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작품의 여주인공들은 모두 자살을 결심할 정도로 극단의 위기에 처한 순간, 초월적 존재와 만난다. 이를 통해 희망과 접속하고, 운명을 이해하며 존재이유를 깨닫는다. 이는 역으로 현실에서는 이들을 이해하고 심층적 소통을 나눌 존재가 없었음을 뜻하다. 이는 문학 공간이 외부적으로 '묵음 처리'되고, 내적으로 '억압'되었던 여성의 내면을 신과의 만남, 이계 체험, 꿈 등의 장치를 통해 경험하는 영적 체험의 도구이자,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서사 기제로 기능했음을 시사한다.

그런 의미에서 고소설은 독자와 정서와 감정, 무의식으로 연대하는 '감응의 체계'이자 도구였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는 고통 받는 선한 여성인물과 '눈물'로 연대하는 독자와의 공감을 상정하는 '감성의 정치학'이 정교한 서사 장치로서 작동하고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최기숙 pp.37-74

입신출세의 상경길, 욕망의 길 :野譚을 통해 본 임완혁 pp.75-110

도시문화의 모세혈관, 골목길의 발견 :李彦瑱의 <衚衕居室> 연작 小考 이승수 pp.111-141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 :『海遊錄』, 『頣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김동준 pp.143-177

홍석주의 지리적 상상력 :'노정표' 만드는 사람 박무영 pp.179-211

박창화 筆『花郞世紀』眞僞性 검토 :擬作 詩歌를 中心으로 박재민 pp.213-239

構造的 相關性으로 본 雙花店 어강석 pp.241-278

사명당 설화에 담긴 역사인식 연구 :역사인물 설화의 서사적 문법을 통한 고찰 신동흔 pp.279-310

『금오신화』의 구조미학 :相違와 疏通의 '遊' 김수연 pp.311-340

조성기 사유와 <창선감의록> 작자의식의 간극에 대하여 이지영 pp.341-372

『고본춘향전』개작의 몇 가지 문제 이윤석 pp.373-400

申光漢의 詩에 나타난 상상력과 사유 방식 :16세기 前半 館閣文人 漢詩의 轉變과 관련하여 유호진 pp.401-432

조선 후기 俠妓의 유형과 그 의미 정우봉 pp.433-463

금강산 가사의 지리적 상상력과 장소 표현이 지닌 의미 염은열 pp.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