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조선일보』의 1930년대 영화 관련 활동 / 金勝求 1
〈국문초록〉 1
1. 서론 2
2. 영화 제작 및 영화대회 개최 3
3. 영화제 실시 9
1) 준비 과정 9
2) 개최 상황 17
3) 행사의 의의 21
4. 결론 23
참고문헌 25
1. 자료 25
2. 논저 26
〈제요〉 28
본고는 기존 일제 강점기 영화 연구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은 언론미디어와 영화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언론미디어가 영화를 매개로 어떤 방식으로 활동을 전개했고 그것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런 작업을 위해서 선택한 언론미디어는 『朝鮮日報』였다. 일제 강점기 3대 민간 신문의 하나로 출발한 『朝鮮日報』는 1920년대『東亞日報』와의 경쟁에서 약세를 면치 못하다가 1933년 方應謨의 영입으로 극적인 반전을 시도하였다. 그의 사장 취임 이후 『朝鮮日報』는 다방면에서 경쟁사를 압도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중 하나는 언론미디어의 영향력 확장에 영화를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본고는 이 점을 검토하기 위해서 크게 두 가지 세부 사항을 검토하였다. 활동사진반의 설치를 통한 뉴스영화 및 문화영화의 제작 및 상영, 그리고 다른 하나는 영화제 기획이다. 이 영화제는 일회성 행사에 그치기는 했으나 그 자체로 큰 의미를 가진 것이어서 중요한 고찰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검토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1920년대 말 조선일보사 내에 설치된 활동사진반의 활동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그들은 수해 상황 보도와 같이 속보성이 요구되는 경우나 백두산 등정이나 조선 민속 등 기획성이 요구되는 경우 등 다양한 방면에 걸쳐서 영화를 제작하여 전국적으로 상영했다. 이와 더불어 조선일보사 지국 주최로 열린 영화대회의 양상도 간략하나마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1938년 11월에 개최된 제1회 영화제를 살펴보았다. 이 영화제는 기존에 발간된 영화사 관련 서적들에서는 간략하게 언급하고 지나친 부분인데, 본고에서는 그 문화적 의의를 높이 평가하여 영화제의 준비단계에서 진행 과정까지를 상세하게 추적하여 영화제의 모습을 생생하게 부각시키고, 영화제 개최가 식민지 조선의 영화계에서 갖는 의의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1930년대 조선일보사가 영화 활용에 있어서 지속성과 치밀성, 과감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농사직설』의 편찬과 보급에 대한 재검토 | 김상태 | pp.3-35 |
|
보기 |
『금양잡록』의 농업기술과 농학 | 이종봉 | pp.37-79 |
|
보기 |
18세기 말 우하영의 『천일록』편찬과 농법 정리 | 염정섭 | pp.81-103 |
|
보기 |
통신사가 본 18세기 일본의 산업과 기술 | 김동철 | pp.107-137 |
|
보기 |
유배인 김약행의 <유대흑기>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 최성환 | pp.139-177 |
|
보기 |
식민지기 부산지역 회사자료의 정리와 분석 :『부산부세요람』자료를 중심으로 | 장지용 ;정이근 | pp.179-219 |
|
보기 |
『조선일보』의 1930년대 영화 관련 활동 | 김승구 | pp.221-249 |
|
보기 |
공간과 장소를 통해서 본 어업공동체 :임자도 전장포의 사례를 중심으로 | 박정석 | pp.251-276 |
|
보기 |
<자갈치 아지매>를 통해 본 로컬의 경계 허물기 방식에 대한 고찰 | 차윤정 | pp.277-302 |
|
보기 |
국가 중심화의 표상, '국민교육헌장'의 은유 분석 | 박수경 | pp.303-331 |
|
보기 |
『주역』『손괘』명제에 관한 연구 | 정해왕 | pp.333-364 |
|
보기 |
중세 고려왕조를 유지한 힘, '권농정책' : 「고려시대의 농업생산과 권농정책」, 李正浩 저 <서평> | 한정수 평 | pp.365-371 |
|
보기 |
생태환경사의 관점에서 본 농지개간의 새로운 접근 : 「조선전기 포호정책 연구」, 金東珍 저 <서평> | 이정수 평 | pp.373-382 |
|
보기 |
율곡철학의 독자성 및 개방성, 렌즈 교정하기 : 「율곡학과 한국유학」,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저 <서평> | 유성선 평 | pp.383-388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苦待하시든 조선일보 뉴-쓰는 「거리의 天使」와 其他 名畵와 함께 今日부터 朝劇에 封切」, 朝鮮日報 , 1929. 6. 14. | 미소장 |
2 | 「故人, 스크린에 生動-滿堂 觀衆 肅然 鑑賞-展覽會에는 映畵朝鮮의 總財産 出陳-豪華! 空前의 大盛典」, 朝鮮日報 , 1938. 11. 27. | 미소장 |
3 | 「極光映畵製作所의 “漁火”를 보고」, 朝鮮日報 , 1938. 10. 9. | 미소장 |
4 | 「今夜 上映 프로」, 朝鮮日報 , 1938. 11. 27. | 미소장 |
