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희대, 서울대, 이화여대에 편제된 교양과목에는 문학 텍스트의 이해와 글쓰기, 외국어 소통 능력, 논리와 사고, 윤리 등의 인문적 소양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고, 이수 학점도 가장 높았다. 연희대의 경우에는 일반교양의 성격이 강했으며, 서울대와 이화여대는 전공 진입을 위한 기초 교양의 성격이 고려되었다. 대학에서의 교양 교육 편제는 학점을 이수하고 평가를 받는 제도화된 '지식'의 체계로 존재했지만, '인격'이나 '품성', '미적 감수성' 차원의 교양을 함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없었다. 학점의 그물망을 벗어난 교양의 영역은 학생들이 활동으로서의 대학 문화(동아리, 정치적 발언 및 사회 참여, 문화생활 등)를 통해 생활적으로 채워나갔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이를 지식과 정보 차원의 교양 '知'로 섭렵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으며 사회의 실천적 교섭을 학적 분석의 대상으로 '거리화'하는 태도를 견지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연희춘추>, <연세춘추>, <대학신문>, 사상계 . | 미소장 |
2 | 권보드래 외, 아프레 걸 사상계를 읽다 , 동국대출판사, 2009. | 미소장 |
3 | 김덕호ㆍ원용진(2008) 엮음, 엮음, 아메리카나이제이션 , 푸른역사, 2008. | 미소장 |
4 | 김성우ㆍ최종덕,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사회와 철학 20권 1호, 사회와철학연구회, 2009. | 미소장 |
5 | Formation of Woman`s Bildung in the Early Modern Period and the Geneology of Partnership Culture Theories | 소장 |
6 | 박헌호, 「<연희(延禧)>와 식민지 시기 교지(校誌)의 위상」, 현대문학의 연구 28집, 현대문학연구학회, 2006. | 미소장 |
7 | Opening the Horizon of Social-Humanities | 소장 |
8 | 교양과 교양교육의 방향 | 소장 |
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근대학문의 형성과 연희전문 , 연세대출판부, 2005. | 미소장 |
10 | 경성제대의 교양주의와 일본어 | 소장 |
11 | A study on Traditional Culture and 'Writing' as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 소장 |
12 | 이선미, 「1950년대 미국유학 담론과 ‘대학문화」, 상어학보 , 25집, 상허학회, 2009. | 미소장 |
13 | 최성희, 「미국 연극의 수용과 전후 한국 여성의 정체성」, 김덕호ㆍ원용진 엮음, 아메리카나이제이션 , 푸른역사, 2008. | 미소장 |
14 | 학술단체협의회 편, 우리 학문 속의 미국 , 한울아카데미, 2003. | 미소장 |
15 | 馬越 澈, 한국근대대학의 성립과 전개 , 한용진 옮김, 교육과학사, 2001. | 미소장 |
16 | 가와이 에이지로 엮음, 학생과 교양 , 양일모 역, 소화, 200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