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대만·조선총독부의 초기 재정 비교연구 : '식민제국' 일본의 식민지 통치역량과 관련하여 / 文明基 1
I. 서론 - 식민지시대의 대만과 조선: 유사한 통치방식과 상이한 통치효과 1
II. 대만총독부의 초기재정(1895~1906): 재정독립의 조기 실현 5
III. 조선총독부의 초기재정(1910~1919): 〈재정독립계획〉의 실현? 9
IV. 대만/조선총독부의 재정규모와 재원확보 전략 13
V. 결론 - 식민지 재정사의 각도에서 본 '식민제국' 일본의 식민지 통치역량 21
[요약] 23
Korea and Taiwan has both experienced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ut their attitude on the Japanese Occupation since 1945 differed.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one of the main causes for the difference from the financial point of view. During the occupation, Taiwan Sotokufu successfully reached the goal of financial independence earlier than expected, whereas Chosen Sotokufu never succeeded in that goal except for one year(1919). What made this difference occurred? There are a lot of reasons, but this difference most importantly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of the state-society relationship of the two societies, and the difference also was drived from the size of the colony itself.
Colonial period Chosen was larger than Taiwan 6 times in area, and 3~4 times in population, and Japanese central government supported Taiwan Sotokufu financially enough to reorganize taiwan society according to its will and expectation, successfully suppress Taiwan society's resistance. But In Korea, Chosen Sotokufu could not expect enough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because of the central government's limited financial ability, and in result Chosen Sotokufu could not extract revenues from Korean society needed to construct huge scale infrastructure which could be helpful to govern Korean society.
I think that is the main reason the Sotokufu system of Taiwan fairly succeeded, whereas the Sotokufu system of Korea proved to be a general failure. And this point might explain part of the reasons Korean Society sustained so strong Anti-Japanese Attitude since 1945. Tatao Yanaihara, The famous economist and a clearheaded observer on colonial policy, also admitted that direct governorship of Japan (like Sotokufu system) could not be said to be successful at least in Korea. And I think the reason Japanese Imperialism has persisted on applying direct governorship to Korea still need to be answered.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1900년 전후 동북아 3대 전쟁과 군위안소 | 車瓊愛 | pp.1-24 |
|
보기 |
5·4시기 中國의 '제3의 新文明' 건설 탐색 :硏究系 梁啓超를 중심으로 | 姜明喜 | pp.25-60 |
|
보기 |
5·4 신지식인 집단의 출현과 보수주의 :신문화운동에 대한 보수주의의 초기적 대응 | 趙京蘭 | pp.61-89 |
|
보기 |
대만·조선총독부의 초기 재정 비교연구 :'식민제국' 일본의 식민지 통치역량과 관련하여 | 文明基 | pp.91-113 |
|
보기 |
중일전쟁 종결 후 국민정부의 '漢奸' 재산 처리 | 朴尙洙 | pp.115-139 |
|
보기 |
사회주의적 시민 만들기 :1950년대 초기 중국의 집단 신문 읽기의 관행을 중심으로 | 陳細晶 | pp.141-160 |
|
보기 |
현대 한국인의 중국 변방 인식 :수교 이후 여행기를 중심으로 | 兪長根 | pp.161-195 |
|
보기 |
商會, 商會 네트워크와 近代 中國의 政治 變遷 | 李丙仁 | pp.197-209 |
|
보기 |
『繼往開來-香港廠商75年』, 商務印書館, 2009 | 강진아 | pp.211-218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