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프랑수아 오종 영화에 나타난 성과 젠더의 탐색 : 〈사랑의 추억 Sous le sable〉, 〈레퓨지 Le Refuge〉를 중심으로 / 최윤경 1
I. 서론 1
II. 본론 3
1. 여성의 공간과 정체성의 문제 3
1-1. 집 3
1-2. 바다 8
2. 성과 젠더의 경계 흐리기 14
2.1. 모성에 대한 재고 14
2.2. 성역할의 새로운 지형도 21
III. 결론 26
참고문헌 29
〈Resume〉(이미지참조) 31
Cette etude a pour but d'examiner la tendance de la feminite et de la maternite dans les films de Francois Ozon pour eclairer la tentative de brouiller les notions et les ro??les de la maternite et du genre. Dans Sous le sable et Le Refuge, les femmes sont etroitement liees aux espaces, notamment aux maisons et a la mer. Selon Bachelard, ces deux espaces representent la feminite et la maternite. Les images de la maison s'associent au repos et au repliment sur soi. Eaux comme le lait complet adherent aux contours maternels et la fluidite ecumeuse de la mer se montre comme un berceau allaitant et apaisant. Mais dans ces films, les maisons sont des lieux de la sterilite ou aucune relation ne se cree. Elles constituent les lieux de deguisement, de refus et d'evasion. Ces deux films sont inondes par de l'eau, l'autre symbole de la feminite. Les vagues et les les ecumes de la mer de Landes et de Basque emplissent les yeux des herones mais les contraignent a decouvrir la realite isolee et froide. Les femmes n'arrivent pas a se baigner paisiblement dans la mer. Au contraire, elles sont confrontees a la confusion et a la crise de son identite devant la mer. Pour tout dire, la maison et la mer dans ces films se situent aux antipodes de la stabilite et de l'intimite heureuse qui peuvent creer l'harmonie avec soi-me??me et le bonheur avec la famille. Elles representent les manques de la feminite et de la maternite des herones qui n'ont pas de famille et d'enfant au sens strict du terme.
Francois Ozon decrit l'apparence et les caracteres des herones tres soigneusement, les histoires des hommes des herones en revanche sont eliminees. Ils ont la virilte simple mais disparaissent des le debut du film. Les nouveaux partenaires sont faibles et delicats, relativement moins menacants que les premiers. Dans Sous le sable, le deuxieme ne peut pas remplacer le premier, mais 9 ans apres, Paul, le frere du copain decede de l'herone du Refuge occupe la place de son copain, du pere biologique et de la mere remplacee de sa fille. Il semble evident que Francois Ozon permet a Paul seul les ro??les de maintenir des relations entre les personnages, d'evoquer le passe pour developper l'avenir et de reunir le masculin et le feminin. Mais en ce qui concerne l'androgynie qui unit des ro??les de genre que Paul a montre, nous devons suspendre le jugement malgre sa pertinence. Parce que l'homosexualite ou la bisexualite de Paul ne permet pas que le troisieme sexe ou le transgenre androgyne propose par Francois Ozon soit considere comme impartial a cause de son orientation sexuelle.
Les deux herones tentent l'evasion dissimulee et temporaire a sa maniere. On ne peut pas trouver leur effort pour surmonter la crise. Elles ne prennent pas conscience de leur realite ni de leur identite. Il nous semble que Francois Ozon cede le caractere essentiel de la feminite et de la maternite au troisieme sexe trop facilement si bien que le discours sexuel est reduit. On ne veut pas tirer une conclusion precipitee que ses oeuvres representent la strategie du realisateur d'affermir les positions de la minorite sexuelle. On attend que ses prochains films montrent des tentatives impartiaux d'effacer les idees recues entre le feminin et le masculin.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시몬 드 보부아르의 『매우 편안한 죽음』에 나타난 모녀 관계의 재정립 과정 | 강초롱 | pp.5-28 |
