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Although fruit grown under sustainable farming conditions is believed to be healthier for humans than is fruit grown by conventional cultivation, little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produced using these two farming systems is available in Korea. Therefore, weinvestigated fruit quality, total poly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Niitaka' pears grown under sustainable and conventional farming management systems. Treatmentsincluded use of a chitin compost admixed with liquid chitin fertilizer (plot A), and use of a chitin compost admixed with liquid chitin fertilizer treated by infrared radiation (plot B). Plots C and D used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s. Fruit qualities at harvest differed between both sustainable plots A and B and the conventional plots C and D. The average values of firmness and total polyphenolic content in fruit harvested from sustainable plots were not significantly greaterthan those of fruit grownin conventional plots, after 60 days of storage. Fruit grown in all plots had low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at harvest but this increased during storage. Fruit from sustainable plot B showed an increased electron donating ability compared with fruit grown using the other systems.

유기농과 관행재배 된 배 과실품질과 페놀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최근에 유기 재배된 과실이 관행재배와 비교해서 건강관련 물질과 관련된 화합물이 다량 분포된다는 연구와 주장이 제기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두 가지 재배방법에 따른 과실품질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기농과 관행으로 재배 된 배 ‘신고’의 과실품질과 폴리페놀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처리는 키틴 복합퇴비+키틴 액비(구역 A), 키틴 복합퇴비+적외선으로 처리 된 키틴 액비(구역 B), 그리고 관행재배 시스템(구역 C와 D)으로 나누었다. 처리구간에 따른 수확기 과실 품질은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과실 저장 60일 후 유기농 구역 A와 B에 서 재배된 과실의 경도와 페놀함량의 평균은 관행 재배구보다 약간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모든 구역에서 수확 시기에는 낮은 함량의 폴리페놀 산화효소 활성을 나타냈으나, 저장 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기 재배구인 구역 B는 다른 재배구들에 비교해서 과실 내 높은 전자 공여도를 나타내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Fruit quality,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 obtained from a sustainably managed vs conventionally managed asi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orchard Jung-An Jo ;Wol-Soo Kim ;Hyun-Sug Choi pp.169-173

Quality changes in 'Hayward' kiwifruit wine fermented by different yeast strains Korsak Towantakavanit ;Yang-Kyun Park ;Yong-Seo Park pp.174-181

흑삼추출액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저온 저장 중의 품질 특성 모은경 ;김승미 ;윤범식 ;양선아 ;제갈성아 ;최영심 ;이선영 ;성창근 pp.182-189

고압처리가 신선 과채음료의 저장기간 중 품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경 ;이용현 ;이와하시 유미코 pp.190-195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한 젤라틴 필름의 딸기에의 포장 적용 임금옥 ;장성애 ;김주연 ;김현진 ;송경빈 pp.196-201

초음파와 ascorbic acid의 병용처리가 신선절단 '홍옥' 사과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장지현 ;문광덕 pp.202-207

올벼쌀의 이화학적 특성 이미경 ;박경숙 ;나환식 pp.208-213

매실의 첨가 형태에 따른 배추김치의 발효 및 품질 특성 김규란 ;박나영 ;이신호 pp.214-222

옹기의 재 사용이 어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순경 ;최동만 ;정용면 ;신동주 pp.223-229

열수 살균 조건에 따른 과육 함유 사과주스의 품질 변화 박난영 ;김재화 ;우상철 ;정용진 pp.230-235

마카 추출액 첨가에 따른 시럽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성 정해정 ;박한나 ;추영란 ;전인숙 ;강용수 pp.236-242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세이지분말 첨가 된장의 관능적 특성 김미림 ;정지숙 pp.243-249

미강 분말 첨가 파운드 케이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장경희 ;강우원 ;곽은정 pp.250-255

건조 전처리 방법으로써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사과절편의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보수 ;이원영 pp.256-260

식물체 플라보노이드 성분 분석을 위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 박진순 ;황인욱 ;정호철 ;김숙경 ;정신교 pp.261-266

