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국 초기 작곡가들의 피아노음악 / 김미옥 1

I. 들어가면서 1

II. 피아노곡 창작의 여명기 2

III. 초기 작곡가들의 피아노곡 작품수와 전반적 특징 5

IV. 작곡가 그룹별 음악 양식적 특징 8

1. 제1그룹 9

2. 제2그룹 13

3. 제3그룹 16

V. 나가면서 40

참고문헌 42

[요약] 44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systematically the style of 50-some piano works by early Korean composers (born in 1890-1920s). They had opportunities of learning Western musical style through foreign missionaries first and then in Japanese colleges or in Western countries, and tried to set forth new Korean music which had national traits and at the same time sounded modern by incorporating various Western compositional techniques of the 20th century. These are added harmony, frequently shifted accents, 12-tone technique, cluster, change operation, indeterminacy, and so on. Korean traditional elements imposed upon these are "saeya" scale(a typical Korean scale, upward progression of the two intervals, the perfect 4th and the 2nd), pentatonic scale, ornamental formulae, traditional rhythmic patterns in compound meters, and so on.

Although their piano works are much smaller in quantity than other instrumental music and especially art songs, their endeavors has been reflected in piano music not the least but profoundly maybe due partly to the all-around capability of the piano.

For the analysis, the composers who left piano work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own musical philosophy and the stages of stylistic developm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음악의 관점 ,5 :이상근의 '현대' 개념 홍정수 pp.11-45

보기
한국 초기 작곡가들의 피아노음악 김미옥 pp.47-90

보기
소프라노 윤심덕 연구 전정임 pp.91-119

보기
이영조의「부활절을 위한 세 개의 합창」과 혼합주의적 음악어법 지형주 pp.121-152

보기
국악관현악 작곡기법 연구 :김희조의「합주곡 1번」분석을 중심으로 박진영 pp.153-179

보기
김민기 포크음악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유권종 ;유영건 pp.181-204

보기
국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분석 :학교 문화예술교육 관점에서 석문주 ;권덕원 ;오지향 pp.205-233

보기
음악영재선발의 실태분석과 과제 이미경 pp.235-256

보기
영화와 주제음악의 형식적 관계성에 관하여 :영화「디 아워스」를 중심으로 이상윤 pp.257-288

보기
인터메디오「라 펠레그리나」에 나타나는 정치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장우형 pp.289-315

보기
번스타인의「치체스터 시편송」에 관한 분석연구 김덕규 pp.317-340

보기
연주회용 성악연습곡에 대한 연구 :라흐마니노프 칠레아 라벨 오네게르 메시앙을 중심으로 장원상 pp.341-385

보기
미국 유치원 ESL학생들의 영어학습을 위한 음악사용 사례연구 배수영 pp.387-415

보기
음악극(音樂劇) 한상명 pp.417-423

보기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작곡가의 초상 8: 김달성의 작곡세계와 작품사상”, 음악저널 30(1992,6월호) 미소장
2 “한국 작곡가의 초상 9: 윤해중의 작곡 세계와 작품 세계”, 음악저널31(1992, 7월호) 미소장
3 “작곡가의 초상 13: 최인찬의 작곡세계와 작품세계”, 음악저널35(1992, 11월호) 미소장
4 “작곡가의 초상 21: 작곡가 정회갑의 작곡세계와 작품세계”, 음악저널43(1993, 7월호) 미소장
5 Special Corner : 20 Century Korean Music 네이버 미소장
6 韓國音樂의 方向 : 새 音樂創造의 提言 소장
7 “이젠 인생 觀照하며 創作몰두”, 경향신문 , 1986, 2. 22 미소장
8 이상근 피아노 작품의 분석적 고찰 소장
9 韓國的 旋律의 和聲化에 關한 試論 소장
10 “한국화성학”, 현대화성론: 화성분석과 한국적 화성연구 (서울: 세광음악,1982/1990 개정) 미소장
11 “한국음악의 토착화와 현대화”, 여화와는 나의 목자시니 (서울: 세광음악,1985) 미소장
12 세광출판사 편집부, 한국피아노곡집 , 제1권(서울: 세광출판사, 1970) 미소장
13 윤이상(尹伊桑).1 소장
14 예당출판사 편집부, 한국현대작곡가 1집 , vol.1(서울: 예당출판사, 1992) 미소장
15 “作曲家의 辯, 발표회를 마치고”, 조선일보 , 1955. 3. 4. 미소장
16 두勢力 : 十二音 소장
17 “나와 음악”, 조선일보 , 1956. 4. 21. 미소장
18 “한국 작곡가의 초상(9), 윤해중”, 음악저널 31(1992, 7월호) 미소장
19 음악춘추사 편, 어린이를 위한 피아노 창작곡집 , 제1권(서울: 음악춘추사, 1987) 미소장
20 김순남의 "Konzert fur Piano forte in D"에 대한 분석적 검토 네이버 미소장
21 한국작곡가 작품총목록 (서울: 한국작곡가협회, 1996, 증보판) 미소장
22 이상근기념사업회, 이상근 작품전집 9: 피아노곡집 (진주: 이상근기념사업회, 2009) 미소장
23 Special Edition : Lee Sang Keun 1 - His Writings and Works / A Study of Korean Songs ( 1955 ) 1 네이버 미소장
24 내 남편 윤이상 상권 (서울: 창작과비평사, 1998) 미소장
25 한국 양악 백년사 (서울: 음악춘추사, 1976) 미소장
26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의 역사 1886-2002』.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3. 미소장
27 나의 길, 나의 이상, 나의 음악 (서울: 도서출판 HICE, 1994), 미소장
28 찰나와 영겁 (서울: 국학자료원, 2003) 미소장
29 이상근의 음악관;그의 논문을 중심으로 소장
30 『초창기 부산음악사』(부산: 세종출판사, 2004) 미소장
31 김순애의 가곡 : 구상(具象)에서 추상(抽象)으로 소장
32 윤이상의 음악세계 (서울: 한길사, 1991) 미소장
33 그리운 금강산: 고희 기념 최영섭 비망록 제1권(1999) 미소장
34 문예총감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미소장
35 한국음악교재연구회 편, 최신 피아노 강좌 제1권(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 미소장
36 나운영의 교회음악이 가진 기법적 특징들 소장
37 드와이트 말스배리 소장
38 An Hour at the Piano with Well-Loved Hymns, Concert Transcriptions, 2 vols.(Canada, Three Hills: Prairie Bible Institute, 195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