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906년 순종의 가례반차 연구 / 이왕무 1
[목차] 1
국문요약 2
I. 머리말 3
II. 순종의 가례와 행행 5
III. 1906년 「가례반차도」의 구성과 내용 9
IV. 순종 「가례반차도」의 특징 13
【순종의 가례 일정】 14
【헌종의 가례 일정】 15
V. 맺음말 18
[부록] 순종 「가례반차도」의 내용 정리 20
참고문헌 25
Abstract 26
1906년 순종의 가례는 조선 왕실이 제후국에서 황제국 의례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면서 여전히 조선 왕실의 전통과 前例를 사용하는 이중적인 모습도 나타낸다. 가례에 참여하는 인원과 器皿의 대부분이 황제국의 면모를 드러내기보다는 조선 왕실의 전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예컨대 內人들의 복장과 고위 관료들의 관복에서 가마와 기명의 구성까지 전례되던 양식을 답습하고 있다. 그럼에도 龍亭과 七鳳蓋 등의 황태자 의장과 대대 체제의 군대가 서구식 군복을 착용하고 군악대가 동원되는 모습은 황제국을 지향하는 근대국가의 이미지를 대외적으로 주목하게 하는 시각적 변화이다. 특히 1905년 러일전쟁 이후 대내외적으로 일본의 식민지적 침략 행태에 위축되어가던 대한제국의 威儀를 화려한 국가의례로 극복하고자 하는 심려도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1906 obey the emperor’s royal wedding to show how changes to the
country has the characteristics. Yet still the royal tradition and precedent
indicates that use of a dual appearance. royal wedding to participate in the
personnel and most of the stuff, rather than revealing aspects of the State of
the emperor’s royal tradition is because it shows. For example, Court lady’s
costumes and robes of senior officials from the sedan chai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vessels have been traced back to the form that were
unprecedented. Nevertheless, chairman and major systems, the army of the
Prince wearing Western-style uniforms and the mobilization of military bands
like the bureau of the emperor’s image externally oriented attention as a
modern nation that is a visual chang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especially after the 1905 Russo Japanese colonial aggression on our behavior
is contracted to the authority of the Empire State as a courtesy to overcome a
brilliant also appeared worried that could be interpreted.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임진왜란 시기 수군 깃발의 형태와 용도 | 제장명 | pp.10-51 |
|
보기 |
舟村 申㬅의 『保幼新編』 편찬과 『舟村新方』 | 양승률 | pp.52-77 |
|
보기 |
罷繼 행정을 통해 본 18세기의 입후법 운용 :장서각 소장 『繼後謄錄』을 중심으로 | 박경 | pp.78-111 |
|
보기 |
조선 영조대 親蠶禮 시행과 의의 :1767년(영조 43) '丁亥蠶禮'을 중심으로 | 임혜련 | pp.112-135 |
|
보기 |
丁學淵의 매화 연작시 「梅花三十首」에 대한 一考 | 김지영 | pp.136-162 |
|
보기 |
1906년 순종의 嘉禮班次 연구 | 이왕무 | pp.164-189 |
|
보기 |
唐代 지방의 文書案과 官文書 작성 :한국 고대 관문서의 시원에 대한 탐색 | 심영환 | pp.190-218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조선왕조실록 | 미소장 |
2 | Seungjeongwonilgi(승정원일기) | 미소장 |
3 | 『(순조)가례도감의궤』. | 미소장 |
4 | 『(헌종)가례도감의궤』. | 미소장 |
5 | 『(순종)가례도감의궤』. | 미소장 |
6 | 『가례반차도』. | 미소장 |
7 | 『황태자가례등록』. | 미소장 |
8 | 『왕비가례등록』. | 미소장 |
9 | 『대한예전』 | 미소장 |
10 | 1987 ,『朝鮮朝 宮中風俗研究』일지사. | 미소장 |
11 |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일지사,2000 | 미소장 |
12 | 「장서각소장 朝鮮王朝 嘉禮都監儀軌의 미술사적 고찰」, 이성미 외, 『장서각소장가례도감의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 미소장 |
13 | 「대한제국의 의례재정비와 전통의 창출」, 전통의 변용과 근대개혁 (서울: 태학사, 2004). | 미소장 |
14 |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미소장 |
15 | 2004.『 만들어진전통』. 서울: 휴머니스트. | 미소장 |
16 | 「高宗初期(1863-1873)國家禮儀 시행의 의미」, 『朝鮮時代學報』31,조선시대사학회 , 2001 | 미소장 |
17 | 「1866년 고종의 嘉禮와 대원군의 위상 강화」『한국사연구』136,2007. | 미소장 |
18 | 1802년 순조의 가례에 나타난 국왕의 행행 연구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