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중부지방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반경생장량과 지형, 기후 인자의 관계 / 변재균 ; 이우균 ; 노대균 ; 김성호 ; 최정기 ; 이영진 1
요약 1
Abstract 1
서론 2
2. 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3
결론 5
감사의 글 6
인용문헌 6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 강미희 ,김성일 | pp.777-784 |
|
보기 |
등산활동의 의료비에 대한 외부효과 | 이연호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배영목 | pp.785-790 |
|
보기 |
해외 산림토양탄소모델 분석을 통한 한국형 모델 개발방안 연구 | 이아름 ,이궁 ,손요환 ,김래현 ,김춘식 ,박관수 ,이경학 ,이명종 | pp.791-801 |
|
보기 |
국내 장기목재공급 잠재력 예측을 위한 퍼지선형계획법의 적용 | 원현규 ,김영환 ,이경학 ,장광민 | pp.802-807 |
|
보기 |
산지약용식물자원의 재배 투자 수익성 분석 :오미자 노지재배 | 박용배 ,김재성 ,김기동 | pp.808-815 |
|
보기 |
국내 500대 기업의 산림분야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의 유형과 추진방식 | 김재현 ,장주연 ,태유리 ,김해창 | pp.816-826 |
|
보기 |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경기지역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 | 김은숙 ,김경민 ,김종찬 ,이승호 ,김성호 | pp.827-835 |
|
보기 |
헛개나무 추출물의 화장품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 김세현 ,전동하 ,장민정 ,이진태 ,이창언 ,한진규 ,김진철 ,이도형 | pp.836-842 |
|
보기 |
토양산성화 조건하에서 생육시킨 상수리나무 묘목의 광합성 활성 | 진현오 ,방선희 ,이충화 | pp.843-848 |
|
보기 |
韓國特産 구상나무 天然集團의 種子·發芽特性 變異 | 송정호 ,장경환 ,허성두 | pp.849-854 |
|
보기 |
강원 남부 삼척과 태백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 이광수 ,김석권 ,배상원 ,이중효 ,정문호 | pp.855-862 |
|
보기 |
산양삼 재배지의 기상특성 및 생육에 관한 연구 | 이동섭 | pp.863-870 |
|
보기 |
기주목, 온도 및 습도가 멸종위기 종 꼬리겨우살이 종자의 기외발아에 미치는 영향 | 이수광 ,이송희 ,박광우 ,권영한 ,강호덕 | pp.871-877 |
|
보기 |
갈참나무 4가계에서 스트레스 평가용 생리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 | 김두현 ,한심희 ,이재천 | pp.878-884 |
|
보기 |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 이창언 ,김영훈 ,이병근 ,이도형 | pp.885-890 |
|
보기 |
조건부 로짓 모델을 이용한 산림경관기능의 경제적 가치 평가 | 김의경 ,김동현 ,유진채 ,김미옥 | pp.891-899 |
|
보기 |
CVM을 활용한 충북지역 자연휴양림의 보전가치 추정연구 | 강기래 | pp.900-907 |
|
보기 |
중부지방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반경생장량과 지형, 기후 인자의 관계 | 변재균 ,이우균 ,노대균 ,김성호 ,최정기 ,이영진 | pp.908-913 |
|
보기 |
충남 청양, 보령지역 소나무림의 지상부와 지하부 바이오매스 및 순생산량에 관한 연구 | 서연옥 ,이영진 ,표정기 ,김래현 ,손영모 ,이경학 | pp.914-921 |
|
보기 |
염화칼슘 처리가 산벚나무 엽의 엽록소형광반응과 광합성기구에 미치는 영향 | 성주한 ,제선미 ,김선희 ,김영걸 | pp.922-928 |
|
보기 |
소나무 용적밀도의 적용성 및 불확도 평가 | 표정기 ,손영모 ,이경학 ,김래현 ,김영환 ,이영진 | pp.929-933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경북 불영계곡 소나무(Pinus densiflora)林의 再生 過程에 관한 硏究 | 소장 |
2 | 김순아, 이우균, 손요환, 조용성, 이미선, 2009. 산림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모형의 국내 적용성 분석. 한국임학회. 98(1): 1-16. | 미소장 |
3 | 산림청, 2007. 기후변화와 산림. 리플렛 자료. http://carbon.kfri.go.kr(2007. 9. 10). | 미소장 |
4 | 산림청, 2008a. “산림기본통계”. | 미소장 |
5 | 산림청, 2008b. “생장목편 DB 구축”. | 미소장 |
6 | 산림청, 2009. “소나무 고사원인과 미래전망”. | 미소장 |
7 | 安眠島 소나무 林分의 動的 生長모델 | 소장 |
8 | 손영모, 이경학, 이우균, 권순덕. 2000. 우리나라 주요 6수종의 수간곡선식. 한국임학회지 91(2): 213-218. | 미소장 |
9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al Growth and Climate Factors by Regions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 소장 |
10 | Review : Stem and Stand Taper Model Using Spline Function and Linear Equation ![]() |
미소장 |
11 | Articles :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 소장 |
12 | 임경빈, 민영택, 김영모, 한상석, 권혁민. 1995. 참나무. 임목육종연구소. pp. 187. | 미소장 |
13 | 함보영, 이우균, 정재서, 이준학. 2004. IKONOS영상과 GIS를 이용한 참나무류의 공간분포 및 출현확률추정. 한국산림측정학회지 7(1): 74-84. | 미소장 |
14 | 환경부. 1997. 금강소나무 분포 정밀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내륙지역 중심으로-. pp. 91. | 미소장 |
15 | Choi, S.H., Lee, W.K. and Son, Y.H. 2009. 04. 22 Simulating vegetation responses to climate change using MC1 model. A3 foresight program. Jinju, Korea. | 미소장 |
16 | Choi, S.H., Lee, S.C., Kim, S.N., Kwak, H.B., Kang, B.J. and Lee, W.K. 2010. Application of GIS and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in Mapping of Past and Future Climatic Variable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In preparation. | 미소장 |
17 | Climate change and changing attitudes: Effect of negative emotion on information processing ![]() |
미소장 |
18 | Lee, J.H., Lee, W.K., Jun, E.J., Kim, S.W. and Kwak, D.A. 2003. Regional Level Impact of Global Warming on the Distribution of Oak Stands in Central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sternary Research(제4기 학회) 17(2): 135- 138. | 미소장 |
19 | Lee, W.K., Biging, G.S., Son, Y., Byun, W.H., Lee, K.H., Son, Y.M. and Seo, J.H. 2006. Geostatistical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stem taper form of Pinus densiflora in central Korea. Ecological research 21: 513-525. | 미소장 |
20 | Pekka, N. and Pertti, H. 2001.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radial growth of Scots pine in northenmost Fennoscandia. Forest Ecology and Mangement 142: 65-77. | 미소장 |
21 | Effects of DEM resolution on the calculation of topographical indices: TWI and its components ![]() |
미소장 |
22 | SAS Institute, Inc., 1998. The SAS System for Windows, Release 6.12. | 미소장 |
23 | Generalized Additive Models ![]() |
미소장 |
24 | The effect of climate on radial growth of Quercus liaotungensis forest trees in Loess Plateau, China ![]() |
미소장 |
25 |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 radial growth in interior British Columbia, Canada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