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 송영달 ; 손지아 ; 박순미 1

[요약] 1

I. 문제제기 1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동향 2

1. 독거노인의 실태와 특성 2

2. 노인자살의 개념 3

3. 노인자살의 실태 3

4. 노인자살에 대한 생태체계적 접근의 유용성 4

5. 선행연구의 동향 5

III. 연구방법 7

1. 연구모형 7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8

3. 주요 변수의 측정 8

IV. 연구결과 9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

2. 주요변수의 기술적 분석 10

3.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증 11

V. 결론 및 제언 13

참고문헌 14

[요약] 18

초록보기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생태체계적 관점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개인체계, 가족체계, 지역사회체계로 구분하여 노인자살생각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개인체계 요인 중 우울, 가족체계 요인 중 가족구조, 지역사회 요인 중 사회활동의 참여로 나타났다. 즉 우울이 높을수록, 가족구조에 있어 동거하지 않는 가족이 존재하는 노인들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활동의 참여가 활발하지 않을수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우울에 대한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체계적 제공과 독거노인의 사회참여를 위한 기회 및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노인자살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이 현재의 개인적 접근위주에서 벗어나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전환되어야함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eco-system approa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 this study first classified important variables into three broad categories including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systems and then proposed intervention strategies useful to prevent suicide among the single elderly.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bjects' overall level of suicidal ideation was relatively high. Second, in terms of personal system factor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score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single elderl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depressed, the more they thought about suicide. Third, within the family system fact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derly who had children or grandchildren tended to have more suicidal ideation than others. Finally, as a local community system factor, the participation into soci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in reducing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programs and services for the single elderly in order to prevent suicide. It is also important to vitalize the opportunities and practical programs for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single elderly.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social policies to suicidal prevention for the elderly should move away from overly focusing on individual-level approach and should be directed to multi-dimensional approaches which incorporate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dimens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규칙적인 게이트볼 운동의 참여가 노인남성의 신체조성, 체력 및 생활만족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 소위영 ;김재우 ;최대혁 pp.267-277

보기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김희경 ;이현주 ;박순미 pp.279-292

보기
공적연금 잠재적 사각지대 집단의 일자리 경력 :50대 공적연금 가입자의 일자리 경력에 따른 납부 행태 최옥금 pp.293-310

보기
노인복지관 물리치료실의 물리적 요법이 고혈압 관련 교감신경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 ;김중환 pp.311-322

보기
조손가족 조부모의 소득구성원과 총소득 결정요인 민기채 pp.323-341

보기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입원 후 요실금 발생 예측요인 이지윤 ;윤주영 pp.343-353

보기
방문요양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 재이용의사 간의 관계 분석 권진희 ;한은정 ;강임옥 pp.355-368

보기
재가 치매노인의 증상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 및 전문적 도움 요구 조윤희 ;김광숙 pp.369-383

보기
균형운동프로그램이 당뇨병성 신경병증 노인의 균형 능력, 보행 및 고유감각에 미치는 효과 이경진 ;송창호 ;신승호 ;이승원 pp.385-399

보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서비스 질 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최은희 pp.401-419

보기
가족 상호관계가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조은영 ;조은희 ;김소선 pp.421-437

보기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김숙경 pp.439-451

보기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창환 pp.453-469

보기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김정연 ;이석구 ;이성국 pp.471-484

보기
농촌노인의 의료정보문해력과 약물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 이선아 ;박명화 pp.485-497

보기
한국 고령노동자의 부분은퇴와 노동시장 복귀 우석진 pp.499-513

보기
장·노년기 지원활동 유형과 생성감과의 관계 :연립방정식모형의 활용 홍은진 pp.515-534

보기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정여진 ;안정신 pp.535-550

보기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학진 pp.551-565

보기
노인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증진유형의 관계 이영익 pp.567-583

보기
노인복지전문가의 개인적 특성과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 ;전익기 ;곽정현 pp.585-597

보기
중년 직장 남성의 직업 및 퇴직에 대한 태도 한정란 ;안경실 ;오병철 pp.599-613

보기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이은진 ;배숙경 ;엄태영 pp.615-628

보기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낙관주의 및 적응유연성의 경로분석 정미경 ;이규미 pp.629-642

