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원문과 이중번역문 간의 메타몰포즈 고찰 : 언어의 시적 기능과 메타언어적 기능을 중심으로 / 허진 1

I. 『Le Neveu de Rameau』의 두 가지 판본 1

II. 번역과 번역비평의 한계 6

III. 번역과 의사소통행위 13

1. 의사소통론에서의 번역의 위상 13

2. 전언의 시적 기능 18

3. 약호의 메타언어적 기능 20

IV. 메타몰포즈의 실제 21

1. 시적 표현의 메타몰포즈 21

2. 메타언어의 잉여적 출현 26

V. 결론 29

참고문헌 32

〈Résumé〉 35

초록보기

Le pr?ent article a pour but de consid?er la m?amorphose entre

texte original et double-texte retraduit autour des fonctions po?ique

et m?alinguistique du langage, en s'appuyant sur les deux versions

du Neveu de Rameau de Denis Diderot. Nous avons singuli?ement

deux textes fran?is tr? diff?ents : l'un ?rit certainement par Denis

Diderot, auteur de cette oeuvre, l'autre retraduit en fran?is ?partir

de la version allemande qui a ??traduite par Goethe.

Nous avons essay?dans cette ?ude de comparer et constater une

grande divergence dans le style d'?riture entre eux particuli?ement

aux points de vue po?ique et m?alinguistique du langage.

Voici les r?ultats que nous avons obtenus:

- Nous avons mis un texte original ou traduit en parall?e au

massage dans le domaine de la communication humaine. Si

nous nous sommes int?ess? au texte pour lui-m?e et au

code du texte, c'?ait pour d?onstration de sa m?amorphose

par la traduction. - Ayant suppos?le t ex te en tant que l e message qui e st f ait

en codage linguistique, nous avons montr?certaines

exemples de m?amorphoses au niveau d'un c??po?ique

et constat?la redondance du m?alangage dans le texte

retraduit.

Cette tentative appuy? sur une analyse textuelle semble pouvoir

rappeler les id?s de la difficult??ernelle et la sp?ialit?interminable

des traducteurs dans le domaine de traduc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페르시아인의 편지』와 『법의 정신』에 나타난 자연의 개념 고봉만 pp.1-30

보기
쉬페르비엘의 시적 여정과 공간적 상상력의 양방향성 김시원 pp.31-54

보기
인생 입문의 장으로서의 인도차이나 :뒤라스의 인도차이나 3부작을 중심으로 김중현 pp.55-79

보기
클로드 시몽의 콜라주 글쓰기 문혜영 pp.81-101

보기
프랑스어의 관사 교육 모델 제시를 위한 연구 박우성 pp.103-132

보기
장 지오노의 작품에 나타난 바람의 테마 안영현 pp.133-162

보기
사르트르 한국 수용사 연구 :사르트르의 비평을 중심으로 윤정임 pp.163-196

보기
프랑스 현대 무대에서의 『맥베스』의 부활 :자리의 『위비왕』과 이오네스코의 『막베트』를 중심으로 이선화 pp.197-236

보기
L'écriture transculturelle de Ying Chen Gilles Dupuis ,Lee, In-Sook pp.237-265

보기
쥘 쉬페르비엘과 르네 샤르 :장소의 생태적 경험에 대한 비교 연구 이찬규 pp.267-299

보기
프랑스어 서술명사 <<colère>>와 한국어의 대응어 구문 임정혜 pp.301-328

보기
안 에베르의 『가마우지 떼(Les Fous de Bassan)』에 나타난 욕망과 해방의 문제 정상현 pp.329-358

보기
19세기 문학가 :댄디들을 통해 본 댄디즘의 아이러니 조은라 pp.359-389

보기
이브 테리오의 소설 『아가국』에 나타나는 이누이트와 백인의 갈등 진종화 pp.391-422

보기
원문과 이중번역문 간의 메타몰포즈 고찰 :언어의 시적 기능과 메타언어적 기능을 중심으로 허진 pp.423-458

보기
아폴리네르의 오르피즘 미학과 프랑수아 뤼드 권용준 pp.459-496

보기
끌로드 쥐트라의 Mon oncle Antoine를 통해서 살펴 본 퀘벡의 정체성과 영상언어의 상관관계 박희태 pp.497-520

보기
장 뤽 고다르의 <만사형통> :갈등과 모순의 영화 안보옥 pp.521-545

보기
Etude sur la violence identitaire dans la situation d'immigration :une approche psychodynamique autour des adolescents coréens en France Won, Su-Hyun pp.547-575

보기
L'identité d'une communauté à travers les pratiques de loisir :le cas des Coréens de France Lee, Il-Yul pp.577-607

