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 김영선 1

[요약] 1

1. 들어가기 1

2. 교재의 표준화 및 선행 연구 검토 3

2.1. 교재 표준화의 필요성 3

2.2.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점 6

3. 교재 평가 기준과 내용 9

3.1. 교재 평가를 위한 원리와 전제 9

3.2. 교재 평가 요소와 평가 내용 12

4. 마무리 18

참고문헌 19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peculate valuation criteria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is goal, this theme firstly will establish general valuation principles, and secondly will propose valuation factors. Valuation factors are constitute formal factors and subject factors. This theme managed the most important concept a curriculum for fixing valuation principles and valuation factors. Because the curriculum is a core concept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 textbook is a concrete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 very important valuation concept for textbook valu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김영선 pp.1-20

보기
한국어능력시험의 난이도 분석 연구 :제6회~제8회 시험을 중심으로 김유정 pp.21-46

보기
시간의 연결어미 '-아/어서'의 통사론적 특성을 이용한 지도 방안 김은경 pp.47-69

보기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진단 및 평가에 관한 연구 김은애 pp.71-99

보기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 방안 연구 김현진 pp.101-131

보기
실제적인 대화 자료 작성에 관한 연구 : 대화분석으로 본 청취교재 마쯔자키 마히루 pp.133-161

보기
한국어 교재의 문법 교육 연구 :19세기 말의 교재를 중심으로 박건숙 pp.163-190

보기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분석적 연구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은선 pp.191-210

보기
특수목적외국어교육의 연구주제들 박준언 pp.211-236

보기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 신명선 pp.237-264

보기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의 실제 :「ENJOY 韓國語」를 중심으로 신혜원 ;김은아 ;김은영 pp.265-286

보기
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 이윤진 pp.287-306

보기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담화 정보 활용 이지영 pp.307-331

보기
한국어 능력 평가 체계의 현황과 과제 조항록 pp.333-363

보기
중·한 문화차이의 번역에 관한 소고 주옥파 pp.365-394

보기
어휘 의미를 활용한 유의적 문형 교수 방안 :'-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진기호 pp.395-413

보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서 나타나는 어휘 오류 차숙정 ;송향근 pp.415-436

보기
초급 학습자를 위한 웹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Click Korea'을 중심으로 최은규 ;장은아 ;남수경 ;채숙희 pp.437-457

보기
어휘적 접근법을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Angela Lee-Smith pp.459-497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91)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수 방법, 미소장
2 (199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에 대하여, 미소장
3 (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 기존 교재 검토와 새 모델의 모색, 미소장
4 (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미소장
5 (200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 국제 한국어교육 학회 미소장
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소장
7 (1998) 한국어 교육 자료의 체제 분석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미소장
8 (1999) 한국어 교재의 효율적 개발 방향, 국제 한국어교육 학회 미소장
9 (2000)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한국어 교재의 현황과 개발 방향 , 미소장
10 (2002) 한국어 교재론, 국제 한국어 교육학회 미소장
11 (2004)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국제 한국어 교육 학회 미소장
12 (2001) 영어 교육론, 형설 출판사 미소장
13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소장
14 (1991191-207쪽)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미소장
15 (1999) 서양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국제 한국어교육 학회 미소장
16 (1995) 한국어 발음, 연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7 (1995)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와 내용, 이중언어 학회 미소장
18 (1995) 국어 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9 (2001)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국제 한국어 교육 학회 미소장
20 조항록, (2005) 국내 한국어 교육의 발달 과정과 특징 , 미소장
21 (2005)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하여, 미소장
22 (1997) 개발자 Developer로서의 교사교재 개발 및 교과 과정 개발에서의 교사의 역할, 국제 한국어 교육 학회 미소장
23 (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미소장
24 (1995) Choosing your Coursebook, Macmillan Heinemann 미소장
25 (2003) Materials and Methods in ELT, Malden, Oxford, Victoria; Blackwell Publishing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