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1, 2학년생의 쓰기 능력 검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보정 교육의 방향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본 진단 도구는 학년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년마다 평가 범주가 각기 다르다. 그리고 어휘나 텍스트 내용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문화적 제약으로 작용할 것으로 간주되는 요소들을 문항에 포함시켰다. 또한 도구의 활용이 용이하도록 교사나 학생에게 익숙한 형식을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배경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2학년 쓰기에서 나타났다. 지역(도시/읍면)에 따른 학년/영역별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서는 1, 2학년에서 모두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학생의 평균도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들을 분석하여 맞춤법 지도, 정교한 어휘능력 신장 및 어휘 확장 훈련, 글쓰기 지도 등의 미도달 학생의 보정 교육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해 쓰기 발달 과정 연구,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쓰기 진단 도구 개발, 다문화가정 학생과 지도 교사를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문학 연구의 활성화가 대학 글쓰기 교육에 미친 영향과 전망 : 문화연구와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란 pp.9-41

문학체험의 자기화를 위한 문화 혼융의 글쓰기 정재찬 pp.43-79

소설 재창작 활동의 구상 정호웅 pp.81-105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주세형 pp.109-136

어휘 선택과 표현의 효과 : 상하위어를 중심으로 신명선 pp.137-168

필자의 이원 해석 구조와 쓰기 지도 방법 전제응 pp.169-192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읽기, 생각하기, 글쓰기 수업 모듈 배식한 pp.193-225

한국 초둥증 학생의 서사 표현력 발달 연구 임경순 pp.227-271

초등학교 1, 2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쓰기 기초학력 검사 결과 및 문항 분석 홍은실 ; 민병곤 ; 안현기 pp.273-302

서사 표현으로서 자기 소개서 쓰기의 본질 김근호 pp.303-336

쓰기 과제 제시 방식이 쓰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평가 기준과 계획하기 시간 제시를 중심으로 이병승 pp.337-361

초등학생의 글쓰기에서 고쳐쓰기 양상 분석 : 초등학교 2학년 학생 3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건아 pp.363-405

이덕무 산문의 생태적 글쓰기와 그 의미 박수밀 pp.407-434

이양하(李敭河)의 글쓰기 환경 연구 : 교육체험과 세계관을 중심으로 배수찬 pp.435-462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과학기술부(200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 국어, 도덕, 사회』,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79, pp.1-204,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2 국립국어원(2008), 『국민의 기초 문해력 조사』, 국립국어원. 미소장
3 다문화 가정 자녀의 상담 지도 사례 소장
4 An Exploratory Study on Variables of Writing Ability for Identifying Low Achievers in Written Expression 소장
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gnitive & Affective Learning Style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소장
6 김정호, 이화진, 채선희, 김진숙, 박태호, 이재승, 황혜정, 윤현진, 조미혜, 양종모, 이경언(1999), 『초등학교 1, 2학년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보고 RRC 99-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7 남명호 외(2008), 『2007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연구: 종합』, 연구보고 CRE 2008-5-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8 Developing the Reading and Writing Diagnosis Tools for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소장
9 박경숙, 김계옥, 송영준, 정동영, 정인숙(2004), 『KISE-기초학력검사(KISE-BAAT) 개발연구』, 국립특수교육원. 미소장
10 안현기, 윤희원, 민병곤, 조영미(2009),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언어․인지 진단도구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11 The Investigations on the Test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3rd Grade Student: Centered on Its Concept, Evaluation & Utilization 소장
12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ulticultural Era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roach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소장
13 Multicultural Societ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소장
14 이재분, 현주, 김미숙, 류덕엽(2001), 『초등학생의 언어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RR 2001-2-1.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5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쓰기 기초 학력에 대한 분석-2002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소장
16 정구향, 최석진, 김경희, 이재기, 조영미, 김도남, 강민경, 오희숙, 김태은, 박미영, 조영미(2005), 『2004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연구』, KICE 연구리포트 2005, pp.65-76. 미소장
17 정남미(2005), 『유아언어교육』, 창지사. 미소장
18 한국과 미국의 국가수준 학력평가 방법 비교 : 자국어교과와 기초학력 진단을 중심으로 소장
19 Bachman, L. F.(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0 Bachman, L. F., & Palmer, A. S.(1996), Language testing in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 Psychological Test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Universal or particular competencies? 네이버 미소장
22 Gonzalez, V., & Yawkey, T. D.(1994), “Influence of cognitive,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factors on literacy and biliteracy in young bilingual children”, Education 115(2), pp.230-239. 미소장
23 Linguistic Life Expectancies: Immigrant Language Retention in Southern California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