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석유나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가 발견되기 전에는
식물성 바이오매스 (plant biomass)가 주요 에너지원이었
다. 19세기 crude oil의 발견은 저렴한 액상연료를 만들어
내어 산업화 및 생활수준 향상에 기여하였다. 현재, 석유자
원의 감소와 함께 경제성장에 의한 석유수요 증가, 그리고
화석연료에 대한 정치 및 환경측면의 관심 등이 어우러져,
연료 및 화학원료의 지속가능한 (sustainable) 생산을 위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공정 개발이 절실하다. 이러한 측면
에서, 최근 식물성 바이오매스는 지속가능한 유기성 탄소
원이며, 식물성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 에탄올과 같은 바이오연료 (biofuel)는 지속가능한
액체연료라고 할 수 있다.
바이오디젤은 부족한 석유를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
기 때문에 지난 10여년간 상당한 관심을 끌어왔다. 팜유,
유채유, 대두유 등 식물성 오일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디
젤은 무독성, 생분해성, 낮은 황 함유율로 유해물질 배출이
적고, 거의 CO2-neutral 수송연료이다 [1]. 바이오디젤 생산
에 에너지 투입이 필요하지만, 화석연료보다 온실가스 배출
이 상당히 적으며,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바이오 연료를 생산
할 수 있다면 greenhouse gas neutral 도 가능하다.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북미 및 유럽에서는 높은 곡류 가격
에도 불구하고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2000년 이후
바이오디젤 시장이 10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그 결과 바이
오 연료가 2007년 전 세계 수송 연료의 1.7%를 차지하였
다 [2]. 또한, 최근의 전 세계적인 친환경 녹색성장 정책과
더불어, 각 국에서는 바이오 연료 도입 목표치를 설정하여
정책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적, 정책
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바이오디젤을 포함한 바이오 연료의
비중이 25-3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 국내
에서도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부응하여 향후 바이
오디젤 보급률을 2012년에 3%, 2020년에는 7%까지 확대
하기로 하여, 관련 시장 확대 및 기술개발이 활성화될 것
으로 기대된다 [4].
향후, 바이오디젤 관련 기술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제도적
지원을 위해서는 바이오 디젤의 친환경 특성 및 경제성 등에
대한 보다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한 환경 및 경제성 평가 (environmental
and economic evaluation)를 위한 전과정 평가 (LCA, life
cycle assessment) 연구를 통해, 지구 온난화 지수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에너지 소비량, 생산비용, 생산
기술 및 feedstock에 대한 분석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 디젤의 LCA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최
근의 경제성 및 기술적인 관련 이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전망을 기술하였다.
Biodiesel is a type of biofuel obtained from bioresources and able to use in diesel vehicles as an alternative/
additive to petro diesel. In recent biodiesel research, there are three main issues which include high quality
biodiesel, low cost feedstock and a highly efficient biodiesel production process. The sustainable production
and use of biodiesel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in the renewable energy field. In this paper, we review some
of the literatures related to environmental and economic evaluation for biodiesel production and analysis the
issues including life cycle assessment (LCA),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energy consumption, biodiesel
production cost, production technologies and feedstock.*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