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김영준 ; 김진호 1

요약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II. 연구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실험환경 4

3. 목표행동 6

4. 실험설계 및 절차 7

5. 자료 측정 11

6. 관찰자간 신뢰도 12

7. 중재 충실도 12

III. 연구결과 13

1. 현금인출기 이용기술 13

2. 마트이용기술 15

3. 가계부 기록기술 17

IV. 논의 및 결론 18

참고문헌 20

[부록] 23

Abstract 26

초록보기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이 성공적인 일상생활적응을 하는데 필요한 관련기술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일상생활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특수학급의 고등부에 다니는 지적장애학생 한 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서 실시하는 교수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는 행동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목표행동인 일상생활기술은 대상학생의 교육 필요성에 따라서 현금인출기 이용기술, 마트이용기술, 가계부 기록기술의 세 가지 기술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은 대상학생과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관찰과 과제분석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수 기법은 지역사회중심 교수패키지로 구성하였는데, 직접교수, 비디오 모델링, 최소촉진법, 시간 지연법, 자기 점검, 토큰 강화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대상학생의 현금인출기 이용기술, 마트 이용기술, 가계부 기록기술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득된 기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그리고 일반화 측정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교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특수교육현장에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aily living skills are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skills for successful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mmunity-based training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omote community integration and adult life adjustment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on daily living skills for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 was a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target behaviors(dependent variables) were three daily living skills, which were using ATM banking machine, making expenditures in the market, and keeping basic financial records.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used a packa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task analysis, behavior chaining, direct instruction, prompting, modeling, etc. The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both in community sites and a classroom of a education center located in an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three target skills were increased and maintained successfully. The newly acquired skills were also generalized. Thes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transition perspectiv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김기흥 pp.1-29

보기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박재국 pp.31-50

보기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이태훈 pp.51-73

보기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한경근 pp.75-98

보기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한경임 ;문현미 pp.99-118

보기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변윤연 ;권요한 pp.119-144

보기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충남지역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옥등 ;박순희 ;정해동 pp.145-166

보기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오원석 pp.167-189

보기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이혜숙 ;강정숙 ;김희규 pp.191-213

보기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김남진 ;강병일 pp.215-235

보기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오미경 ;이수희 pp.237-259

보기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진복 ;전병운 pp.261-289

보기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1990년에서 2010년까지의 국내외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김미영 ;조혜희 ;박지연 pp.291-312

보기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백근숙 ;김정민 ;노진아 pp.313-333

보기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뇌성마비 학생을 대상으로 박은영 pp.335-353

보기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권회연 ;이미애 ;전병운 pp.355-372

보기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홍성두 ;박상희 pp.373-394

보기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이상희 ;고영림 ;이현래 ;정태인 pp.395-412

보기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김영한 ;추경진 pp.413-432

보기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유경 pp.433-450

보기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김현진 ;권순황 pp.451-470

보기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근매 ;임지향 ;김경수 pp.471-490

보기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 ;김진호 pp.491-516

보기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Study on the Parents` Perception regarding the Behavioral Problem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Support 소장
2 김진호 (1999). 장애아 전환교육을 위한 인지-행동훈련기법의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 특수교육연구, 6, 117-132. 미소장
3 우리나라 학령기 전환교육의 방향 네이버 미소장
4 A Review of Literature Study on the Transition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Transition Perspective 소장
5 Developing a School-based Transition Model and Related Education Program and Method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소장
6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 적용사례 고찰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소장
7 The Effects of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on the transportation skill and entry-level work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소장
8 The Effect of the Community-based Job Training Program on the Clerical Work Skills for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is in the Transition Classroom of a Special Education School 소장
9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Using Time Delay and Least Prompts Procedures with Video Self-Modeling on Grocery Shopping Skil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소장
10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with Video Self-Modeling on the Use of Vending Machine of Children with Autism 소장
11 Follow-up Studies for Graduates with Disabilities and Its Implication on Transition Education 소장
12 Influence of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on community use skills with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소장
13 지역사회중심 교수가 자폐성장애학생의 지역사회 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소장
14 다중요소로 구성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일반고등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지역사회활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소장
15 Impact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 package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community skills for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소장
16 정신지체고등학생을 위한 컴퓨터 활용 전이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현금 인출기 사용을 중심으로 소장
17 The Evolution Stages and Practical Tasks of Transition Education 소장
18 Baer, R., Flexer, R. W., & McMahan, R. K. (2005). Transition models and promising practices. In R. W. Flexer, T. J. Simmons, P. Luft & R. M. Baer (2nd ed.). Transition planning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pp. 53-82).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미소장
19 Special Educators' Views of Community-based Job Training and Inclusion as Indicators of Job Competencies for Students with Mild and Moderate Disabilities. 네이버 미소장
20 Enhancing Choice and Participation for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Community-Based Instruction 네이버 미소장
21 Mental Retardation Is Dead: Long Live Mental Retardation! 네이버 미소장
22 Impac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on the Development of Adaptive Behavior of Secondary-Leve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네이버 미소장
23 McDonnell, J., Wilcox, B., & Hardman, M. (1991). Secondary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oston: Allyn and Bacon. 미소장
24 Sitlington, P. L., & Clark, G. M. (2006).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미소장
25 Wehman, P. (2001). Life beyond the classroom(3rd ed.). Baltimore: Paul H. Brookes. 미소장
26 Westling, D. L., & Fox, L. (2000).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2nd ed). New Jersey: Upper Saddle River. 미소장
27 Influence of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and community based training on integrated employment outcomes for transition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