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대방태수 장무이묘의 재검토 / 정인성 1

요약 1

I. 장무이묘의 발굴과 연구사 2

II. 조사경과와 출토유물의 재검토 4

1. 조사 경과와 내용 4

2. 출토유물의 재검토 9

III. 장무이묘의 구조에 대한 신 견해 23

IV. 장무이묘의 고구려적 요소 25

V. 결론 29

참고문헌 30

[요약] 31

초록보기

1911년에 발견된 장무이묘는 대방군의 위치를 한강유역으로 보는 기존설을 황해도로 바꾼 결정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되었다. 또한 세키노에 의해서 궁륭상 천장의 전실묘로 복원된 점과 출토된 명문전의 戊申年간지는 이 무덤의 축조시기를 낙랑·대방군의 멸망연대보다 빠른 288년으로 고정시키기에 충분했다. 장무이묘의 연

대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세키노의 복원안은 지금까지 그 어떤 연구자도 의문을 제기한 적이 없다.

그런데 필자는 장무이묘의 조사 과정과 내용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의미있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 했다. 그 하나는 장무이묘에서 출토된 문자전돌의 종류와 내용이 그간의 집성과 다르다는 것인데, 출토 유물의 현지조사를 통해서 이를 바로 잡았다. 뿐만 아니라 이 고분의 천장이 궁륭상이 아니고 석개천장이라는 사실도 밝혀내었다. 이는 대단히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으로 이 무덤의 연대가 궁륭상이기 때문에, 353년으로 알려진 석개천장의 동리묘보다는 최소한 시기가 올라가야 된다는 설명 틀에서 자유로워지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무이묘를 구성하는 많은 속성에서 고구려적인 요소가 발견되는 것을 근거로 장무이묘가 4세기 중엽 이후의 고구려 무덤임을 분명히 했다. 결국 고고학적으로 보아도 장무이묘의 피장자가 대방태수라는 것은 허구의 자칭인 것이 분명하다.

Despite the controversy about location of DaeBang Province(帶方郡) and Provincial office(郡治) caused by JangMui?Tomb and character protrusion that was excavat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rcheology community in Korea have not done any reexamination and verification about the survey

and excavated remains, which seems to a problem.

JangMui?Tomb, which was found around 1911, became a conclusive evidence for amending existing assumption of location of DaeBang Province(帶方郡) from Han River(漢江) area to Hwanghae?do(黃海道). Also, the fact that SEKINO?Tadashi(關野貞) had restored to Brick chamber tombs of Dome ceiling and MuShin?year(戊申年) character of MyungMoonJeon(銘文塼)

has fixe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is tomb to 288 years prior to fall of NakRang(樂걌)·DaeBang(帶方) Province for a long time. It was because of the basic recognition that the Dome typed ceiling precedes before Stone ceiling.

I found many significant facts through reexamining the investigation of JangMui?tomb that was taken in 1911. One of them is that type and contents of character protrusion which was excavated in JangMui?tomb and I fixed it through surveying real data. moreover, the type of tomb ceiling is Stone

type not Dome type. This is really important archeological discovery that can be work as clue which refutes explanation of the age of this tomb. The explanation was that the age of this tomb precedes DongRi?tomb of stone ceiling which is known as A.D 353 because the age of its ceiling is Dome

type. Furthermore, I clarified that many component of JangMui?tomb is the tomb of Goguryo(高句麗) that was built around late 4c.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남리 패총 출토 바지락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 안덕임 ;류동기 pp.5-18

