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노자』 38장의 덕 개념에 대한 시론 : 유가의 덕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장원태 1

〈국문요약〉 1

1. 머리말 2

2. 본론 5

1) 유덕한 사람의 부덕함: 겸양과 보답을 중심으로 본 덕 5

2) 상덕부덕: 노자의 덕과 유가의 덕의 일치점 14

3) '무위'과 '무이위' 18

4) 두 가지 덕 24

3. 결론 32

〈참고문헌〉 35

〈Abstract〉 37

초록보기

『좌전』·『국어』·『상서』 등 비교적 초기 문헌에 나타난 덕 개념의 용례들을 살펴보면 덕을 실행하는 주요 방법은 자신을 낮추고 타인에게 양보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자는 이러한 특성들 대부분을 그대로 수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노자는 유가의 덕인 인·의·예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다. 특히 노자 38장에는 노자 덕 개념의 두 가지 측면, 즉 초기 유가 덕 개념과 일치하는 측면과 유가의 덕 개념과 분리되는 측면 모두가 나타난다. 노자는 38장의 앞부분에서 초기 유가 덕 개념과 동일한 방식으로 덕에 대해 논하지만, 이어지는 서술에서부터 자신의 덕과 유가의 덕을 구분한다. 노자는 ‘무위’와 ‘무이위’와 같은 표현을 통해 덕은 드러난 행동과 행동의 동기 모두에서 사심 없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노자는 이런 기준에 따라 덕과 인·의·예를 구분해 버린다. 인·의·예를 실천하는 일은 자신을 드러내거나 무언가를 기대하거나 심지어는 타인에게 무언가를 강요하는 데 이르게 되는데, 이 모두는 덕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초기 문헌에서 덕은 인·의·예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후대 유가들도 이를 받아들였던 반면, 노자는 양자를 구분하여 덕 개념 자체의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노자의 덕 개념이 유가와 이러한 차이를 보임에도, 이는 노자가 덕 개념에 어떤 새로운 관념을 집어넣은 결과가 아니라 초기 덕과 관련된 여러 관념들 중 하나였던 사심 없는 태도를 보다 철저히 지키려 한 결과였다.

In examining the usage of de (德) in ancient works of literature, including Zuozhuan, Guoyu, and The Book of Documents, we can find that most of the ways to practice de are through humility and concession. These features of de are found in Laozi, as well. In spite of these common features, Laozi criticized the Confucian de like ren, yi, and li. Especially in Laozi's Chapter 38, these conflicting aspects are examined individually. In the first part, he used de as the Confucians did in The Book of Documents, but in the following part, he separated ren, yi, and li from de and criticized each concept. The reason for the separation and criticism is as follows. According to Laozi, to have de, or to be virtuous, requires a lack of selfishness as a prerequisite, but the men who have ren, yi or li do not empty themselves of their selfishness and the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make themselves look better than others. In the worst case, yi anticipates reciprocity from others, while li may employ violence to illicit a response from others. Thus, the men who have and practice ren, yi or li have no de. Although Laozi seems to misunderstand the concept of de or to manipulate it, it will be fair to regard Laozi's de as the development of this concept, as the importance of being empty had been emphasized since the early litera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의 실학 연구와 『東方學志』 정호훈 pp.1-48

보기
『동방학지』를 통해 본 한국학 종합학술지의 궤적 김현주 pp.49-108

보기
『노자』 38장의 덕 개념에 대한 시론 :유가의 덕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원태 pp.109-146

보기
佛國寺創建說話 硏究 田寬秀 pp.147-182

보기
고려 후기 漕運制의 운영과 변화 한정훈 pp.183-221

보기
언더우드의 이중어사전 간행과 한국어의 재편과정 이상현 pp.223-278

보기
일본제국기 '開城'의 지역성과 (탈)식민의 문화기획 정종현 pp.279-329

보기
조선 제철업 육성을 둘러싼 정책조율과정과 청진제철소 건설, 1935~45 배석만 pp.331-385

보기
1950~60년대 재건 담론의 의미와 지향 이하나 pp.387-431

보기
가에로의 끝없는 탈주 :박동환의 철학적 문제 최세만 ;김귀룡 ;김동규 ;나종석 pp.433-498

보기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학목 역, 『홍석주의 노자』, 예문서원, 2001. 미소장
2 김학주 역, 『노자』, 명문당, 2002. 미소장
3 김홍경 역, 『노자: 삶의 기술, 늙은이의 노래』, 들녘, 2003. 미소장
4 An Argumental Approach to the Concept of Ziran in the Laozi 네이버 미소장
5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ing("you"), Nonbeing("wu"), and "Dao" in Laozi 소장
6 이석명 역, 『노자도덕경하상공장구』, 소명출판, 2005. 미소장
7 郭店楚簡『唐虞之道』의 謙遜思想 硏究 네이버 미소장
8 李崇仁, 『陶隱集』, 『韓國文集叢刊』 6, 민족문화추진회, 1988. 미소장
9 임채우, 『왕필의 노자주』, 한길사, 2005. 미소장
10 장원태, 「전국시대 인성론 형성의 기원과 전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11 Two variations of the way to be a great king, presented in The Book of Documents-focusing on Mengzi and Xunzi 네이버 미소장
12 高 明, 『帛書老子校注』, 北京: 中華書局, 1996. 미소장
13 班 固, 『漢書』, 『二十四史』 (中華書局 編輯部, 北京: 中華書局, 1997) 수록본. 미소장
14 沙少海·徐子宏, 『老子全譯』, 貴陽, 貴州: 貴州人民出版社, 1989. 미소장
15 楊伯峻, 『左傳譯註』 (全四冊), 北京: 中華書局, 1981. 미소장
16 王 博, 『老子思想的史官特色』, 臺北: 文津出版社, 1993. 미소장
17 尹振環, 「『老子』作爲『尙書』的繼承」, 『中國文化硏究』 17, 1997. 미소장
18 韋 昭, 『國語』,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8. 미소장
19 任繼愈, 『老子新譯』(修訂本), 香港: 中華書局香港分局, 1987. 미소장
20 林希逸, 『老子鬳齋口義』 『續修 四庫全書』(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2) 수록본. 미소장
21 張 覺, 『韓非子全譯』, 貴陽, 貴州: 貴州人民出版社, 1993. 미소장
22 張 栻, 『張栻全集』, 長春: 長春出版社, 1999. 미소장
23 朱謙之, 『老子校釋』, 北京: 中華書局, 1984. 미소장
24 陳鼓應, 『老子今註今譯』, 臺北: 商務印書館, 1990. 미소장
25 P. J. Ivanhoe, The Daodejing of Laozi, New York: Seven Bridge Press, 2002. 미소장
26 Donald J. Munro, The Concept of Man in Early China,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 Press, 1969. 미소장
27 D. S. Nivison, The Ways of Confucianism: Philosophical Argument in Ancient China, La Salle, Illinois: Open Court, 198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