보기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송영달 ;손지아 ;박순미 pp.643-660

보기
여성 연소노인의 지각연령에 따른 사회무용 지도자 선호에 대한 연구 정문미 ;원영신 ;고대선 pp.661-676

보기

참고문헌 (7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석균(2008).노인의자살생각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 독거노인과동거노인을중심으로.청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권규일·강덕지·함근수·표주연.(1997).자살에관한연구.국립과학수사연구소 연보, 29. 175-193. 미소장
3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소장
4 Life Satisfaction and Socal Support Networ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소장
5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네이버 미소장
6 A study on the Eco-systems paradigm and the methodology in social work practice (1) 네이버 미소장
7 Its Connection to the Welfare Centers for the Activation in the Functions of the Senior Citizen Center 네이버 미소장
8 김영아(2008).노인의자살생각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심리적요인,종교활동및사회활동참여요인을중심으로.총신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네이버 미소장
10 A Path Analysis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소장
11 김형수(2000).한국노인의자살생각과관련요인연구.한국노년학, 22(1), 159-172. 미소장
12 김혜영(2006).노인의자살생각과관련요인에관한연구.이화여자대학교사회복지학과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청소년 자살 소장
14 류현수․이정숙․김주아(2007).가족관계와 복지.동문사 미소장
15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rural elderly 네이버 미소장
16 박순천(2005).노인자살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박영두(1997).생활보호대상독거노인의사회복지서비스에관한연구서울특별시강동구거주자를중심으로.동국대학교행정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박재규(2008).노인자살의증가와예방대책.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정책개발실. 미소장
1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소장
20 Case Study about Elderly Suicide 소장
21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소장
22 보건복지가족부(2008).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실천적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서울:보건복지가족부 미소장
23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mong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소장
24 서지영(2006).노인자살예방을위한자살생각에영향을미치는요인연구.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서화정(2005).노인자살예방을위한사회사업개입전략.부산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거동불편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생태학적 접근 소장
27 신민섭(1992).자살기제에대한실증적연구.연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8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소장
29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Couples and Single Households Elderly 소장
30 오은경(2003).자살생각경험자의심리사회적특성연구:사이버자살위기상담을중심으로.가톨릭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1 오인근(2007).노인자살생각에대한경로분석:저소득지역의가구유형별차이를중심으로.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2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 연구 소장
33 Household Types and Suicide Ideation among Elderly People in Korea 소장
34 이선영(2004)생태체계적관점에서본정신장애인의삶의질영향요인연구.서울여자대학교사회사업학과박사논문 미소장
35 이은주(2004).노인의자살생각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한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Urban Elderly Women 소장
37 장미희(2006).노인의우울과자살사고에관한구조모형.경희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8 장휘숙(2006).성인심리학: 성인발달, 노화, 죽음.박영사. 미소장
39 전병제(1974) SELF-ESTEEM: A TEST OF ITSMEASURABILITY.연세논총, 11(1), 107-130. 미소장
40 노인의 경제상황과 정책적 시사점 소장
41 최광현(2005)노인의자살관념에영향을미치틑요인에관한연구.숭실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2 Household Types an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People 소장
43 통계청. http://www.kostat.go.kr 미소장
44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네이버 미소장
45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소장
46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소장
47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s 소장
48 홍강의(2008).소아·청소년의 자살: 자살의 이해와 예방.한국자살예방협회. 미소장
49 Atchley, R(1994). Social forces & aging. California : Wadsworth Publishing 미소장
50 Atkinson,R. L,Atkinson, R.C, Smith, E. E., Bem,D.J.,& Nolen-Hoeksema, S.(1996). Abnormal Psychology. In R. L. Atkinson(eds.). Hilgard's introduction to Psychology524-533. 미소장
51 Battle, J(1972).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 Report. 42(3). 745-646. 미소장
52 Child maltreatment: an ecological integration. 네이버 미소장
53 Bonner & Rich(1987). Toward a Predic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Suicide and Life ThrateningBehavior, 17, 50-63. 미소장
54 Let's Ask Them: A National Survey of Definitions of Quality of Life and Its Enhancement among People Aged 65 and Over 네이버 미소장
55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belopment: Expremints bynatureanddegin. (이영역. 1995.인간발달생태학.교육과학사) 미소장
56 Presidential Addres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네이버 미소장
57 Suicide and cancer in late life. 네이버 미소장
58 Coopersmith, S(1967).The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H.Freeman 미소장
59 Dubin(1963). Suicide,. plaro Laws Book. 미소장
60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Cambridge, MA: HarvardUniversity Press. 미소장
61 Suicide in older people: mode of death, demographic factors, and medical contact before death 네이버 미소장
62 Life problems and physical illness as risk factors for suicide in older people: a descriptive and case-control study. 네이버 미소장
63 Kemp, A.(1998). Abuse in the family:An introduction. Brook/Cole Pub. 미소장
64 Adolescence: A Developmental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65 A depression paradox theory of suicide 네이버 미소장
66 McCall, P. L.(1991).Adolescent andElderlyWhiteMale Suicide Trends. Journal ofGerrontology, 46, 643-651 미소장
67 Functional versus structural social support, desirable events, and positive affect in older adults. 네이버 미소장
68 NIH Consens Statement Online.(1991).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later life. 9(3). 1-27 미소장
69 Parkin, D., Stengel, E.(1995). Incidence of Suicidal Attempts in An Urban Community Br Med Journal 133-138. 미소장
70 Scocco, P.; De Leo, D(2002). One-year prevalence of death thoughts, suicide ideation and behaviours in an elderly population. Journal of geriatric psychatry, 17(9). 미소장
71 Psychiatric diagnosis in child and adolescent suicide. 네이버 미소장
72 Tilburg, T.G. van, Broese vanGroenou, M., and Thomese, f.(1995). Flow of Support, pp. 131-154 in Living Arrangements and Social Networks of Older Adults, ed. by C.P.M.knipsheer, j.de jong Gierveld, T.G. Van Tilburg and P.a.Dykstra(Eds),Amsterdam: VU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