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 노경희 ; 지형근 ; 임석현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2. 연구내용 2
II. 이론적 고찰 2
1. 증강현실의 개념과 특성 2
2. 증강현실의 교육적 원리 3
3. 증강현실의 교육 적용에 관한 선행연구 4
4. 증강현실 학습시스템 소개 6
III. 연구방법 6
1. 연구대상 6
2. 검사도구 6
3. 실험설계 및 실험절차 7
4. 자료분석 7
VI. 연구결과 8
1. 학업성취도 분석(가설 1의 검증) 8
2. 학습흥미 분석(가설 2의 검증) 8
3. 몰입 분석(가설 3의 검증) 10
V. 논의 및 결론 10
1. 논의 10
2. 결론 11
참고문헌 11
저자소개 13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백영균, 박주성, 한승록, 김정겸, 최명숙, 변호승, 박정환, 강신천,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2006. | 미소장 |
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형 e-러닝 기반 개인맞춤형 학습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06MC1900-01-0702P, 2007. | 미소장 |
3 |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 |
미소장 |
4 | P. Milgram and F. A. Kishino,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 IECE Tra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Special Issue on Networked Reality), E77-D(12), pp.1321-1329, 1994. | 미소장 |
5 |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Art Education: The Case for ARToolKit Program | 소장 |
6 | Information Systems Concepts Across Two Decades: An Empirical Analysis of Trends in Theory, Methods, Process, and Research Domains ![]() |
미소장 |
7 | Gatner, Gatner's annual Hype Cycle Special Report, 2008. http://imagesrv.gartner.com/pdf/2008_annual_report.pdf.(2009년 10월 1일 검색) | 미소장 |
8 | http://www.google.com/trends?q=Augmented+Reality%2C+Virtual+Reality(2009년 11월 4일 검색) | 미소장 |
9 | 류지헌, 조일현, 허희옥, 김정현, 계보경, 고범석, 증강현실 기반 차세대 체험형 학습모형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 미소장 |
10 | 계보경,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Presence), 학습몰입(Flow),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미소장 |
11 | The Use of 3D Virtual Reality Technique in the web-based Earth science education ![]() |
미소장 |
12 | B. E. Shelton, How augmented reality helps students learn dynamic spatial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Washington, 2003. | 미소장 |
13 | The MagicBook - moving seamlessly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 |
미소장 |
14 | R. Fauland, “Using immersive scientific visualizations for science inquiry: Co-construction of knowledge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s, New Orleans, LA, 2002. | 미소장 |
15 | B. E. Shelton and N. Hedley, “Using augmented reality for teaching earth-sun relationships to undergraduate geography students,” Proceeding of First IEEE International Augmented Reality Toolkit Workshop, Darmstadt, Germany, 2002. | 미소장 |
16 | H. Kaufmann and D. Schmalstieg, “Mathematics and geometry education with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Comptuers and Graphics, Vol.27, pp.339-345, 2003. | 미소장 |
17 | 김정현, 계보경, 서진석, 김남규, 정선미, 이예하, 고범석,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기반의 체험형 학습 콘텐츠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 미소장 |
18 | Relationships among Presence, Learning Flow, Attitude toward Usabilit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 소장 |
19 | 여선민, 증강현실 기반 콘텐츠 활용 수업의 효과성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미소장 |
20 | e-Learning Technology Based on Mixed Reality | 소장 |
21 | 노경희, 김충회, 구성중심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성취, 학습흥미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5권, 제1호, pp.161-181, 2000. | 미소장 |
22 | Interest, Learning, and Motivation ![]() |
미소장 |
23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 |
미소장 |
24 | M. Csikeszentmihalyi, Flow :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1990. | 미소장 |
25 | 안정은, 증강현실 기반 과학교육 학습콘텐츠 구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미소장 |
26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 소장 |
27 | M. Billinghurst, Shared space: explorations in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Washington, 200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