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구어 문법의 존재와 그 가치를 입증하였다. 기존 문어를 기반으로 한 국어 문법에서 취한 설명 방식이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했을 때는 적절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구어를 위한 구어 문법의 모형 설정을 통해서 문어 문법까지 아우를 수 있는 통합 문법의 방향을 제시했다. 구어 현상에 대한 천착을 통해서 한국어의 주요 문법요소들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핵심적으로 첫째, 조사 '이/가'와 '을/를'의 정체성 문제를 다시 제기하여 구어 문법에서는 이들 조사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그리고 조사 생략의 문제는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가야 하는가를 구어 문법 중심에서 그 입장을 제시했다. 전통적으로 '이/가'와 '을/를'을 각각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로 보는 시각을 넘어서서, 조사 '은/는', '도'와 더불어 담화적 기능의 한정조사로 보는 시각을 논증하고 견지함으로써, 구어 현상을 새롭고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기존의 통사적 기능으로서의 주어와 목적어 성분에 대한 통사적 분석을 새롭게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성과 중의 하나이다. 또한 구어 문법의 모형을 따라 조사 생략 현상을 근원적인 생성의 절차로 설명하는 게 더 낫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어미 '-(는)다'를 평서형 종결어미로 규정하고 있는 문어 문법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현상을 드러내고 구어 문법의 입장에서 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어미 '-(는)다'의 문법적 위상을 전체 어미 체계 속에서 '인용·접속법 종결어미'로 규정함으로써 구어체나 문어체에서 실제 사용되는 어미 '-(는)다'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었다. 부산물로 (i)일기문에서 '-(는)다'형이 쓰이는 이유, (ii)'-(는)다'형이 문어의 기본 형식으로 정립된 이유, (iii)'-(는)다'가 독백과 낭독체형의 객관적 문어체의 대표형으로 발달되어 온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기저의 이유는 '-(는)다'가 기본적으로 인칭의 관점에서 3인칭성을 갖는다는 점이었다. 본고는 더 나아가 한국어의 어미 구조체가 인칭과 문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원이라는 점을 밝혀 인칭 정보가 한국어 통사 구조를 밝히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입증하였고, 구어체 문장의 분석을 위한 문법 모형이 왜 필요한지를 보여주었다.

권호기사

참고문헌 (7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범모·김흥규(2004),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 사용 빈도의 분석 2」, 고려대학교 민 족문화연구원. 미소장
2 강소영(2007), 「구어와 문어 자료의 실제적 연구 방법론」, 한국문화사. 미소장
3 On Corpus-Based Studies of Spoken Language 소장
4 구현정(2009), 「대화의 기법: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경진. 미소장
5 권재일(2000),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미소장
6 권재일(2004),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7 권재일(2006), “구어 문법과 조사의 생략”,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429-446, 태학사. 미소장
8 구어 조사의 특성 : 문법 표준화를 위한 계량적 분석 소장
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and written Korean 소장
10 문어와 구어에서의 조사 '의'의 문법 소장
11 A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Discourse Marker 소장
12 김흥규·강범모(2000),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 사용 빈도의 분석 1」, 고려대학교 민 족문화연구원. 미소장
13 남기심·고영근(1993), 「표준 국어문법론 개정판」, 탑출판사. 미소장
14 노대규(1996),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미소장
15 노마 히데키(2009), “대우 표현과 대우법 ‒ 몇 가지 시각”, 「한국어 교육 연구」 4, 57‒ 103, 배제대학교 한국어교육연구소. 미소장
16 격조사 교체 현상에 대한 통사·미적 논의의 재검토 : 조사류의 새로운 질서를 토대로 소장
17 {좀}의 기능과 문법화 소장
18 목정수(2003a), 「한국어 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미소장
19 Essai sur l`analyse de la phrase a travers la traduction contrastive en coreen et francais: un nouveau syteme de la personne des desinences terminatives en coreen 소장
20 한정조사 {(이)나}의 통사론과 서법 제약 소장
21 The Syntactic Function of the Second NP in Descriptive and Subjective Verb Constructions 소장
22 국어 이중주어 구문의 새로운 해석 소장
23 Defense of the Support Verb ‘ida' in Korean 소장
24 한국어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에 대하여 소장
25 한국어 종결어미의 반복 순서 제약과 인칭의 문제 소장
26 Some Arguments for Defending ‘ida' as a Support Verb 소장
27 The Auxiliary Verb ‘juda’ as a Dative Case Marker 소장
28 목정수(2009), 「한국어, 문법 그리고 사유」, 태학사. 미소장
