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경제 위기와 건강 : 한국사회의 변화에 대한 묘사적 연구 / 정혜주 ; 변진옥 ; 이광현 1

I. 경제위기와 건강 1

II. 한국사회에서 건강의 최근 변화 경향 7

1. 거시경제적 지표의 변화 7

2. 건강 수준의 변화 12

3. 보건의료체계 및 의료서비스 이용의 변화 21

4. 소결 25

III. 최근 한국 보건의료제도의 변화 26

1. 한국사회 보건의료제도의 최근 변화: 개요 26

2. 민간보험 29

3. 민간보험과 영리법인의 결합 33

4.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와 MSO 34

IV. 다시 정치의 문제에 대하여 36

참고문헌 39

abstracts 44

초록보기

Hit by the earlier East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and later by the global recession in 2006, South Korean society has suffered from health-deteriorating effects of global socioeconomic changes. In this article, authors review existing literatures on economic crisis and its relationship with health and examine health status, health equity, healthcare utilization and social protection statistics of South Korea to identify the evidence of economic crisis’s impact on South Korean health and health care. We also review a sirese the recent reforms in South Korean health policies and legislations during the same period to understand the policy response to changing population health status and inequality. In conclusion auth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ealth politics to counteract the increasing health inequity in South Korea and achieve “Health for Al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복지정책과 복지정치의 발전 :생산주의 복지체제의 진화 최영준 pp.7-41

보기
한국 사회 서비스의 특징과 전망 김태일 pp.42-79

보기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역사, 문제점 그리고 대안의 모색 양재진 pp.80-110

보기
경제 위기와 건강 :한국사회의 변화에 대한 묘사적 연구 정혜주 ,변진옥 ,이광현 pp.111-153

보기
아시아 대중문화 지형과 한국의 대만 드라마 수용의 맥락 심두보 ,민인철 pp.157-185

보기
전통의 마케팅 :일본 가부키에서 공적·상업적측면의 공존에 관한 연구 고은강 pp.186-210

보기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일본주의' 탄생의 조건과 과정 박홍규 pp.211-247

보기
『사상계』와 세계문화자유회의 :1950-1960년대 냉전 이데올로기의 세계적 연쇄와 한국 권보드래 pp.248-290

보기
한국의 담배시장 개방과 담배광고·판촉규제법의 역행 임인숙 pp.291-324

보기
문화진화론적 인종도식의 영향 :한국인들의 인종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민 pp.325-353

