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수량화방법을 이용한 장애인의 고용변화 추이 / 남기성 ; 천영민 ; 황기돈 1
요약 1
1. 서론 1
2. 분석데이터의 속성 3
3. 노동 속성 변화에 대한 분석 4
3.1. 근로형태의 분포 4
3.2. 고용형태의 변화 5
3.3. 고용형태에 대한 수량화 7
4. 결론 9
참고문헌 10
Abstract 12
본 연구는 일자리의 질적 측면을 파악할 수 있는 고용형태의 변화를 장애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패널 자료를 이용한 추적분석과 다변량 분석 기법인 수량적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한국복지패널로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장애인의 경우 지속적 정규직 유지비율은 비장애인에 비해 낮으나, 지속적 비정규직의 유지비율은 비장애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의 변화비율은 비장애인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일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비장애인의 경우는 2차년에 정규직일지라도 1차년에 비정규직 경험이 있는 패널이 비정규직 경험이 없었던 패널보다 3차년에 비정규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한 정책적 시사점은 정부지원에서 기업체에서 장애인의 의무비율 유지만이 아니라, 근속기간을 평가기준으로 삼는 것이 장애인의 노동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 job mobilities and changes in job status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is longitudinal analysis which uses a panel data and quantification theory.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from 2006 to 2008, it is explored whether changes in job status is various with respect to physical disabilities. Our results show that sustaining rate of holding regular occupation was lower for the disabled, while the rate of holding non-regular occupation was longer relative to the non-disabled. Another finding is that the disabled are of lower probabilities to become regular workers than the non-disabled, implying a possible existence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ilities. These findings imply more active government intervention needed, letting the disabled to have longer tenure instead of the current employment quota for them.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동현, 김상호 (2001). 직업탐색과 자발적 이직, 2001년 경제학 공동 학술대회, 한국경제학회, pp. 148-164. | 미소장 |
2 | A Study of Choice for Statistical Method on Social Science | 소장 |
3 | 청년층 일자리 이동 후 개인 효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소장 |
4 | Unemployed Women's Characteristics of Types of Job Values and Obstacles to Employment | 소장 |
5 | 신광영 (2004). 계급, 성과 일자리 이동, 한국 사회학회 논문집, Vol. 38, No. 1, pp 25-50. | 미소장 |
6 | Study on Improvement of Coverage Rate in KOWEPS Weight using Raking Ratio Adjustment | 소장 |
7 | A Study on Quantification Methods Using Excel Macros | 소장 |
8 | 이승렬 (2005). 산재근로자의 노동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 미소장 |
9 | 대졸자의 직업이동 실태분석 연구 | 소장 |
10 | 천영민, 이성재 (2009). 대졸자 직업이동 실태분석 -이직 횟수 및 고용기간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 미소장 |
11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한국복지패널 사용자 지침서 200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12 | 허명회 (1998). 수량화방법 I, II, III, IV, 자유아카데미. | 미소장 |
13 | War of the models: Which labour market institutions for the 21st century? ![]() |
미소장 |
14 | Order from Chaos? The Effects of Early Labor Market Experiences on Adult Labor Market Outcomes ![]() |
미소장 |
15 | Job Change Patterns and the Wages of Young Men ![]() |
미소장 |
16 | Neumark, D. (1998). Youth Labor Markets in the U.S.: Shopping Around vs. Staying put, NBER Working Paper No. 658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