29 Modeling for a Spoken Korean Grammar 소장
30 한국어 동사·어미 범주와 주어 인칭의 상관관계 소장
31 Colloquial Use and Literary Misuse 소장
32 박석준·남길임·서상규(2005), “대학생 구어 말뭉치에서의 조사·어미의 분포와 사 용 양상”, 서상규·구현정 공편(2005), 「한국어 구어 연구 (2)」, 81-110, 한국문 화사. 미소장
33 박성현(1996), 「한국어 말차례 체계와 화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4 박용익(1998), 「대화분석론」, 한국문화사. 미소장
35 서상규·구현정 공편(2002), 「한국어 구어 연구 (1): 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미소장
36 서상규·구현정 공편(2005), 「한국어 구어 연구 (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미소장
37 서은아·남길임·서상규(2005), “대학생 구어 말뭉치의 문형 연구”, 서상규·구현정 공편(2005), 「한국어 구어 연구 (2)」, 111-158, 한국문화사. 미소장
38 A Study on the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in Korean spoken Language 소장
39 A study of the nominative case marker in Korean spoken Language 소장
40 이남순(1988), 「國語의 不定格과 格標識 省略」, 탑출판사. 미소장
41 이남순(1998), 「격과 격표지」, 도서출판 월인. 미소장
42 구어체 텍스트에서의 한국어 연결 어미의 기능 네이버 미소장
43 이정복(2010), “주체 높임 ‘-시-’의 기능 확장과 배경 분석”, 「2010 국어학회 제37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39-158, 국어학회. 미소장
44 이정애(2002), 「국어화용표지의 연구」, 도서출판 월인. 미소장
45 On the present figures and prospects of Discourse Analysis Studies in Korean 소장
46 임혜지(2009), 「고등어를 금하노라」, 푸른숲. 미소장
47 국어 굴절의 원리적 성격과 재구조화 네이버 미소장
48 임홍빈(1998), 「국어 문법의 심층 1, 2, 3」, 태학사. 미소장
49 임홍빈 외(2002), 「국어 문법 현상의 계량적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미소장
50 문어/문어체·구어/구어체 재정립을 위한 시론 소장
51 구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장
52 장소원(1986), “문법 기술에 있어서의 문어체 연구”, 「국어연구」 72, 서울대학교 국어 연구회. 미소장
53 장영희(2009),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샘터. 미소장
54 구어와 담화 연구 소장
55 전혜영 외(2002), 「화용론 연구」, 태학사. 미소장
56 지현숙(2006), 「한국어 구어 문법 능력의 과제 기반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미소장
57 '교육 문법'에 있어서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에 대하여 소장
58 최명식(1985), 「조선말 입말체 문장연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해외우리어문학연 구총서95, 한국문화사 영인본). 미소장
59 센터링 이론과 대화체에서의 논항 생략 현상 소장
60 Aijmer, K. & B. Altenberg(eds.)(1991), English Corpus Linguistics, London and New York: Longman. Bally, Ch.(1952), Le langage et la vie, Geneva. 미소장
61 Benveniste, E.(1946), Structure des relations de personne dans le verbe, In Émile Benveniste(1966), Problèmes de linguistique générale 1, pp. 255-236, Édition Gallimard. 미소장
62 Blanche-Benveniste, C. et al.(1984), Pronom et Syntaxe: L'approche pronominale et son application au français, Société d'Etudes Linguistiques et Anthropologiques de France. 미소장
63 Blanche-Benveniste, C. et al.(1990), Le Français Parlé: Etudes grammaticales,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Paris. 미소장
64 Burke, D.(1996), Street French 1: the Best of French slang, John Wiley & Sons, Inc. 미소장
65 Derrida, J.(1967), De la grammatologie, Les Editions de Minuit. 미소장
66 Guillaume, G.(1929), Temps et Verbe, Librairie Honoré Champion, Paris. 미소장
67 Hong, Minpyo(2002), A Review on Zero Anaphora Resolution Theories, Korean Studies in Modern Grammar 29, pp. 167-186. 미소장
68 Jakobson, R.(1956), Shifters, Verbal Categories, and the Russian Verb, In R. Jakobson. 1971. Selected Writings: Word and Language II, pp. 130-153. 미소장
69 Joly, A.(1987), Essais de systématique énonciative, Presses Universitaires de Lille. Miller, J. and R. Weinert(1998), Spontaneous Spoken Language: Syntax and Discourse, Clarendon·Oxford. 미소장
70 Ramstedt, G. J.(1939), A Korean Grammar, Helshinki[역대문법대계 2부 5책(탑출판 사) 수록]. 미소장
71 Song, J. J.(2001), Linguistic Typology: Morphology and Syntax, Pearson. (김기혁 옮김(2009), 「언어유형론: 형태론과 통사론」, 보고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