동백나무 잎 용매분획물의 황산화 및 항암 활성 김진희 ;정장호 ;심기환 pp.267-274

포도박 농축액을 이용한 분말 제조 장원석 ;신남섭 ;송정희 ;박용덕 ;노용택 pp.275-280

미강의 γ-oryzanol 및 생리활성물질의 에탄올 추출공정 최적화 조인희 ;최용희 pp.281-289

100종 브라질 식물 추출물로부터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치료를 위한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제의 선별 김미선 ; 안선미 ;e정인창 ; 권기석 ; 손호용 pp.290-296

장수상황버섯과 마황을 이용한 고체발효 추출물로부터 항아토피 활성의 분석 신용규 ;허진철 ;이진형 ;이상한 pp.297-300

계육의 창상부위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동정 김현진 ;천호현 ;김주연 ;장성애 ;이봉덕 ;채현석 ;송경빈 pp.301-306

경북 죽장지역 토종꿀의 고품질화를 위한 특성 비교 이현진 ;박철홍 ;손형우 ;남동윤 ;이시림 ;박경화 ;허진철 ;이상한 pp.307-310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cological Apple Production: a Comparison of Organic and Integrated Apple-growing 네이버 미소장
2 Effects of composts and soil amendments on soil microflora and Phytophthora root and crown rot of bell pepper 네이버 미소장
3 Activity and Differential Induction of Chitinase Isozymes in Soybean Cultivars Resistant or Susceptible to Root-knot Nematodes. 네이버 미소장
4 Singh, P.P., Shin, Y.C., Park, C.S., and Chung, Y.R. (1998)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with of cucumber by chitinolytic bacteria. Phytopathology, 89, 92-99 미소장
5 The Role of Chitinase of Serratia marcescens in Biocontrol of Sclerotium rolfsii . 네이버 미소장
6 Modul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in organic vs conventional fruit (peach, Prunus persica L., and pear, Pyrus communis L.). 네이버 미소장
7 Are Organically Grown Apples Tastier and Healthier? A Comparative Field Study Using Conventional and Alternative Methods to Measure Fruit Quality 네이버 미소장
8 Chemistry, Biochemistry, and Dietary Role of Potato Polyphenols. A Review 네이버 미소장
9 Lattanzio, V., De Cicco, V., Di Venere, D., Lima, G., and Salerno, M. (1994) Antifungal activity of phenolics against fungi commonly encountered during storage. Ital. J. Food Sci., 1, 23-30 미소장
10 Selected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ted Plants: Ecologic Functions, Health Implications, and Modulation by Pesticides 네이버 미소장
11 Changes in phenol oxidase and peroxidase levels in cocoyam tubers of different postharvest ages infected by Sclerotium rolfsii sacc 네이버 미소장
12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 and antioxidants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 in an H(2)O(2)/NaOH/DMSO system. 네이버 미소장
13 The in vitro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traditional Zulu medicinal plants. 네이버 미소장
14 Whang, H.J., Han, W.S., and Yoon, K.R. (2001)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 in apple. Anal. Sci. and Tech., 14, 377-383 미소장
15 Ferraris, L., Abbatista-Gentile, I., and Matta, A. (1987) Variations of phenols concentrations as a consequence of stresses that induce resistance to Fusarium wild of tomato. J. Plant Dis. Protec., 94, 624-629 미소장
16 CHANGES IN THE ACTIVITY AND SUBCELLULAR DISTRIBUTION OF PPO IN 'DELICIOUS' APPLES DURING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네이버 미소장
17 Faust, M. (ed.). (1989) Nutrition of fruit trees. In: Physiology of Temperate Zone Fruit Trees.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NewYork. p. 53-132. 미소장
18 Apple Orchard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under Organic, Conventional, and Integrated Management 네이버 미소장
19 Seo, J.H., Hwang, Y.S., Chun, J.P., and Lee, J.C. (2001)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d occurrence of skin brow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ally purified polyphenol oxidase in oriental pear fruits. J. Kor. Soc. Hort. Sci., 42, 184-18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