보기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정유진 pp.19-38

보기
대방태수 張撫夷墓의 재검토 정인성 pp.39-69

보기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朴天秀 pp.71-102

보기
榮山江流域 古墳 出土 馬具 硏究 김낙중 pp.103-125

보기
백제 사비기 지방통치거점의 복원을 위한 예비작업 :고고자료와 전통경제권의 비교를 통한 해석 모델의 검토 南浩鉉 pp.127-156

보기
百濟山城 用水施設에 대한 檢討 최병화 pp.157-190

보기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平安·黃海道地方出土 紀年銘塼에 대한 硏究 네이버 미소장
2 國立中央博物館, 1990,『 井內功寄贈瓦☎圖걧』. 미소장
3 굟起煥, 1995,「 4세기고구려의樂걌·帶方地域경영」,『 곎史學報』147, 곎史學會. 미소장
4 한인덕, 1995,「 서북조선의벽돌무덤의성격에대하여」,『 조선고고연구』, 사회과학출판사. 미소장
5 한용걸·오명수, 1999,「 락랑일대벽돌무덤의건축적특징에대하여」,『 조선고고연구』, 사회과학출판사. 미소장
6 임기환, 2000,「 3세기–4세기초위·진의동방정책」,『 역사와현실』40, 한국역사연구회. 미소장
7 國立中央博物館, 2001,『 鳳山養洞里塼室墓』. 미소장
8 國立中央博物館, 2001,『 낙랑』, 솔출판사. 미소장
9 오영찬, 2003,「 帶方郡의郡縣支配」,『 강좌한국고대사』10,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미소장
10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오구라컬렉션한국문화재』. 미소장
11 Sekino Tadashi`s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the Remains of Nakrang: The Memories of the Researching Historical Remains in the time of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소장
12 鄭仁盛, 2006b,「 평양일대고구려벽화고분의고고학적조사」,『 남북공동고구려벽화고분보존실태조사보고서』,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미소장
13 The Making Technique of Nakrang Pottery Pots and Plain Roof-tiles: through Restoring Experiment 소장
14 낙랑 '타날문 단경호' 연구 : 강원지역 원삼국시대 '타날문 토기'의 계보문제와 관련하여 소장
15 鄭仁盛외, 2008,『 일본소재의고구려유물』1, 동북아역사재단. 미소장
16 이현혜·정인성외, 2008,『 일본에있는낙랑유물』, 학연문화사. 미소장
17 굃銀眞, 2009,「 樂걌·帶方塼の製作技法」,『 東アジア瓦硏究』, 東アジア瓦硏究會.(日文) 미소장
18 今西龍, 1912,「 大同江南の古墳と樂걌王氏との關係」,『 東洋學報』2–1, 東洋學術協會. 미소장
19 朝鮮總督府, 1914,『 朝鮮古蹟調査겫報告』. 미소장
20 谷井濟一, 1914,「 黃海道鳳山郡における漢種族の遺蹟」,『 朝鮮古蹟調査겫報告』, 朝鮮總督府. 미소장
21 關野貞, 1914a,「 朝鮮文化の遺蹟」,『 朝鮮古蹟調査겫報告』, 朝鮮總督府. 미소장
22 關野貞, 1914b,「 朝鮮における樂걌帶方時代の遺蹟」,『 人類學雜誌』29–10號, 人類學會. 미소장
23 關野貞·谷井濟一, 1915,『 朝鮮古蹟圖譜』1, 朝鮮總督府. 미소장
24 黑板勝美, 1916,「 黃海道平安南道平安겗道史蹟調査報告書」,『 大正5年度古蹟調査報告』, 朝鮮總督府. 미소장
25 小田겛吾, 1935,『 帶方郡及其の遺蹟』, 朝鮮總督府. 미소장
26 有光敎一, 1959,「 帶方郡遺蹟」,『 圖解考古學辭典』, 平凡社. 미소장
27 岡崎敬, 1963,「 安岳三號墳(冬壽墓)の硏究」,『 史淵』93. 미소장
28 町田章, 1979,「 帶方太守張撫굀墓」,『 世界考古學辭典』, 平凡社. 미소장
29 田村晃一, 1993,「 朝鮮半島겗部の塼室墓について」,『 걩苑考古學』, 天山舍. 미소장
30 東潮, 1993,「 朝鮮三國時代における橫穴式石室の出現と展開」,『 國立곎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47. 미소장
31 谷豊信, 1999,「 中國古代の紀年塼」,『 東京國立博物館紀要』34, 東京國立博物館. 미소장
32 東潮, 2006,『 倭と加耶の國際環境』, 吉川弘文館. 미소장
33 高久健二, 2007,『 樂걌塼室墓の硏究』, 2005~2006年度科學硏究費補助갏(B)硏究成果報告書, 埼玉大學敎養學部. 미소장
34 竹谷俊夫, 2008,「 張撫굀墓塼の觀察所見」,『 王權と武器と信仰』, 同成社. 미소장
35 西谷正編, 2007,『 東アジア考古學辭典』, 東京堂出版. 미소장
36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오구라컬렉션한국문화재』. 미소장
37 國學院大學考古學資料館, 2001,『 國學院大學考古學資料館要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