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어린이 대상 식품광고의 현황과 내용분석 연구 / 한상필 ; 지원배 1

[요약] 1

1. 연구목적과 필요성 1

2. 문헌연구와 연구문제 3

1) 어린이 TV 시청 시간 3

2) 어린이 대상 식품 광고 4

3) 어린이 대상 식품 광고 규제 현황 5

4) 연구문제 7

3. 연구방법 7

1) 어린이 대상 TV 프로그램 시청률 조사 7

2) 어린이 대상 식품광고의 내용분석 8

4. 연구결과 10

1) 〈연구문제 1〉의 연구결과 10

2) 〈연구문제 2〉의 연구결과 12

5. 결론 및 논의 17

참고문헌 18

[요약] 20

초록보기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광고 규제는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어린이 대상 식품광고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 시청률에 있어서 지상파 방송이 케이블과 EBS 방송에 비해 전체 시청률은 높았지만 시청점유율에 있어서는 케이블 방송과 EBS 방송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상파의 경우 오후 5시에서 7시에 어린이 기호 식품 광고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광고매체별로 TV가 인쇄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크푸드 광고가 많이 나타났다. 네째, 어린이 대상 식품광고 표현특성으로 구매욕구 자극과 소비자 현혹 표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광고 자막표시에서도 제품과 관련된 성분표시보다 자사에 유리한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어 중요 정보표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 대상 광고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Children lack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ssages of advertisements because of underdeveloped values and judgement. With a global trend of tightening the restrictions on advertisements targeting children in consideration, food advertisements targeting children were conducted through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while public TV networks have general viewer ratings higher than cable TV stations which cater to children audience and EBS, the cable TV stations and EBS have children's program viewer ratings higher than public TV networks. Second, in the case of public TV networks, the share of children's snack advertisement is the highest from five to seven o'clock p.m. Third, by a medium of advertisement, TV run more junk food advertisements than print media. Lastl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food advertisements targeting children, many expressions about eating habit are intended to induce customers to buy. In addition, other provocative methods such as host selling, certification by outside institutions, celebrities' endorsement, promotion events and free gifts are mostly used. In the case of caption used in the advertisements, they tend to show information which is helpful for the sales more than information about the ingredients, failing to give enough key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To solve these comprehensive problems, the advertisements of the foods with high calories and low nutrition must be restricted and voluntary effort of the advertisement sector is needed more than government measures for the desirable future development of food advertisem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비자 충족 적소 개념을 적용한 프로농구장 내 MPR 매체 효과 연구 유성훈 ;박종민 pp.7-27

보기
광고와 퍼블리시티 간 효과 차이와 두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결합 효과 :소비자 관여도를 중심으로 윤각 pp.29-42

보기
텔레비전 스포츠 프로그램의 협찬 고지광고 효과연구 정용익 ;안대천 ;김상훈 pp.43-58

보기
방송광고대행 수수료 제도의 바람직한 모델 차유철 ;이희복 pp.59-76

보기
공공캠페인 브랜드 자산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김유경 ;문빛 pp.77-94

보기
어린이 대상 식품광고의 현황과 내용분석 연구 한상필 ;지원배 pp.95-114

보기
배너광고와 웹사이트 컨텐츠의 맥락간 일치성 및 광고유형이 광고노출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가려 ;이호배 pp.115-146

보기
직접반응 광고에서 제품유형별 위험감소 전략의 효과에 관한 연구 :지각된 위험수준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허정무 ;조병량 pp.147-164

보기
명품 광고에서 유명인 모델 효과에 관한 연구 :명품유형과 메시지 정보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성희 ;이정교 pp.165-182

보기
이민자들의 문화 정체성과 한국 국가 브랜드와의 관계 전종우 ;이현숙 ;최일도 pp.183-197

보기
불일치 브랜드확장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FCB Grid 모델의 제품범주 이동을 중심으로 최종석 ;김대상 pp.199-225

보기
뉴트리라이트 광고캠페인의 전략적 역할과 브랜드 관리 전략 :배경, 전략, 성과를 중심으로 여준상 ;유창조 ;송환웅 pp.227-241

보기
대한항공 글로벌 에티켓 공익 캠페인 성공사례 김유경 ;전종우 pp.243-251

보기
풀무원 건강생활의 '풀무원 식물성유산균' 광고캠페인 :성장하는 시장에서의 새로운 카테고리의 창출 장대련 ;김종배 pp.253-265

보기
'포도'의 철학과 상상경영의 힘 :국내 1위 독립광고대행사로 우뚝 선 그레이프 커뮤니케이션즈 김상훈 ;안대천 pp.267-287

보기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보건복지가족부(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서. 미소장
2 어린이 시간대 식품광고에 대한 어린이들의 수용 태도 네이버 미소장
3 백병성 (2001). 광고규제기준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안정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가을호, 49-71. 미소장
4 서울경제 (2010). 정크푸드, 오후5~7시 TV광고못한다, 2010. 1. 19. 미소장
5 설승현 (2001), 간행물의 부당표시·광고 실태와 문제점, 간행물의 부당표시·광고실태와 개선방향, 서울: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2001 간행물윤리세미나, 5-43. 미소장
6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어린이 대상 식품광고 규제 방안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미소장
7 오두범 (2000). 어린이 · 청소년 대상 텔레비전 광고의 내용분석연구. 사회과학논총, 14, 133-154. 미소장
8 윤희중 (1991). TV 광고가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린이 및 청소년의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봄호, 205-263. 미소장
9 정만수 (1999). 광고와 어린이, 글로벌시대의 광고와 사회. 서울: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10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 (2004). 해외광고심의 정보: 어린이 광고 관련 기준, 월간광고심의, 5월호, 40-50. 미소장
11 현대리서치 (2006). TV 시청형태 연구. 서울: 현대리서치. 미소장
12 KOBACO(2005). 2005년 어린이 조사. 서울: 한국방송광고공사. 미소장
13 Bever, T., H. Smith, B. Bengen & T. Jehnson (1975). Young viewers' troubling response to TV ads. Harvard Business Review, 53 (6), 109-120. 미소장
14 Bjurstrom E. (1994). Children and Television Advertising, A Critical Study of International Research Concerning the Effects of TV Commercials on Children. Stockholm: Swedish Consumer Agency. 미소장
15 FSA (2005). Nutrient Profiles: Development of Final Model, Food Stnandards Agency Final Report. 미소장
16 Ofcom (2007). 2007 final report 미소장
17 Roberts, D (1979). Testimony before the Federal Trade Commission's rulemaking on children and TV advertising. San Francisco. 미소장
18 Children and Commercial Persuasion: An Attribution Theory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19 Children's TV Commercials: A Review of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20 Winick, C. Williamson, L. Chuzmir, S & Winck, M (1973). Children's Television Commercials: A Content Analysis. New York: Praege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