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위만을 고려하여 작성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경심, 하상경사, 수심 등 비교적 쉽게 취득할 수 있는 하천의 수리특성인자를 활용하여 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알버타대학에서 제공된 보고서 내용 중 수리실험실 및 자연하천의 수리자료를 활용하여 평균유속 공식인 Manning식과 Chezy식으로부터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이 반영된 조도계수 n값과 C값을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유량을 산정하였다. 제안된 유량산정 방법은 실측치에 근사하여 정확도가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수위-유량관계곡선식에서 추정된 유량과 비교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that can calculate discharge using hydraulic characteristics that can acquire easily-comparatively such as hydraulic radius, bed slope, depth to improve the stage-discharge curve equation considering only stage. Roughness coefficient n value and C value that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ivers is reflected from Manning's equation and Chezy's equation using the measured data of the natural open channel in the report of Albert University estimated and calculated discharge on the basis of thi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was calculated stunningly to measured discharge. And that compared with discharge by existent stage-discharge curv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강우 초기특성에 따른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한 FFC2Q 모형 이종태 ;서경아 ;허성철 pp.245-256

미계측 결측 강수자료 보완을 위한 선형계획법의 검정 유주환 pp.257-264

평균유속공식을 활용한 하천 유량 산정 추태호 ;고덕구 ;이상진 pp.265-273

암거 규격의 수리 설계 유동훈 ;김종희 pp.275-282

동적수질해석모형의 개발과 낙동강에의 적용 권나영 ;최현구 ;유재정 ;한건연 pp.283-294

고해상도 RCM 자료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한강유역의 수자원(이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평가 김수전 ;김병식 ;전환돈 ;김형수 pp.295-308

기후변화와 토지피복변화를 고려한 한강 유역의 수자원 영향 평가 김병식 ;김수전 ;김형수 ;전환돈 pp.309-323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창해, 장석환(2008). “3차 스플라인을 이용한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접점 연결”.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99-203. 미소장
2 윤용남(2008). 수문학-기초와 응용. 청문각. 미소장
3 엔트로피 개념에 의한 유량측정 기법(Ⅱ) -표면유속을 중심으로- 소장
4 Accounting for rating curve imprecision in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likelihood-based methods 네이버 미소장
5 Da Cunha, L.V. (1969). “River mondego, Portugal”. Personal Communication, Laboratorio Nacional De Engenharia Civil, Lisboa. 미소장
6 Ho, Pang-Yung(1939). “Abhangigeit der Geschiebebewegung von der kornform und der Temperature”. Preuss. Versuchsanst. fur Wasserbau and Schiffbau, Berlin, Mitt., Vol. 37, pp. 43. 미소장
7 Lee, Sangjin, and Jeong, Taesung(2009). “Development of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water discharge eatimation in tidally affected rivers”. Journal of Hydraulic Division, KSCE, 13(3), pp. 195-203. 미소장
8 Leon, J.G., Calmant, S., Seyler, F., Bonnet, M.-P., Cauhopé, M., Frappart, F., Filizola, N., and Fraizy P. (2006). “Rating curves and estimation of average water depth at the upper Negro River based on satellite altimeter data and modeled discharges”. Journal of Hydrology, Vol. 328, Issues 3-4, pp. 481- 496. 미소장
9 Majid, Rahimpour, and Mahmoud, F. Maghrebi(2006). “Prediction of stage-discharge curves in open- channels using a fixed-point velocity measurement”. Flow Measurement and Instrumentation, Volume 17, Issue 5, October 2006, pp. 276-281. 미소장
10 Meyer-Peter, E., and Müller, R. (1948). Formulas for Bed Load Transport. Proceedings, Decond Meeting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Hydraulic Structures Research, Stockholm, pp. 26. 미소장
11 Peterson, A.W., and Howells, R.F. (1973). “A Compendium of Solids Transport Data for Mobile Boundary Channels”. HY-1973-ST3. 미소장
12 Flow forecasting for a Hawaii stream using rating curves and neural networks 네이버 미소장
13 Toffaleti, F.B. (1968). “A Procedure for Computation of the Total River Sand Discharge and Detailed Distribution”. Bed to Surface, Technical Report No. 5, Committee of Channel Stabilization, Crops of Engineers, U.S. Army, Novembe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