보기

참고문헌 (6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anges in Mortality Inequality in Relation to the South Korean Economic Crisis: Use of Area-based Socioeconomic Position 소장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0. 건강보험 통계 . 심사평가연구소 연구조정실. 미소장
3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 2008 건강보험통계 연보 . 미소장
4 Activation of hospital management service organization in Korea for a critical study 네이버 미소장
5 김양중. 2010. “의료민영화 정책 ‘삼성 생각대로’?” 한겨레신문 (10월 6일). 미소장
6 김용익. 2010. “한국 보건의료체계의 모순적 구조와 보건의료 ‘개혁’의 충돌.” 비판과 대안을 위한 건강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서울: 한양대 동문회관. 미소장
7 권력의 두 얼굴 : 이명박 정부의 영리병원 허용 논쟁을 중심으로 소장
8 한국 복지개혁 성격에 관한 ‘신자유주의 관철론’ 비판 소장
9 대검찰청. 각 년도. 범죄분석(http://www.spo.go.kr/ 2011/06/01 검색). 미소장
10 영리병원 도입 배경과 대응 방향 소장
11 보건복지부. 2008. 2005-2006 영아모성사망조사보고서 . 미소장
12 보건복지부. 2010. 2008 국민의료비 및 국민보건계정 . 미소장
13 신영석・최병호・신현웅・황도경・윤석준. 2005. 의료급여환자 의료지출실태 및 급여개선 방안 .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14 Health Care Safety Net in Korea: Issues and Policy Options 소장
15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Blind Spots of Health Security 소장
16 신영전. 2010b. “‘의료민영화’ 정책과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역사적 맥락과 전개.” 상황과 복지 29권. 미소장
17 신영전. 2011. “사회권으로서의 건강권: 지표개발 및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미소장
18 The evolution of health and utilization inequalities over time 소장
19 A Study on New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소장
20 윤지연. 2010. “삼성, ‘의료민영화 2라운드’...MB에 ‘보고서’ 제출.” 참세상 (10월 6일). 미소장
21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among Income Groups in Urban Households 소장
22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정책 소장
23 이창곤. 2005. “삼성생명 ‘민영보험 방향’ 문건 논란.” 한겨레신문 (9월 13일). 미소장
24 Equity in the expenditures of health care services 소장
25 이현주 외 17인. 2008. 2006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 서울: 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26 정무권. 2002. “‘국민의 정부’의 사회정책 - 신자유주의 확대? 사회통합으로의 전환?” 김연명 편. 한국복지국가성격논쟁 I . 서울: 인간과 복지. 미소장
27 조경애. 2011. “2010 의료민영화 저지 투쟁의 성과와 과제.” 월간 복지동향 148. 미소장
28 민간의료보험의 도입타당성 검토 소장
29 Healthcare Market Opening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소장
30 통계청. 2004. “2003년 출생 사망 통계.” 미소장
31 통계청. 2010. “가계동향조사.” (http://kosis.kr/ 2011/06/01 검색). 미소장
32 통계청. 2010. “사망원인통계.” (http://kosis.kr/2011/06/01 검색). 미소장
33 통계청. 2010. 2009 인구동태통계연보 미소장
34 통계청. 각년도. 사회조사보고서 . 미소장
35 통계청. 각년도. 한국의 사회지표 . 미소장
36 한국은행. 2010. 경제통계연보 . 미소장
37 Impact of Com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on Public Health Spending in Korea 소장
38 Labour supplies in historical perspective: A study of the proletarianization of the African peasantry in Rhodesia* 네이버 미소장
39 1999年經濟危機期間印尼貧窮地區兒童營養不良之決定因素 네이버 미소장
40 Welfare state matters: a typological multilevel analysis of wealthy countries. 네이버 미소장
41 Hart, Julian Tudor. 1971. “The inverse care law.” The Lancet 297, Issue 7696. 미소장
42 Harvey, David. 2007.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43 Social determinants of tuberculosis case rates in the United States 네이버 미소장
44 Huber, Evelyne and John D. Stephens. 2001. Development and Crisis of the Welfare State: Parties and Policies in Global Markets .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45 Trends in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measures. 네이버 미소장
46 Asian economic crises and health: population health impacts and policy responses. 네이버 미소장
47 Impact of economic crisis on cause-specific mortality in South Korea 네이버 미소장
48 Economic recession and health inequalities in Japan: analysis with a national sample, 1986-2001. 네이버 미소장
49 Incorporating Comparison within a World-Historical Perspective: An Alternative Comparative Method 네이버 미소장
50 Voluntary health insurance in the European Union: a critical assessment. 네이버 미소장
51 Muazzam, S and M. Nasrullah. 2010. “Macro Determinants of Cause-Specific Injury Mortality in the OECD Countries: An Exploration of the Importance of GDP and Unemployment.”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0. 미소장
52 Political Theories of the Welfare State 네이버 미소장
53 OECD. 2009. OECD Health Data 2009. 미소장
54 Translating ideas into actions: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state health care reforms. 네이버 미소장
55 Simms, Chris and Mike Rowson. 2003. “Reassessment of health effects of the Indonesian economic crisis: donors versus the data.” The Lancet 361, Issue 9366. 미소장
56 Editorial: The golden age of the keynesian consensus — the pendulum swings back 네이버 미소장
57 Stuckler, David and Sanjay Basu and Marc Suhrcke and Adam Coutts and Martin McKee. 2009. “The public health effect of economic crises and alternative policy responses in Europe: an empirical analysis.” The Lancet 374, Issue 9686. 미소장
58 Sweezy, Paul Marior. 1970 [1942]. The Theory of Capitalist Development . New York, NY: Monthly Review Press. 미소장
59 Health impacts of rapid economic changes in Thailand 네이버 미소장
60 Increasing mortality during the expansions of the US economy, 1900–1996 네이버 미소장
61 From contact investigation to tuberculosis screening of drug addicts and homeless persons in Rotterdam 네이버 미소장
62 Risk factors for typhoid and paratyphoid fever in Jakarta, Indonesia. 네이버 미소장
63 The impact of the 1997–98 East Asian economic crisis on health and health care in Indonesia 네이버 미소장
64 WHO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008.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미소장
65 WHO/ UNICEF. 1978. “Declaration of Alma-Ata.”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imary Health Care. Alma-Ata, USSR. 미소장
66 Wilson, James Q. 1980. “The politics of regulation.” James Q. Wilson ed. The Politics of Regulation. New York, NY: Basic. 미소장
67 The impact of economic crisis on health-care consumption in Korea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