보기
프랑스어권 문화·지역학 교육의 방향성 및 강의 내용에 대한 연구 정남모 pp.609-640

보기
오마주를 통해 본 르 코르뷔지에와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적 관련성 연구 황덕현 pp.641-669

보기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iderot (D.), Le Neveu de Rameau, publié pour la première fois sur le manuscrit original autographe avec une introduction et des notes par Georges Monval, Paris, Librairie Plon, 1891. 미소장
2 Diderot (D.),Le Neveu de Rameau, texte en français retraduit de la version allemande de Goethe, dirigés par MM. de Saur & de Saint-Geniès, Paris, Delaunay Librairie Palais-Royal, 1821. 미소장
3 Diderot (D.), Le Neveu de Rameau, Nouvelle édition revue et corrigée sur les différents textes avec une introduction par Charles Asselineau, Paris, Poulet-Malassis, Libraire-Éditeur, 1862. 미소장
4 Diderot (D.), Le Neveu de Rameau, ebook libre et gratuit in http://www.ebooksgratuits.com, 2004. 미소장
5 Diderot (D.), Le Neveu de Rameau, Edition critique avec notes et lexique par Jean Fabre, Librairie Droz, 1977; Pour la traduction de 황현산, 라모의 조카 ,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미소장
6 Diderot (D.), Le Neveu de Rameau, annotés par Cho Han-Kyung, Shinasa, 1986. 미소장
7 Diderot (D.), Rameau's Nephew, translated with introductions by Leonard Tancock, Penguin Books, 1966. 미소장
8 Diderot (D.), Rameau's Nephew (E-Text), translated by Ian Johnston of Malaspina University-College Website, http://records.viu.ca/ ~johnstoi/diderot/rameau_e. htm, Johnstonia, 2010. 미소장
9 Berman (A.), L’épreuve de l’étranger. Culture et traduction dans l’Allemagne romantique, Pris, Gallimard, Essais, 1re éd. 1984, 1995. 미소장
10 Berman (A.), La traduction et la lettre ou l’auberge du lointain, Paris, Seuil, 1999. 미소장
11 Chouillet (J.), La formation des idées esthétiques de Diderot, Armand Colin, Paris, 1974. 미소장
12 Davreu (R.), “Antoine Berman, penseur de la traduction” in www. univ-paris.fr/ dela/etranger/pages/1~4/Davreu.pdf. 미소장
13 Delisle (J.), “Le sens à travers l’histoire de la traduction de l’Antiquité à la fin du XIXe siècle”, Convergences, Mises en perpective, Minard, 2005. 미소장
14 Dieckmann (H.), Inventaire du fonds Vandeul et inédits de Diderot, Librairie Droz, 1951. 미소장
15 Encyclopedia of the Novel, ed. by Schillinger (Paul), Fitzroy Dearborn, 1998. 미소장
16 Fuchs (C.), La paraphrase, Paris, PUF, 1982. 미소장
17 Fuchs (C.), Paraphrase et énonciation , Paris, Ophrys, 1994. 미소장
18 Gadamer (H.-G.), Vérté et méthode, Paris, Seuil, 1976. 미소장
19 Jakobson (R.), “Closing statements : Linguistics and Poetics”, Style in langage, T. A. Sebeok, New-York, 1960; Pour la traduction de Ruwet (Nocolas), “Linguistique et poétique”, Essai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ris, Minuit, (1re éd., 1963), 1969. 미소장
20 Larose (R.), Théories contemporaines de la traduction, Press. Univ.du Québec, 2e ed., 1989. 미소장
21 Meschonnic (H.), Poétique du traduire, Verdier, 1999. 미소장
22 Mounin (G.), Introduction a la sémiologie, Paris, Minuit, 1970. 미소장
23 Mounin (G.), Dictionnaire de la linguistque, Quadrige/PUF, 1974. 미소장
24 Prieto (L. J.), Pertinence et pratique : essai de sémiologie, Paris, Minuit, 1975. 미소장
25 Ricoeur (P.), Sur la traduction, Paris, Bayard, 2004; Pour la traduction de 윤성우 이향, 번역론 -번역에 대한 철학적 성찰 , 옮김, 철학과 현실사, 2006. 미소장
26 Saussure (F. de),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ris, Payot, 4e éd. 1916, 1986. 미소장
27 Schott-Bourget (V.), Approches de la linguistque, Paris, Armand-Colin, 2009. 미소장
28 박용삼, 번역학 역사와 이론 , 숭실대학교출판부, 2003. 미소장
29 박상익, 번역은 반역인가 , 서울, 푸른역사, 2006. 미소장
30 Traduction et hermeneutique 소장
31 번역에서 문법범주의 전위와 변조 : 관계절을 중심으로 소장
32 전성기, 번역인문학과 번역비평 ,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미소장
33 번역과 번역비평의 언어기호학적 이해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