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테마파크 이벤트프로그램 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김시중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1
2. 이론적 고찰 2
1) 테마파크 이벤트프로그램 2
2) 이미지 2
3) 관광자 만족 및 재방문의도 3
3. 조사 설계 4
1) 조사대상과 방법 4
2) 조사대상 테마파크 현황 4
3) 설문지 구성과 분석방법 4
4) 연구모형 및 가설 5
4. 분석결과 5
1) 표본의 특성 5
2)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결과 6
3) 가설 검증 결과 9
5. 결론 11
1) 연구결과 요약 및 실무적 시사점 11
2) 연구한계와 미래연구 제안 11
문헌 12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경북 내성천의 하도 지형 환경 및 퇴적물 분석 | 이광률 ;조영동 ;김대식 ;김증석 ;정우헌 ;조현진 ;윤국현 | pp.85-99 |
|
보기 |
Open channel characteristics on different land cover for Neponset River, Boston, MA | 이자원 | pp.100-109 |
|
보기 |
지명을 통한 장소정체성 재현과 지명영역의 변화 :충주지역 지명을 사례로 | 이영희 | pp.110-122 |
|
보기 |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 ,2 :이동 가구 특성과 선택성 | 최은영 ;구동회 ;조순기 | pp.123-136 |
|
보기 |
농촌지역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 조대헌 ;신정엽 ;김감영 ;이건학 | pp.137-153 |
|
보기 |
테마파크 이벤트프로그램 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김시중 | pp.154-166 |
|
보기 |
사회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문화 다양성'수업 내용 구성 | 김다원 | pp.167-181 |
|
보기 |
세계지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지명 표기와 위치의 문제 | 강창숙 | pp.182-20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동우, 1998, 관광의 심리적 체험과 만족감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25. | 미소장 |
2 | 外國人 訪問客의 主題公園 屬性評價에 관한 實證的 硏究 | 소장 |
3 | 국제산업정보연구소, 1992, 테마파크 개발방향과 수법, 46-51. | 미소장 |
4 | A Study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Local Festival Visitors - focused on Visitors’ Evaluation of Festival Image Attributes - | 소장 |
5 | 김학진, 2002, 주제공원 시설배치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13. | 미소장 |
6 | A Study on Factors of Re-Visit in Bangeo Festival of Jeju region | 소장 |
7 | Articles : The Characteristics of a Life Cycle of a Theme Park - A Case Study of Everland in Yongin , Korea - | 소장 |
8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Korean Tourism Image in the U . S Travel Trade | 소장 |
9 | Determinants of Tourist Satisfaction Process ![]() |
미소장 |
10 | 期待와 知覺된 成果가 觀光者滿足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소장 |
11 | 손에스더, 2007, 테마파크 이용자들의 이벤트 만족도에 관한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63. | 미소장 |
12 | 신찬혁, 1994, 관광지 이미지에 관한 지각구조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61. | 미소장 |
13 | 엄서호, 1994, 관광지 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1(2), 48-61. | 미소장 |
14 | 오은아, 2006, 주제공원 이벤트가 방문객의 만족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18. | 미소장 |
15 | 이경모, 2003, 이벤트학원론, 백산출판사, 서울. | 미소장 |
16 | 추구편익에 따른 주제공원 방문객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소장 |
17 | Empirical Analysis on the Image Specialization on the Regional Festivals ![]() |
미소장 |
18 | 이정은, 2001, 주제공원의 이미지와 방문동기가 관광체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51. | 미소장 |
19 | 이준남, 1992, 주제공원의 재방문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롯데월드, 자연농원, 서울랜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37. | 미소장 |
20 | 韓國 觀光地 이미지 測定尺度의 開發 | 소장 |
21 | 임명재, 2003, 주제공원 이벤트가 방문객 만족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 미소장 |
22 | 정강환, 1996, 이벤트관광전략, 일신사, 서울. | 미소장 |
23 | 정충영·최이규, 2003, SPSS 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서울. | 미소장 |
24 | 최수현, 2004, 테마파크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태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63. | 미소장 |
25 | 최지남, 2003, 테마파크의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57. | 미소장 |
26 | Article :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Event Tourism in the Case of Young - deung Festival at Chindo | 소장 |
27 | Articles : The Cultural Representation and Identity of Regional Symbols Using Regional Festival -In Case of the Hong-gil-dong Festival in Jangseong, Chonnam- | 소장 |
28 | 主題公園 訪問者의 滿足과 訪問後 行動意圖의 決定要因 : 에버랜드를 對象으로 | 소장 |
29 | 한국관광공사, 2009, 국민여행실태조사 2008. | 미소장 |
30 | 한현숙, 2003, 이벤트프로그램이 테마파크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27. | 미소장 |
31 | Czipiel, J. A & Rosenberg, J., 1974, perspectives on consumer satisfaction, AMA educator, Chicago, 87-92. | 미소장 |
32 | Dann, G., 1996, Tourist Images of a Destination: An Alternative Analysis, In Recent Advances in Tourism Marketing, Research, D. R. Fesenmaier, J. T. O'Leary and M. Uysal, New York, The Haworth Press, 41-55. | 미소장 |
33 | Dann, G.. M. S., 1981, Tourist motivation: An appraisal, Annals of Tourism Research, 18, 53-62 | 미소장 |
34 | Garther, W. C., 1993, Image Formation Process, Communication and Channel systems in Tourism Marketing, 191-215. | 미소장 |
35 | Getz, D., 1997, Event Management & Event Tourism, New York; Cognizant Communication Corp., 67-71. | 미소장 |
36 | Hair, Joseph F., Rolph E. Anderson, Ronald L. Tatham, and Wilam C. Black,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Fourth Edition, Prentice-Hall, 95-103. | 미소장 |
37 | Hunt, h. k., 1977,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Cambridge, Marketing Science Institute, 121-132. | 미소장 |
38 | Leisure needs and vacation satisfaction ![]() |
미소장 |
39 | Phelps, 1986, An investigation of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play space allotments, play materials and the social behavior of toddlers, College of Educ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87-93. | 미소장 |
40 | Van De Ven, A. H. and D. L Ferry,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 New York, 1980, 76-8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