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국 신문 보도의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고찰 : 6개 종합일간지의 3개 주요 이슈에 대한 보도 성향 분석을 중심으로 / 최현주 1
[요약] 1
1. 서론 2
2. 기존 연구 고찰 3
1) '보수-진보' 개념의 다차원성에 대한 논의 3
2) 한국 신문의 이념성에 대한 기존 논의 고찰 6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8
1) 연구문제 8
2) 연구방법 8
4. 신문의 다양성에 대한 현황 분석 11
1) 외적 다양성: 이슈별 신문들의 보수-진보 스펙트럼 11
2) 내적 다양성 20
5. 결론 및 논의 24
■ 참고문헌 26
Abstract 2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의 이념 갈등과 진보·보수의 경계 | 소장 |
2 | 강정인 (1997). 보수와 진보―그 의미에 관한 분석적 고찰. R. 니스벳, C.B. 맥퍼슨, 강정인.김상우 (역),『에드먼드 버크와 보수주의』,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3 | 신문보도의 주관성과 객관성 | 소장 |
4 | 김성완 (2004). 신문위기 극복은 신뢰회복이 우선.『미디어오늘』 6월 30일, 9. | 미소장 |
5 | meta analysis of content analysis research in Korea | 소장 |
6 | Constructing Environmental Issues by Social Movement and Mass Media The Controversies Over the Construction of Dong-Gang Dam | 소장 |
7 | 한국 사회의 진보와 민주주의의 발전 ![]() |
미소장 |
8 | The Political Attitude of Newspapers and the Coverage of Political Scandal | 소장 |
9 | 박재영 (2006). 뉴스 평가지수 개발을 위한 1면 머리기사 분석.『한국의 뉴스미디어 2006: 한국 저널리즘과 뉴스미디어에 대한 연차보고서』. 서울: 한국언론재단, 147~220. | 미소장 |
10 | 박재영(2009). 한국 언론사들의 정파성 지형. 2009년 저널리즘실행위원회 심층연구 결과발표 세미나『언론의 정파성 문제』, 한국언론재단. | 미소장 |
11 | The Influence of Media Critique on Credibility Perception as Third-Person Effects | 소장 |
12 | A Study on the Rhetorical Devices to Enhance the Factuality in the News of the Society Pages in Korean National Newspapers | 소장 |
13 | 안병영 (2003). 사회개혁의 성숙한 길―보수와 진보의 바른 만남,『철학과 현실』, 통권 제57호, 29~36. | 미소장 |
14 | A Comparative Analysis of News Frames on "The KTX Tunnel Project in Mount Chonsong" between National and Local Newspapers | 소장 |
15 | Korean Newspaper’s Political Orientation Featuring in US Beef Imports Articles : Analysis of Source Information Valence in Five Newspapers | 소장 |
16 | A Comparative Analysis over News Framing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 Headship (Hoju) System: Examining Three Major Korean Dailies: Chosun, Kukmin, Hankyoreh | 소장 |
17 | 이재경 (2004). 저널리즘의 위기와 언론의 미래.『신문과 방송』, 4월호, 240~246. | 미소장 |
18 | Causes of the Crisis in Korean Newspapers : Functional Displacement in Media Use, Provision of Lower Value, and Trust Crisis | 소장 |
19 | 이진영 (2008).『시장 구조의 변화와 보도의 다양성: 민주화 이후 보수.진보 신문의 전략변화』.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0 | 장호순 (2001). 한국 신문의 취재원과 취재경로 분석.『한국언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9~193. | 미소장 |
21 | 정영태 (2002). 진보는 대선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 ‘진보 대 보수’ 구도가 되기 위한 조건들,『월간 말』, 2002년 11월, 54~59. | 미소장 |
22 | Study of the shrinking diversity in news reporting in times of external conflict : Comparison between Chosun Ilbo and Hankyoreh Sinmoon | 소장 |
23 | 언론개혁에 관련된 담론 분석 : 《조선일보》와《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소장 |
24 | Korean Press and Discourse of Ideology | 소장 |
25 | Human Genome Frames of Korean Press: The Analysis of Chosunilbo, Gukminilbo, and Hangurae Newspapers' Editorial and Column | 소장 |
26 | 한국에서의 진보-보수적 태도의 구조와 유형에 대한 연구 | 소장 |
27 | 민주적 공론장에서의 담론적 실천으로서 '진보-보수-관계'의 작동과 그 한국적 상황 : '진보-보수-담론'의 성립 조건에서 본 한국 정치문화의 부실성 | 소장 |
28 | 황치성 (2008).『갈등이슈 보도의 새로운 접근』. 서울: 한국언론재단. | 미소장 |
29 | Measurement of Radicalism-Conservatism ![]() |
미소장 |
30 | Eysenck, H. J. (1944). General Social Attitude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9, 207~227. | 미소장 |
31 | Primary Social Attitudes ![]() |
미소장 |
32 | Kerlinger, F. (1972). The Sturcture and Content of Social Attitude Referents: A Preliminary Stud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2, 613~630 | 미소장 |
33 | Kerr, W. (1946). Tulane Factors of Liberalism-Conservatism: Manual of Instructions, Chicago: Psychometric Affiliates. | 미소장 |
34 | Untangling the Liberalism-Conservatism Continuum ![]() |
미소장 |
35 | Kitschelt, H. (1994). The Transformation of European Social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Inglehart, R. (1977). Silent Revolution: Changing Values and Political Styles among Western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7 | Lipset, S. M. (1960). Political Man, New York: Double Day. | 미소장 |
38 | Diversity as a Media Policy Goal: a Strategy for Evaluative Research and a Netherlands Case Study ![]() |
미소장 |
39 | Dogmatism in relation to sub-types of conservatism: Some Australian data ![]() |
미소장 |
40 | Rossiter, C. (1980). Conservatism, In D. I. Sills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Vol. 3, The Macmillan Company and the Free Press | 미소장 |
41 | Seymour-Ure, C. (1991). The British press and broadcasting since 1945. Oxford: Blackwell. | 미소장 |
42 | Shoemaker, P. J. & Reese, S. D. (1996).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Longman. | 미소장 |
43 | The vectors of mind. ![]() |
미소장 |
44 | A new measure of conservatism.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