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경사도가 높거나 농지의 지형적?토성적 이유로 농기계의

작업효율이 낮은 한계경지는 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

어 이와 같은 불량환경에 적응성이 큰 조, 기장, 수수의 생

육 및 수량특성을 검정하여 한계경지 적응 적정 작목 및 품

종을 선발코자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pH는 평탄지인 대조구가 7.85로 약 알카리성을

나타내었으며, 경사지 및 척박지는 각각 6.3, 6.2로 약

산성을 나타내었으나, 자갈밭은 5.1로 강한 산성을 나

타내었다. EC는 대조구에 비해 한계농경지(경사지, 척

박지, 자갈밭)가 낮았으며, 특히 척박지는 0.05 dS m-1

로 가장 낮았다.

2. 조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

다. 간장은 경사지에서 169.5 cm로 가장 컷으며, 자갈

밭이 143.7 cm로 가장 작았다. 1수립수는 대조구를 제

외하면 경사지가 4913.9립으로 많았으며, 3.3 m2당 이

삭수는 자갈밭이 85.3이삭으로 대조구에 비해 25% 적

었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12~113일로

차이가 없었다.

3. 기장의 파종기로부터 출수소요일은 한계경지간 큰 차

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경사지가 787.1립으로 대조

구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간 1수립수는 벼룩기장

이 827.2개로 가장 많았으나, 1000립중은 5.5g으로 황

기장 6.2g에 비해 작았다.

4. 한계경지별 수수의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

었다. 1수립수는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598.1,

2563.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삭수도 대조구와 경사지

가 각각 26.7, 26.0이삭/3.3 m2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

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22~123이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목탁수수가 2357.6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가 2071.8개로 가장 적었다. 1000립

중은 장목수수가 23.8g으로 가장 무거웠다.

5. 조의 수량은 대조구가 295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282.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

별로는 몽당조가 252.3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많았

다. 기장의 수량은 대조구가 217.0 kg/10a으로 가장 많

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196.0 kg/10a으로 많았

다. 품종별로는 벼룩기장이 173.8 kg/10a으로 가장 많

았으며, 흰기장이 122.2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낮았

다. 수수의 수량은 대조구가 313.0 kg/10a으로 가장 많

았으며, 다음은 경사지가 301.7 kg이었으며, 품종별로

는 목탁수수가 236.5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optimum minor cereal crop and variety for the marginal

agricultural lands so that they would be used to increase

the agricultural land use rate in mountainous areas. This

experiment used three different marginal agricultural lands,

that is, slope land, barren land and gravelly land. Soil pH

of control field was 7.85, slightly alkali, whereas gravelly

land showed strong acid(pH 5.1). EC of marginal agricultural

lands was general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especially

barren land showed 0.05dS m-1 which was the lowest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Foxtail mill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eading and ripening date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Foxtail millet of slope land

showed the highest culm length(169.5 cm) and grains per

ear(4913.9 grains)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except control field. Growth duration of three varieties was

varied from 112 to 113days, which wa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In grains per ear of common millet, slope land

showed 787.1 grains which was the highest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except control field. Among varieties,

Byorukgijang showed the highest grains per ear(827.2

g/ear), whereas 1000 grain weight was 5.5 g which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Hwanggijang(6.2 g). In sorghum,

slope land showed the highest grains(2563.8 grains) per ear

and ears per 3.3 m2(26.0 ears) except control field. Growth

duration of three sorghum varieties almost the same from

122 to 123 days, whereas the highest grains per ear was

obtained from Moktaksusu(2357.6 grains). Jangmoksusu

showed the highest 1000 grain weight(23.8 g) among three

sorghum varieties. In yield of three foxtail millet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282.0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Mongdangjo showed

the highest yield(252.3 kg/10a) among three varieties. In

yield of three common millet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196.0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Byorukgijang showed the highest

yield(173.8 kg/10a) in three varieties. In three sorghum

varietie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

(301.7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Moktaksusu showed the highest yield(236.5 kg/10a) among

three variet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등숙기 온도 및 일사량과 생육형질을 이용한 벼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 추정 이충근 ,김준환 ,손지영 ,윤영환 ,서종호 ,권영업 ,신진철 ,이변우 pp.275-283

