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학교폭력 피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역량강화를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 / 도기봉 ; 오주 ; 신정인 1

[요약] 1

I. 서론 2

II. 방법 8

1. 연구대상 8

2. 측정도구 9

3. 연구절차 및 설계 10

4. 분석방법 11

III. 결과 12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12

2.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12

3.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 참가자들이 지각한 변화 16

IV. 논의 18

참고문헌 22

-Abstract- 26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을 가진 여자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의 P여자정보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교폭력 피해 여고생 20명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주1회 90분씩, 총 8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았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한 자아존중감과 임파워먼트 점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일원배치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참여 후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과 임파워먼트에서 유의미한 점수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 여고생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자신의 존재감을 인식하고,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여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힘이 강화되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학교폭력 피해 여고생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그들의 자아존중감과 역량을 강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나 사회복지현장에의 적용점, 연구의 의의 및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과 비행 및 자기존중감, 부모 양육행위와의 관계 분석 조금주 pp.1-29

보기
학업우수고등학교 학생들의 실패내성 특성 및 성적하락 극복과의 관계 김영빈 pp.31-47

보기
병사의 군부적응 및 적응력향상 관련 국내 연구동향의 개관 정원철 ;박영주 pp.49-71

보기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장원 ;김희진 pp.73-103

보기
분노관리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분노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 ;이현 ;안윤영 ;유정선 ;권선주 pp.105-126

보기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감과 사이버비행의 구조적 관계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홍영수 ;김동기 pp.127-148

보기
학교폭력 피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역량강화를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 도기봉 ;오주 ;신정인 pp.149-174

보기
대학생들의 출산에 대한 인식 :도전으로 바라보는 출산 권혜진 ;김윤정 ;권수진 ;박선아 ;안영미 ;오금숙 ;이경숙 pp.175-200

보기
대학생의 애착안정성과 대인불안의 한계 :자기표상 및 타인표상의 매개효과 조현재 ;김정미 pp.201-222

보기
Multi-level model examin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isks and neighborhood settings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Ji Young Lim pp.223-253

보기
포크댄스 활동을 통한 광주·전남지역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활성화 전략 박찬원 pp.255-273

보기
청소년의 자기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전성희 ;신미 ;유미숙 pp.275-296

보기
지적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이유리 pp.297-321

보기
중국 조선족 농촌결손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징에 관한 연구 정혜원 ;김명숙 ;임원선 pp.323-338

보기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Study on the Trend of the School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s 소장
2 Effectiveness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for Peer Victimization Reduction of Elementary Schooler 소장
3 도기봉(2006). 학교폭력 경험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또래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2(2), 127-147. 미소장
4 도기봉(2007).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Factors in Ecology System and Aggression Affecting School Violence 소장
6 Effects of a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Coping Behavior on Problem of School Violence-Students Who have been both victims and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소장
7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 Victimized by Peers:Focus on Parent Education an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소장
8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또래 경험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소장
9 문선향(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효과,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문화관광부(2002). 2002 청소년백서. 미소장
11 Development of the Group Program on Empowerment for Victim Students of School Bullying and Its Effectiveness 소장
12 서울대학교 발달심리연구실(2006). 시우보우 프로그램, 미소장
13 http://down.edunet4u.net/KEDTLC/school/elem/index.htm. 미소장
14 The Effectivenes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r Empowerment of Parents with Mental Retarded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15 The Effects of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School Violence Attitudes, Anger, and Agg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소장
16 양정호(2004). 중학생의 왕따 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제1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6-46. 미소장
17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네이버 미소장
18 The Analysis of Effect on the Improvement Program of Empower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소장
19 이규미, 문형춘, 홍혜영(1998).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 현상, 서울청소년 상담연구Ⅲ “왕따”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 청소년종합상담실. 미소장
20 이문자(2003).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의 생태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이상균(1999).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2 Effects of Empowerment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Experienced High Risk Stress 소장
23 Effect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in chil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 소장
24 여중생 학교폭력 행위자들의 집단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소장
25 조유진(2006). 집단괴롭힘 목격과 피해경험의 가해화 경로에 대한 중재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주경희(2007). 역할극과 토론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인식과 태도 변화,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The Difference of Levels of Internet-computer game addiction, Stress and Empowerment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소장
28 Effects of an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in the Prevention of Internet Games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소장
29 청소년폭력예방재단(2002). 내가바로지킴이. 청소년폭력예방재단. 미소장
30 A Survey on School Violence and Its Measures - A Stud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nsung city - 소장
31 한국교육개발원(2007).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2 Application and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elementary school violence(1): for Bullies 소장
33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 소장
34 Empowerment through teaching. 네이버 미소장
35 Profiles of violent youth: substance use and other concurrent problems. 네이버 미소장
36 Freire, P.(1970). Pedagogy of the Oppressed. New York, NY: The Continue Publishing Corporation. 미소장
37 Personal and interperson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victimization by peers. 네이버 미소장
38 Junoven, J. & Graham, S.(2001). Peer harrassment in school: The plight of the vulnerable and victimized. New York: Guilford Press. 미소장
39 Strategies for developing competency models. 네이버 미소장
40 An evaluation of youth empowerment tobacco prevention programs in the Southwest. 네이버 미소장
41 Olweus, D.(1991). Bully/victim problems among schoolchildren: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In D. Pepler and K. Rubin(Eds.),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 Hillsdale, NJ: Lawrence. 미소장
42 Olweus, D.(1992). Victimization by peers: Antecedents and long-term outcomes, In K. H. Rubin & J. B. Asendorf(Eds.),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315-341). Hillsdale, NJ: Erlbaum. 미소장
43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44 Peer victimization in early adolescenc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nd relational victimization and drug use, aggression, and delinquent behaviors among urban middle school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45 Empowerment Education: Freire's Ideas Adapted to Health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46 Developmental associations between substance use and violence.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