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진로적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 이병임 ; 한윤영 ; 하주현 1

〈요약〉 1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II. 이론적 배경 3

1. 진로적성의 인지적 특성 3

2. 진로적성의 정의적 특성 7

III. 연구방법 10

1. 연구대상 10

2. 검사개발과정 10

3. 자료분석방법 11

IV. 연구결과 12

1. 본 검사의 하위요인별 평균과 표준편차 12

2. 본 검사의 신뢰도 13

3. 본 검사의 타당도 13

V. 결론 및 제언 24

참고문헌 26

Abstract 27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학생들의 진로와 직업에 관련된 인지적 특성(기본 정신 능력)과 정의적 특성(활동, 능력, 성격, 가치, 직업선호도)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진로적성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예비검사의 경우 인지능력검사는 고등학생 224명, 대학생이 221명으로 총 445명, 선호도 검사는 고등학생 222명, 대학생 254명 총 476명 이였다. 본 검사의 경우, 인지능력 검사는 고등학생 333명, 대학생 169명, 선호도검사는 고등학생 527명, 대학생 561명이었다. 인지능력검사는 추리, 공간지각, 기억, 언어이해, 수리, 지각속도, 단어유창성 7가지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문항을 개발하였고, 선호도 검사는 활동, 능력, 성격, 가치, 직업선호도 5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Holland의 RIASEC 유형으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는 인지능력검사150문항, 선호도검사 409개 문항으로 되어있으나, 검사 실시 후 정답률이 90%이상이거나 10%미만인 문항과 신뢰도 계수가 낮은 문항은 삭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본 검사문항은 인지능력 검사가 67문항, 선호도 검사가 180문항이었다. 인지능력 검사의 문항 내적 합치도는 7개 하위영역이 .463~.766범위로 나타났고, 반분신뢰도는 .443~.693 범위로 나타났다. 선호도 검사의 문항 내적 합치도는 .499~.823의 범위였고 반분신뢰도는 .481~.822 범위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인지능력 검사와 선호도 검사의 요인분석 결과 거의 모든 문항이 원래의 문항에 부하되었으며, 상호상관결과 상관행렬 간에 유의하나 높지 않은 상관을 보여 하위요인 간에 상호중첩성이 크지 않게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wo dimensional career aptitude scale: cognitive ability and attitude. As subjects of preliminary test, 445 students to measure the cognitive ability and 476 students to measure the attitude were tested. As the cognitive ability factors, reasoning, space perception, memory, verbal comprehension, numeric factor, perceptual speed, word fluency were obtained. As the attitude factors, RIASEC Reality, Investigation, artistic, socal, enterprise, conventional were obtained. The preliminary test for the cognitive ability of Career Aptitude Scale consists of 150 items. The test for cognitive ability of Career Aptitude Scale consists of 67 items. The preliminary test for the attitude of Career Aptitude Scale consists of 409 items. The test for the attitude of Career Aptitude Scale consists of 180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test for cognitive ability, cronbach α coefficients ranged from .463~ to .766. In the test for attitude cronbach α coefficients ranged from .499~to .823. Construct validity was supported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ation were supported form inter-correl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내·외재적 미래 목표, 과제도구성 지각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구조적 관계 분석 문병상 pp.219-234

보기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숙정 pp.235-253

보기
생애목표검사 개발 및 타당화 신종호 ,서은진 ,이유경 pp.255-276

보기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강승호 ,문은식 ,차미영 pp.277-293

보기
유아대상 미술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전미란 ,박병기 pp.295-316

보기
진로적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이병임 ,한윤영 ,하주현 pp.317-343

보기
청소년들의 유능성과 관계성 및 내재동기가 공부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김은주 ,김민규 pp.345-365

보기
FPSP를 활용한 과학과 프로젝트 수업이 통합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명숙 ,박상범 pp.367-390

보기
Profiles of reading achievement for adolescent English learners in high-stakes tests Hyo Jin Lim pp.391-416

보기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봉규 (2005). 심리검사의 이론과 기법. 서울: 동문사. 미소장
2 김봉환, 김병석, 정철영 (2000). 학교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미소장
3 김영인, 노경주, 정철영 (2006). 청소년 진로지도 및 학업지도.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미소장
4 김인수 (1992). KPTI 흥미검사. 한국심리검사연구소. 미소장
5 김정택, 김명준, 심혜숙 (2000). Strong 진로탐색검사 활용 가이드. 한국심리검사연구소. 미소장
6 김정택, 김명준, 심혜숙 (2001). Strong 직업 흥미검사 매뉴얼.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미소장
7 김충기, 정채기 (1995). 진로 흥미․적성검사. 한국 적성연구소. 미소장
8 동아 출판사 편집국 (1995). 동아 새 국어사전. 동아출판사. 미소장
9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심리연구실 (1995). 흥미검사. 코리안테스팅쎈터. 미소장
10 이진성 (2009). 대학생 선발 절차에 관한 연구: 성격검사, 적성검사, 평가센터의 타당도. 호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임규혁, 임웅 (2007). 교육심리학. 서울:학지사. 미소장
12 임인재 (1992). 진로적성검사 실시 및 해석요강.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발행. 미소장
13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994). 종합능력진단검사(지능․적성검사). 한국 국․공립인문고등학교장회. 미소장
14 Doverspike, D., Cober, A. B., & Arthur Jr., W.(2004). Multiaptitude test batteries.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logical. 미소장
15 Hartigan, J. A., & Wigdor, A. K.(1989). Fairness inemployment testing. Validity generalization, minority issues, and the General Aptitude Test Batte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미소장
16 www. careernet.re.kr. 미소장
17 www.work.go.kr. 미소장
18 www.kpti.co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