고 고형분함량 감자의 수확시기 예측모형을 위한 식물체내 에너지 소모량 추정 정재윤 ,서상곤 pp.284-291

사료용 맥류의 맥종별 건물수량에 대한 식물체 부위별 기여도 권영업 ,박형호 ,백성범 ,박광근 ,김정곤 ,이재은 ,서종호 pp.292-298

저온에서 추출시간에 따른 홍삼 부위별 ginsenoside 함량 비교 한진수 ,강선주 ,남기열 ,최재을 pp.299-305

기원이 다른 저항성 유전자를 갖는 근동질 계통에서 Xanthomonas oryzae pv. oryzae의 증식과 이동 강선주 ,이성은 ,김민정 ,한진수 ,최재을 pp.306-311

디지털 카메라 칼라영상 분석을 이용한 벼 질소 수비량 추천 원시프로그램의 개발과 예비 적용성 검토 지정현 ,이재홍 ,최병열 ,한상욱 ,김순재 ,박경열 ,이규종 ,이변우 pp.312-318

Identification of 26 germplasm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with ISSR and SCAR markers Jung Sook Sung ,Gyu Taek Cho ,Suk Young Lee ,Hyung-Jin Baek ,So Hye Park ,Man Kyu Huh pp.319-326

대마 자주의 웅화 유도에 의한 자성종자 생산에 관한 연구 문윤호 ,구본철 ,최용환 ,안승현 ,박선태 ,차영록 ,안기홍 ,김중곤 ,서세정 pp.327-332

중부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춘파용 두과 녹비작물 선발 조현숙 ,전원태 ,성기영 ,김민태 ,이종기 ,김충국 ,정광호 pp.333-338

벌크 백 수확 벼의 건조대기 시간 중 온·습도 변화양상 구명 이춘기 ,윤종탁 ,송진 ,정응기 ,이유영 ,김욱한 pp.339-349

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에서의 조, 수수, 기장의 생육 및 수량 윤성탁 ,이명철 ,김정순 ,장경우 ,허진우 ,김영복 ,김태호 ,남중창 ,남민희 ,이용환 ,황재복 ,심상인 ,김성민 pp.350-356

Application of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NIR) method to rapid determination of seed protein in coarse cereal germplasm Young-Yi Lee ,Jung-Bong Kim ,Ho-Sun Lee ,Sok-Young Lee ,Jae-Gyun Gwag ,Ho-Cheol Ko ,Yun-Chan Huh ,Do-Yoon Hyun ,Chung-Kon Kim pp.357-364

감마모델을 이용한 옥수수의 화분비산 모델링 이용호 ,권영선 ,왕굉위 ,이수정 ,코빌 ,판디안 ,홍선희 ,이동진 ,백형진 ,장영석 ,김욱 pp.365-370

Identification of the housekeeping genes using cross experiments via in silico analysis Won Cheol Yim ,Changwon Keum ,Saehwan Kim ,Cheol Seong Jang ,Byung-Moo Lee pp.371-378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정훈, 이호진. 1996. 도입 수수 유전자원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Korean J. Crop Sci. 41(2): 207-214. 미소장
2 윤성탁, 허진우, 김성민, 김창영. 2008. 기장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Korean J. Crop Sci. 53(4): 394-400. 미소장
3 윤성탁, 허진우, 장경우, 김인숙, 김태호, 남중창. 2010. 수수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 Korean J. Crop Sci. 55(1): 83-90. 미소장
4 김정순, 고호철, 윤성탁, 조양희, 김정곤, 심창기. 2010. 잡곡유전자원을 이용한 유기종자생산 포장의 해충발생 소장. Korean J. Crop Sci. 55(1): 58-64. 미소장
5 Cho MS, Choi YS, Kim JH, Hea NK. 1999. Nutritional composition of Sorghum cultivars from Korea. Inst. Of Agr. Sci. Kangwon Nat. Univ. 10: 1-9. 미소장
6 Choi BH. 1992. Traditional Pearl Millet Foods in Africa and Asia. Korean J. Breed. 24: 376-385. 미소장
7 Ha YD, Lee SB. 2001. Protein characteristics of Pearl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Food Preserv. 8: 189-192. 미소장
8 Hulse JH, Laing EM, Pearson OE. 1980. Sorghum and the millets: their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Academic press. pp. 152-155, 187-193. 미소장
9 Kil HY, Kim HY, Lee DW, Lee JG, Kim JK, Kim MJ, Cho DH, Chung IM, Kwak JG, Yu CY. 2006. Analysis of biological activity in accessions of minor grains, Korean J. Breed Sci(S) 50: 508-509. 미소장
10 Lee HS and Park EH. 1987. Characteristics of the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 L. Beauv) local collections in Korea. Korean J. Breed 19: 158-163. 미소장
11 Soh HS, Lee SP, Ha Yd. 2002.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taria italic,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123-12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