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국산수화의 의경(意境)에 관한 연구 / 양창석 1

〈요약〉 1

I. 서론 1

II. 의경의 연원 3

III. 산수화에서 의경의 탄생 7

IV. 산수화 의경의 표현 양식적 특징 11

1. 상외지상과 정경교융 12

2. 허실이 상생하는 화면 16

V. 결론 21

【참고문헌】 24

【Abstract】 25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예술의 창작과 이론 및 비평의 중요한 미학범주인 의경(意境)에 대하여 고찰하여 그 연원을 밝히고, 이러한 의경이 산수화에 구현되는 과정과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산수화의 창작과 감상에서도 그 의미가 유효한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의경은 중국예술의 최고의 경지인 바, 의경이란 정경이 서로 융합되어 나타나는 예술형상이며 작가의 주관감정과 객관물경(客觀物景)이 합일되어 형성된 예술경계로써, 의경의 범주는 중국인들이 우주, 인생, 예술, 심미에 대한 깊은 체험과 사고를 내포하고 있으며 풍부하고 다양한 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의경이 생성되는 과정은 구체적이고 유한한 물상, 사건, 정경(情景)을 초월하여 무한한 시간과 공간에 진입함으로써 유한한 상(象)으로부터 상(象) 밖의 상(象)으로 추향(趨向)하는 데 이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중국산수화의 진정한 정신은 자연물상을 그대로 모사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흉금, 기상과 우주의 도(道)를 표현하는데 있으며 이로 인해 화가들은 형사(形似)의 속박을 벗어날 수 있었으며 이는 바로 화면상의 ‘상외지상(象外之象)’의 생성이라는 의경요구에 일치시킬 수 있었다. 또한 산수화 의경의 표현은 상외지상으로 전달될 뿐 아니라, 화면의 여백을 중요시하여 실을 허로 바꾸고 허실을 겸비하여 유한으로 무한을 표현하는 목적에 이르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ace the origin by an inquiry into Yijing which is quite important esthetic category for Chinese arts' creation, theory and criticism. In addition, by looking closely at the process and details of how these Yijing is realized, we will look at how this concept can be valid to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modern Eastern landscape painting. Yijing as the highest level of Chinese arts refers to artistic forms appearing in combination of feeling and setting and artistic boundaries formed by combining artists' subjective emotions and objective objects and views. It implies Chinese people's profound experiences and ideas on universe, life, arts, and esthetics, and contains rich and various ideas. The process of generating such Yijing is reaching the trend from limited images to images outside images, by transcending concrete and limited objects, cases, and scenes and entering into unlimited time and space.

Therefore, the true spirit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 is not to copy natural objects as they are but to express artists' heart and spirit and Dao of the universe, which leads to artists escape from similar shapes and agrees with requirements of Yijing that is the very generation of ‘images outside images’ a screen. In addition, expression of landscape painting yijing is delivered by not only images outside images but it helps to achieve the purpose to express limitedness into unlimitedness by changing substance into pretense due to emphasis on the space on the screen and having both pretense and substan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술영재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강병직 pp.1-43

보기
학교부문 문화역량모델 개발 :미술과 영역을 중심으로 이찬 ;이은적 pp.45-65

보기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 관점으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예술교육 심상보 pp.67-91

보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성도 pp.93-130

보기
대한제국기의 『중등용기화법(中等用器畵法)』 연구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박소영 pp.131-174

보기
중국산수화의 의경(意境)에 관한 연구 양창석 pp.175-199

보기
한국화 감상지도를 위한 ICT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산수화의 이동시점과 산점투시를 중심으로 김귀옥 pp.201-233

보기
내적상상력을 이용한 내러티브 6단계 비평 연구 박남정 pp.235-259

보기
대학교 컴퓨터그래픽 수업에서 인지갈등이 학생들의 창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정현일 pp.261-288

보기
임상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선현 ;최윤희 pp.289-313

보기
Aesthetic education for children in practical field from pre-DBAE to post-DBAE Lee, Min Jung pp.315-337

보기
패러디와 데페이즈망을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최유나 ;손지현 pp.339-369

보기
공공미술의 공공성 이해와 문화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안현정 pp.371-396

보기
미술·도덕 주제중심통합수업이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김정아 ;노용 pp.397-426

보기
(The)Art education philosophy of June King McFee :centering on multicultural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community-based environment art education Kim, Jeonghyo pp.427-448

보기
통합교과를 통한 다문화 미술교육 방안 김혜경 pp.449-467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관식(역)(1990). 중국회화이론사 .葛路(1982).中國古代繪畵理論發展史.서울 미진사. 미소장
2 권덕주 외 (역)(1991). 중국예술정신 . 徐復觀(1973). 中國藝術精神. 서울: 동문선 미소장
3 김기주(1992). 「중국산수화의 기원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미소장
4 중국예술에 있어서의 의경 ( 意境 ) 네이버 미소장
5 성백효 (역주) (2006). 주역전의 上․下. 周易.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미소장
6 안병주․전호근(공역) (2001). 장자 역주 1. 莊子.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미소장
7 유중하 외(역)(2006). 동양과서양 그리고 미학 . 張法(1999). 中西美學與文化精神. 서울: 도서출판 푸른숲. 미소장
8 이상우(1999). 동양미학론 . 서울: 시공사․시공아트. 미소장
9 이재권(1990). 「위진현학에 있어서의 언의지변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미소장
10 임채우(역) (2005). 왕필의 노자주 . 王弼(3세기). 老子注. 서울: 한길사. 미소장
11 임채우(1996). 「왕필 易철학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미소장
12 임준철(2004). 「한시 의상설과 조선 중기 한시의상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미소장
13 意境의 개념 분석 소장
14 郭紹虞 (주편)(2007) 中國歷代文論選 .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미소장
15 古 風(2001). 意境探微 . 南昌: 百花洲文藝出版社. 미소장
16 樊 波(1998). 中國書畵美學史綱 . 長春: 吉林美術出版社. 미소장
17 葉 朗(2004). 中國美學史大綱, .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미소장
18 兪劍華(편저)(1992). 中國畵論類編 . 臺北: 華正書局. 미소장
19 李可染(2000). 李可染論藝術 . 北京: 北京人民美術出版社. 미소장
20 宗白華(2005). 美學與意境 .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미소장
21 宗白華(2008a). 美學散步 .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미소장
22 宗白華(2008b). 宗白華全集 2. 合肥: 安徽敎育出版社. 미소장
23 蒲震元(2004). 中國藝術意境論 .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