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미국 조지아 주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사회의 성장과 공간적 분포 / 이승철 ; 이의한 1

요약 1

1. 서론 1

2.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 이민의 역사 3

1) 1980년 이전 3

2) 1980년 이후 4

3.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업체의 지역별 입지 동향 6

1)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업체의 주요 카운티별 입지 동향 6

2)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업체의 주요 도시별 입지 동향 7

4.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업체의 업종별 입지 동향 9

5. 결론 12

주 13

참고문헌 13

Abstract 15

초록보기

본 논문은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와 인근 지역(이하 메트로 애틀란타)의 한인인구와 한인업체의 지역별 분포 및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사회의 전반적인 성장과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메트

로 애틀랜타에 입지한 한인업체의 시기별 성장과정과 주요 지역 및 업종별 입지 동향 분석을 통해 한인업체의 공간적 분포

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애틀랜타 한인 이민의 역사를 살펴보았으며,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업체의 입지 동

향과 주요 업종별 입지 동향을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업체의 주요 입지는 교통의 발달, 새로

운 지역의 개발, 교육 여건, 인종별 주거 비중의 변화 등으로 인해 애틀랜타 북동쪽의 외곽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한인업체의 주요 업종은 미국의 제도, 한인 거주민의 이주, 시장 전략 등에 따라 소매업과 음식점 및

주점업에서 부동산업과 금융업으로 전환되었고, 소매업의 입지 비중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he growth process of new emerging

Korean society in Georgia, the USA by investigating changes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Korean

business located in metro Atlanta region. More specifically, it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business in metro Atalanta through their locational trends since 1980s.

To this end, it has explored the history of Korean migration into Georgia and the locational trends

of Korean firms in metro Atlanta by industries. As a result, the main location of Korean firms has

expanded into the northeastern regions of Atlanta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ew

regional development, education environment and changes in residential distribution by ethnic.

Also, the main Korean business has transformed from retails and restaurant to real estate and

finance because of changes in market strategies, institutions and Korean local migr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역발전전략으로 지역축제와 이벤트의 지리학 :한국을 사례로 이정록 pp.99-115

보기
Pickup Poing 최적입지선정을 위한 Greedy Heuristic Algorithm 개발 및 적용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시스템을 대상으로 박종수 ,이금숙 pp.116-128

보기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사회적 배제의 형성 :노동시장 변동의 지역성에 대한 이해 이원호 pp.129-142

보기
대기오염지수와 도시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자료를 바탕으로 이원도 ,원종서 ,조창현 pp.143-156

보기
헬스케어 REITs의 성과 및 운영 특성과 국내 실버산업에의 활용 방안 박원석 pp.157-175

보기
구직과 구인, 취업참여의 지역간 차이 문남철 pp.176-191

보기
박정희 정권의 노동통제전략 :형성과 진화 김용철 pp.192-210

보기
농촌지역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지역사회투자활동과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농촌사랑국민운동본부의 1사1촌 운동을 사례로 김재현 ,장주연 ,이효정 pp.211-224

보기
미국 조지아 주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사회의 성장과 공간적 분포 이승철 ,이의한 pp.225-239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호주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거주이동 소장
2 산은경제연구소, 2007,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부실화. 미소장
3 신용상 외, 2007,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분석과 전망, 한국금융연구원. 미소장
4 와싱톤 인쇄소, 각 년도, 한인록. 미소장
5 애틀랜타 조선일보, 2009(08. 25), 애틀랜타 6대 한인업종 연매출 27억 불 넘어. 미소장
6 외교통상부, 2009, 재외동포현황. 미소장
7 An Analysis of Occupations of Korean immigrants in Auckland, New Zealand 소장
8 이전, 2001,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 서울: 한울. 미소장
9 이전, 2002, 애틀랜타 한인 이민사, 서울: 푸른길. 미소장
10 韓人 移民 敎會의 成長과 그 機能에 관한 硏究 : 美國 조지아 州 애틀랜타 韓人 敎會를 中心으로 소장
11 Church Activities and Identity Problems of the 2nd-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Atlanta, GA 소장
12 Characteristics of Korean Self-Employment in Chicago IL PMSA 소장
13 미국에서 한인 자영업에 관한 연구 소장
14 Immigration Policy and Asian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소장
15 Bishop, D. M., 1976, A Korean at Oxford, Emory Magazine 53(3). 미소장
16 Min, Pyong Gap, 1988, Ethnic Business Enterprise: Korean Small Business in Atlanta, Staten Island: Center for Migration Center. 미소장
17 U.S. Census Bureau, each year, Census. 미소장
18 U.S. Census Bureau, each year, American Community Survey. 미소장
19 외교통상부(http://www.mofat.go.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