5 | 「大望의 今日! 遂 開幕-第一回 映畵祭-映畵朝鮮 總動員」, 朝鮮日報 ,1938. 11. 26. | 미소장 |
6 | 「讀者慰安映畵 第一夜 超滿員의 大盛況-아프로 半月동안 續開」, 朝鮮日報 , 1938. 11. 8. | 미소장 |
7 | 「本報 革新 紀念 映畵大會 準備-오는 시월 오, 륙, 칠 삼 일간 本報 楊平支局 主催」, 朝鮮日報 , 1933. 10. 3. | 미소장 |
8 | 「本社 製作의 “朝鮮民俗”-二 作品과 同時 封切」, 朝鮮日報 , 1938. 10. 4. | 미소장 |
9 | 「本社 主催 第一回 映畵祭 展覽會期 二日間 延期」, 朝鮮日報 , 1938. 11. 29. | 미소장 |
10 | 「本社 撮影 水災映畵 釜山서도 盛況-三處 萬餘 觀衆 愕然」, 朝鮮日報 ,1933. 7. 11. | 미소장 |
11 | 「三南 水害 映畵 平壤서 公開-만여 관중에 큰 감격을 주어-本社 平壤支局 主催」, 朝鮮日報 , 1934. 7. 29. | 미소장 |
12 | 「水災映畵 第二日 市內 三處서 盛況」, 朝鮮日報 , 1933. 7. 5. | 미소장 |
13 | 「連 三日의 盛況 映畵祭 名畵鑑賞 閉幕」, 朝鮮日報 , 1938. 11. 29. | 미소장 |
14 | 「映畵 愛好者에 告함」, 朝鮮日報 , 1938. 11. 18. | 미소장 |
15 | 「映畵展」의 三大人氣」, 朝鮮日報 , 1938. 11. 30. | 미소장 |
16 | 「映畵祭 今日 開幕-展覽會場 廊下에서 意義 기픈 開會式!-映畵 關係者와 本社側 關係者 參列下에 十一時부터 一般에 公開」, 朝鮮日報 , 1938.11. 27. | 미소장 |
17 | 「映畵祭 明日로 迫頭!-映畵史 以前 名演技 스떼-지에 再現- 名作 “막다른골목” 實演으로-劇과 映畵의 完全 握手」, 朝鮮日報 , 1938. 11. 25. | 미소장 |
18 | 「映畵祭 異問 奇譚-가지가지의 숨은 이야기」, 朝鮮日報 , 1938. 11. 28. | 미소장 |
19 | 「오리지날 씨나리오 募集」, 朝鮮日報 , 1938. 11. 14. | 미소장 |
20 | 「一般 出品을 歡迎」, 朝鮮日報 , 1938. 11. 14. | 미소장 |
21 | 「全朝鮮的 人氣 集中의 第一回 映畵祭-出品, 投票 整理에 큰 일-異彩를 더할 實演의 妙案」, 朝鮮日報 , 1938. 11. 15. | 미소장 |
22 | 「全州支局 主催 音樂映畵大會」, 朝鮮日報 , 1932. 2. 16. | 미소장 |
23 | 「朝鮮日報 特派 撮影 嶺南 水害 慘況 實寫映畵大會 開催-今 三日 夜 兩 處에서 公開」, 朝鮮日報 , 1933. 7. 3(號外). | 미소장 |
24 | 「通信․寫眞․映畵-本社 特派 大陣容」, 朝鮮日報 , 1936. 7. 28. | 미소장 |
25 | 「投票 經過-雌雄을 다투는 베스트,텐」, 朝鮮日報 , 1938. 11. 18. | 미소장 |
26 | 「팬에게 求하는 映畵祭」, 朝鮮日報 , 1938. 11. 14. | 미소장 |
27 | 「海州映畵大會」, 朝鮮日報 , 1931. 2. 17. | 미소장 |
28 | 「“漁火” 撮影 完成. 錄音次 近日 東京으로」, 朝鮮日報 , 1938. 6. 3. | 미소장 |
29 | 方應謨, 「第一回 映畵祭 開會式 式辭」, 朝鮮日報 , 1938. 11. 28. | 미소장 |
30 | 安鍾和, 「感激의 盛典(答辯)」, 朝鮮日報 , 1938. 11. 28. | 미소장 |
31 | 安鍾和, 「映畵祭前記(一~六)」, 朝鮮日報 , 1938. 11. 20~27. | 미소장 |
32 | 김미현 편, 한국영화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미소장 |
33 | 1920년대 영화문화 주체의 문화적 자의식 | 소장 |
34 | 김화, 새로 쓴 한국영화전사 , 다인미디어, 2003. | 미소장 |
35 |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 「활동사진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소장 |
36 | 신기욱․한기현, 「식민지 조합주의:1932~1940년의 농촌진흥운동」, 신기욱․마이클 로빈슨 편, 도면회 옮김,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 삼인,2007. | 미소장 |
37 | 安鍾和, 韓國映畵側面秘史 , 현대미학사, 1998. | 미소장 |
38 | 兪賢穆, 韓國映畵發達史 , 韓振出版社, 1985. | 미소장 |
39 |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 소도, 2004. | 미소장 |
40 | 정종화, 자료로 본 한국영화사1 , 열화당, 1997. | 미소장 |
41 | 조선일보사 사료연구실 편, 조선일보 사람들-일제시대 편 , 랜덤하우스코리아, 2004. | 미소장 |
42 | 朝鮮日報 70年史 편찬위원회, 朝鮮日報70年史 제1권, 朝鮮日報社, 1990. | 미소장 |
43 | 趙容萬, 日帝下 韓國新文化運動史 , 正音社, 1983. | 미소장 |
44 | 호현찬, 한국영화 100년 , 문학사상사, 2000. | 미소장 |
45 | 홍영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부산근대영화사 , 산지니, 2009. | 미소장 |
46 | 佐藤忠男, 유현목 옮김, 일본영화 이야기 , 다보문화, 1993. | 미소장 |
47 | 映畵年鑑 , 第一書房, 1936. | 미소장 |
48 | http://www.kmdb.or.kr/movie/md_basic.asp?nation=K&p_dataid=00132 (검색일: 2010. 2. 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