1987). 엄밀한 학으로서의 철학. 대구: 이문출판사. | 미소장 |
29 | Husserl, E.(1936). Die Krisis der europäischen Wissenschaften und die transzendentale Phänomenologie. 이종훈 역(1997).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서울: 한길사. | 미소장 |
30 | Husserl, E.(1976). Ideen zu einer reinen Phänomenologie und phänomenologischen Philosophie. Book 1: Allgemeine Einführung in die reine Phänomenologie (1913). 2 vols, Edited by Karl Schuhmann. The Hague: Nijhoff, 1976. 최경호 역(1997). 순수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서울: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31 | Kensit, D.A.(2000). “Rogerian Theory: A Critique of the Effectiveness of Pure Client- centered Therapy”. Counseling Psychology Quartely Vol. 13. No 4, 345-351. | 미소장 |
32 | Kockelmans, J.J.(1999). Edmund Husserl’s Phenomenology. 임헌규 역(2000). 후설의 현상학. 서울: 청계. | 미소장 |
33 | Moran, D.(2001). Introduction to Phenomenology.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34 | Rogers, C.R.(1942).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 미소장 |
35 | Rogers, C.R.(1951). Client-Centered 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 미소장 |
36 | Rogers, C.R.(1961).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 미소장 |
37 | Rogers, C.R.(1980). A Way of Being.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 미소장 |
38 | Thorne, B.(2003). Carl Rogers. 이영희, 박외숙, 고향자 역(2007). 인간중심치료의 창시자: 칼 로저스.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39 | Congruence reconsidered ![]() |
미소장 |
40 | Existential being as transformative learning ![]() |
미소장 |
41 | Wrathall, M.A.(2005). How to read Heidegger. Granta Publications(권순홍 역. How to read 하이데거. 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