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Contents

L'experimentation en traductologie / Franck Barbin 1

Introduction 1

1. Les protocoles de verbalisation 4

1.1. Methode(이미지참조) 4

1.2. Limites 6

2. Oculometrie et memoire de travail 9

2.1. Presupposes theoriques et methode(이미지참조) 9

2.2. Interpretations(이미지참조) 13

3. Irm fonctionnelle et representation mentale 14

3.1. Cadre experimental(이미지참조) 14

3.2. Interpretations(이미지참조) 17

4. Conclusion 19

Bibliographie 21

〈Resume〉(이미지참조) 23

초록보기

번역가는 의미 생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탁월한 소재를 구축한다. 늘어나는 실험 횟수는 번역 작업(언어적 표출의 공식의례, 시선 감지 카메라 시스템, 사진 촬영 기술)이 이루어지는 동안 실행되는 인지과정에 깊이 관여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기술들을 통해 우리가 어떤 텍스트를 번역하는 방법을 점차 다듬어 갈 수 있게 된다. 특히 그 기술들은 우리들의 정신적 표상과 삽화의 이미지 기억 장치에 의해 작용된 역할을 명확하게 해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읽기와 번역의 임무가 부분적으로 다른 두뇌 작용을 일으키며 의미론적인 체계가 번역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정지된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번역 해석 이론과 일치하게 된다. 번역가는 지시된 실재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를 만들어 의미하고자 하는 바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원문에서 사용된 언어학적 기호들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신경과학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이제 정신적 이미지가 비물질적인 의미에서 쓰인 비언적 표출에 해당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정신 활동, 더 정확히 말하자면 각 개인의 대뇌 피질 안에서 일어나는 표상에 해당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역학은 정신적 표상의 개념에 대한 인지과학과 조우하게 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 문학의 특성에 대한 연구 :단순화와 대체를 중심으로 고봉만 pp.1-33

보기
코르시카와 소설적 인물 구성 연구 : 『코르시카의 형제들』(Les Frères corses)에 나타난 인물과 서사를 중심으로 김동윤 pp.35-70

보기
디지털 텍스트를 활용한 프랑스어 교육 김명관 pp.71-91

보기
프랑스어 대명사의 본질에 대한 연구 김예숙 pp.93-118

보기
문학작품과 번역 읽기 :뒤라스의 『모데라토 칸타빌레』를 중심으로 김화영 pp.119-161

보기
증오와 분노의 화신 : 프랑수아 모리악의 『독사뭉치 Le Noeud de Vipères』를 중심으로 김희명 pp.163-188

보기
프랑스 연극의 지방 분산화와 연극적 실천에 대한 고찰 .2 ,Roger Planchon의 후기 극단 "Théâtre de la Cité"를 중심으로 박동혁 pp.189-217

보기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 나타난 엠마의 남성성 박혜영 pp.219-242

보기
동화번역에 대한 일고 :보몽 부인의 『미녀와 야수』번역사례를 중심으로 이순희 pp.243-280

보기
생텍쥐페리의 「남방우편기Courrier Sud」번역 품질 평가 연구 이영훈 ,신화인 pp.281-346

보기
쥘 쉬페르비엘의 작품 속에 나타난 우주적 휴머니즘 :『중력들 Gravitations』을 중심으로 이주현 pp.347-379

보기
가브리엘 루아의 『데샹보 거리』에 나타난 페미니즘 :여성의 자유와 정체성 추구 이지순 ,백지연 pp.381-414

보기
랭보와 알제리의 「유구르타」 그리고 지중해 여행 정남모 pp.415-445

보기
사르트르의 언어와 문체, 그리고 번역 지영래 pp.447-476

보기
플로베르의 『세가지 이야기 Trois contes』에 나타난 대조와 통일성 진인혜 pp.477-501

보기
베르나르 아시니위의 소설 『잘린 팔』에 나타나는 식민적 상황과 인디언의 복수 진종화 pp.503-528

보기
랭보의 『일뤼미나시옹 Illuminations』연구 .2 ,시의 묘사와 계시 한대균 pp.529-556

보기
미쉘 오슬로의 애니메이션과 프랑스 동화콘텐츠 한용택 pp.557-590

보기
L'expérimentation en traductologie Franck Barbin pp.591-614

보기
이민자 언어와 사회 통합 :캐나다 퀘벡을 중심으로 김진수 pp.615-641

보기
(La)tension esthétique de la visibilité et de l'invisibilité dans la corporalité de Merleau-Ponty : à travers de l'analyse des images cinématographiques Kim, Jin-Teak pp.643-672

보기
기다림, 변화, 사유 :아녜스 바르다의 <5시에서 7시까지의 클레오> 심은진 pp.673-696

보기
사하라이남 서아프리카 구전동화 속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오정숙 pp.697-722

보기
서아프리카 도공족의 인간관 이경래 pp.723-749

보기
프랑스 다문화교육 정책 무엇이 강점인가 :우리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경수 pp.751-776

보기
경계와 탈경계의 해항도시 :<망향 Pépé le moko>에 나타난 "알제 Alger" 연구 이송이 pp.777-807

보기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Language Control and Lexical Competition in Bilinguals: An Event-Related fMRI Study 네이버 미소장
2 The episodic buffer: a new component of working memory? 네이버 미소장
3 Barbin, Franck, « Traduire : e ntre r upture(s) et c ontinuité », in Catastrophes, discontinuités, ruptures, limites, frontières, pp. 45-54, Paris, ENS des Télécommunications, 2007. 미소장
4 Beust, Pierre et al., « Une expérimentation pluridisciplinaire sur le suivi du regard dans une démarche de conception de logiciel », in Expérience et expérimentation, Paris, ENS des Télécommunications, 2008. 미소장
5 Cordier, Françoise et Gaonac’h, Daniel, Apprentissage et mémoire, Poitiers, Nathan Université, 2004. 미소장
6 Language Control in the Bilingual Brain 네이버 미소장
7 L’élaboration de la cohérence en traduction; le rôle des référents cognitifs 네이버 미소장
8 Durieux, Christine, « La traductologie: une discipline limitrophe », in Michel Ballard (Ed.), Qu’est-ce que la traductologie ?, pp. 95-105, Arras, Artois Presses Université, 2006. 미소장
9 Eco, Umberto, Lector in fabula, Paris, Le Livre de Poche, Biblio Essais, 1995. 미소장
10 Mental Control of the Bilingual Lexico-Semantic System. 네이버 미소장
11 Hansen, Gyde, « Experience and Emotion in Empirical Translation Research with Think-Aloud and Retrospection », Meta 50, 2, 2005, pp. 511-521. 미소장
12 Kosma, Alexandra, « Le fonctionnement spécifique de la mémoire de travail en traduction », Meta 52, 1, 2007, pp. 22-28. 미소장
13 The Translation Process: an analysis of observational methodology. 네이버 미소장
14 Lederer, Mariane, La traduction aujourd’hui, Paris, Hachette, 1994. 미소장
15 Lee-Jahnke, Hannelore, « New Cognitive Approaches in Process-Oriented Translation Training », Meta 50, 2, 2005, pp. 359-377. 미소장
16 Traductologie et sciences cognitives 네이버 미소장
17 A functional imaging study of translation and language switching 네이버 미소장
18 Rydning, Antin, « Pénétrer la boite noire du traducteur », Linguistica Antverpiensia 1, 2002, pp. 273-85. 미소장
19 Le défi du procédé synecdoquien en traduction 네이버 미소장
20 Varela, Francisco, Thompson, Evan et Rosch, Eleanor, L'inscription corporelle de l’esprit, Paris, Seuil, 199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