|
보기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카타르시스를 중심으로 | 김효 | pp.29-52 |
|
보기 |
『스완의 사랑』에서 실존인물들의 의미 | 남수인 | pp.53-81 |
|
보기 |
『피항지에서』의 꿈 이야기 분석 :공간의 메타포어를 중심으로 | 유진현 | pp.83-111 |
|
보기 |
"Aller"와 "venir"에 대한 화용론 및 인지의미론적 분석 | 윤성노 | pp.113-128 |
|
보기 |
가족 로망 다시 쓰기 :사적이며 특전적인 허구 | 이광진 | pp.129-152 |
|
보기 |
점이적인 공간의 미학 :'계단'의 경우 | 정수철 | pp.153-177 |
|
보기 |
라신의 『이피게네이아』와 '시학적 경이' | 조만수 | pp.179-201 |
|
보기 |
안느 에베르의 『카무라스카』 :또 다른 자아의 불가능 | 강충권 | pp.203-224 |
|
보기 |
무대에서 이미지 구성에 관한 연구 :프랑스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Notre-Dame de Paris>를 중심으로 | 김균형 | pp.225-244 |
|
보기 |
문자의 불가능성과 전략 | 김석 | pp.245-268 |
|
보기 |
영화 이미지의 물질성과 운동성 :들뢰즈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호영 | pp.269-295 |
|
보기 |
거짓말, 그리고 삶의 진실 :에릭 로메르의 <모드네 집에서의 하룻밤> 연구 | 심은진 | pp.297-316 |
|
보기 |
프랑스 극우 민족주의 정치세력과 유럽통합 :민족전선의 사례 | 조홍식 | pp.317-340 |
|
보기 |
프랑수아 오종 영화에 나타난 성과 젠더의 탐색 :<사랑의 추억 Sous le sable>, <레퓨지 Le Refuge>를 중심으로 | 최윤경 | pp.341-372 |
|
보기 |
광고에 나타난 시와 속담의 모방 및 변형에 관한 인지주의 연구 | 최인령 | pp.373-40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sibon (Andrew), François Oz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8. | 미소장 |
2 | Bachelard (Gaston), L'eau et les reves, José Corti, 1942. | 미소장 |
3 | Bachelard (Gaston), La terre et les reveries du repos, José Corti, 1948. | 미소장 |
4 | Bachelard (Gaston), La poétique de l'espace, PUF, 1957. | 미소장 |
5 | Beugnet (Martine), Marginalité, sexualité, controle dans le cinéma contemporain, L'Harmattan, 2000. | 미소장 |
6 | Brun (Danièle), La maternité et le féminin, Denol, 1990. | 미소장 |
7 | Chiland (Coltette), Le Transsexualisme, Paris, PUF, 2003. | 미소장 |
8 | Cook (Ellen Piel), Psychological Androgyny, Pergamon Press, 1985. | 미소장 |
9 | El Saffar (Ruth Anthony), Rapture Encaged The Suppression of the Feminine in Western Culture, Routledge, 1994. | 미소장 |
10 | Foucault Michel, Histoire de la sexualité, t. I : L'Usage des plaisirs, Paris, Gallimard, 1984. | 미소장 |
11 | Godelier (Maurice), Métamorphoses de la parenté, Fayard, 2004. | 미소장 |
12 | Prédal (René), Le cinéma français depuis 2000 : Un renouvellement incessant, Armand Colin, 2008. | 미소장 |
13 | 권은미 송기정 외 지음, 현대 프랑스 문학과 예술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 미소장 |
14 | 드루아 (R), 박선주 옮김, 사물들과 철학하기 , 동문선, 2005. | 미소장 |
15 | 릴케 (R), 구기선 옮김, 형상시집 외 , 민음사, 2001. | 미소장 |
16 | 밀렛 (K), 김전유경 옮김, 성 정치학 , 이후, 2009. | 미소장 |
17 | 바뎅테 (E), 최석 옮김, 남자의 여성성에 대한 편견의 역사 , 인바이로넷, 2004. | 미소장 |
18 | 서인숙, 씨네 페미니즘의 이론과 비평 , 책과 길, 2003. | 미소장 |
19 | 우드 (J), 한희정 옮김, 젠더에 갇힌 삶 ,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6. | 미소장 |
20 | 울프 (V), 박희진 옮김, 파도 , 솔, 2004. | 미소장 |
21 | 이리가라이 (R), 이은민 옮김, 하나이지 않은 성 , 동문선, 2000. | 미소장 |
22 | 이지훈, 예술과 연금술 , 창비, 2004. | 미소장 |
23 | 초도로우 (N), 김민예숙, 강문순 옮김, 모성의 재생산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8. | 미소장 |
24 | 코엔 (A), 조광희 옮김, 내 어머니의 책 , 현대문학, 2002. | 미소장 |
25 | 투르니에 (M), 에두아르 부바 사진, 김화영 옮김, 뒷모습 , 현대문학. 2002. | 미소장 |
26 | 허수경, 혼자 가는 먼 집 , 문학과 지성사, 199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