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임야조사에 관한 연구 / 이범관 ; 허종구 ; 장계황 1
ABSTRACT 1
【국문요약】 2
I. 서론 2
II. 임야조사측량의 일반적 고찰 3
1. 임야조사사업의 개요 3
2. 조선임야조사령 4
3. 경상북도 임야조사사업 5
III. 임야조사측량의 실태 분석 7
1. 임야조사측량의 준비작업 8
2. 임야조사측량의 외업 작업 13
3. 임야조사측량의 내업 작업 19
IV. 임야조사측량의 특성 25
1. 임야조사측량은 「조선임야조사령」시행 이전부터 실시되었다. 25
2. 임야조사에 소요되는 경비는 소유자 및 연고자에게 부담시켰다. 25
3. 필지의 경계는 경계표시(표항)에 의해 사정(査定) 되었다. 26
4. 토지조사측량 성과의 유지를 위한 도근도(圖根圖)를 작성하였다. 26
5. 임야도는 지적도와 다른 방법으로 조제되었다. 27
6. 축척 및 면적단위가 통일 되었다. 27
7. 사전준비와 철저한 분업 작업으로 시행되었다. 28
V. 결론 28
〈참고문헌〉 30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의 임야조사측량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임야제도의 운영과 지적선진화사업에 기여 하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연구 범위로써 시간적 범위는 경상북도 임야조사사업을 실시한 1917년부터 10월부터 1924년 7월까지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일제 강점기때의 경상북도로 하였으며, 내용적 범위는 임야조사령에 의한 임야조사측량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임야조사측량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범위를 효율적으로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접근방법으로 역사적 접근방법과 법률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였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 사례조사법,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일제강점기 경상북도의 임야조사사업의 특성으로 첫째, 임야조사측량은 「조선임야조사령」시행 이전부터 실시되었다. 둘째, 임야조사에 소요되는 경비는 소유자 및 연고자에게 부담시켰다. 셋째, 필지의 경계는 경계표지(표항)에 의해 사정(査定) 되었다.
넷째, 토지조사측량 성과의 유지를 위한 도근도(圖根圖)를 작성하였다. 다섯째, 임야도는 지적도와 다른 방법으로 조제되었다. 여섯째, 축척 및 면적단위가 통일 되었다. 일곱 번째, 사전준비와 철저한 분업 작업으로 시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forest survey inGyeongsangbukdo,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and to contribute to the operation of forest map and the cadastral enhancement projec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s effectively, the research scope was set as the following; the time scope was set from October, 1917 to July, 1924, the spacial scope was focused on Gyeongsangbuk-do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content scope was set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the forest survey under the ordinance of forest survey based o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survey were presented.
In order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bove research scope efficiently, historical and legal approaches were used, and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internet research methods were used. Also, descrip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survey project were found.
First, the forest survey started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Ordinance of Forest Survey of Chosun’. Second, the expenses for the forest survey were borne by owners and their relatives.
Third, the boundaries of the lots were determined by the border signs. Fourth, Dogeundo(primarymap) was constructed for maintaining the achievement of land survey. Fifth, forest map was constructed in a way different from cadastral map. Sixth, scale and area units were united. Seventh, it was implemented with thorough preparation and division of labor.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지역별 주택가격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 한용석 ;이주형 ;한용호 | pp.9-27 |
|
보기 |
도시 비 선호시설 갈등해소를 위한 사회복지네트워크 구축 | 김강민 | pp.29-44 |
|
보기 |
부동산중개실교육의 교육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 김기영 ;홍상수 ;서진형 | pp.45-67 |
|
보기 |
부동산정책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차순 | pp.69-91 |
|
보기 |
금융기관의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관한 리스크 관리 연구 | 성무용 ;이범관 | pp.93-115 |
|
보기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임야조사에 관한 연구 | 이범관 ;허종구 ;장계황 | pp.117-146 |
|
보기 |
중·소도시 뉴타운지역 주거세입자 의식 및 심리조사 연구 | 심희선 ; 권대중 | pp.147-170 |
|
보기 |
주택재개발사업지구 상가세입자 이주대책에 따른 인식 및 심리조사 연구 | 윤용건 ; 권대중 | pp.171-190 |
|
보기 |
상가건물임대차에서의 권리금 보호에 관한 연구 | 조장우 ;김홍택 ;배병일 | pp.191-206 |
|
보기 |
地籍行政의 役割分擔 模型 硏究 | 白承喆 | pp.207-220 |
|
보기 |
경기도 도시지역의 토지이용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박인 | pp.221-244 |
|
보기 |
헤도닉 가격모형을 활용한 아파트 가격결정요인 분석 | 박운선 ;임병준 | pp.245-271 |
|
보기 |
공동주택의 장기수선충당금 적립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유병조 | pp.273-289 |
|
보기 |
상가권리금의 군집분석을 이용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정승영 ; 도희섭 | pp.291-309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미시, 『임야조사종말보고서』, 구미 : 구미인쇄기획, 2007 | 미소장 |
2 | •리진호, 『경주지적사』, 경주시, 2007. | 미소장 |
3 | •원영희, 『지적학원론』, 서울 : 홍익문화사, 1979. | 미소장 |
4 | •원영희 , 『한국지적사』, 서울 : 보문출판사, 1972. | 미소장 |
5 | •이범관, 『지적학원론』, 대구 : 삼지출판사, 2007. | 미소장 |
6 | • 배재수, “임적조사사업(1910)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제89권 제2호, 한국임학회, 2007. | 미소장 |
7 | • 이우연, “조선시대-식민지기 산림소유제도와 임상변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 미소장 |
8 | • 최병택, “1908~1945년 일제의 임야소유권 정리와 ‘민유림’ 운영”,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 미소장 |
9 | • 허종구, “임야경계분쟁의 원인과 해결방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대학원, 2008. | 미소장 |
10 | A Study on the Cadastral Notification in the Act on Forest | 소장 |
11 | •대한지적공사연수원, 『조선임야조사사업보고서』, 조선총독부농림국, 1993, | 미소장 |
12 | •薺藤音作, 『한국정부시대の임적조사사업 조선임업일지』. 조선산림회편.1933a | 미소장 |
13 | •薺藤音作 , 『조선삼림령及부속법령제정の사정 조선임업일지. 【조선산림회편.1933b】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