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통합모델의 초기 자료에 대한 예측 민감도 산출 도구 개발 / 김성민 ; 김현미 ; 주상원 ; 신현철 ; 원덕진 1

Abstract 1

1. 서론 1

2. 수반 민감도 2

3. 결과 3

3.1. 수반 민감도 계산 도구 개발 3

3.2. 사례 및 실험설계 5

3.3. 수반 민감도 구조 및 분석 6

4. 결론 및 요약 8

감사의 글 8

참고문헌 8

초록보기

 Numerical forecasting depends on the initial condition error strongly because numerical model is a chaotic system. To calculate the sensitivity of some forecast aspects to the initial condition in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Unified Model (UM) which is originated from United Kingdom (UK) Meteorological Office (MO), an algorithm to calculate adjoint sensitivities is developed by modifying the adjoint perturbation forecast model in the KMA UM. Then the new algorithm is used to calculate adjoint sensitivity distributions for typhoon DIANMU (201004). Major initial adjoint sensitivities calculated for the 48 h forecast error are located horizontally in the rear right quadrant relative to the typhoon motion, which is related with the inflow regions of the environmental flow into the typhoon, similar to the sensitive structures in the previous studies. Because of the upward wave energy propagation, the major sensitivities at the initial time located in the low to mid- troposphere propagate upward to the upper troposphere where the maximum of the forecast error is located. The kinetic energy is dominant for both the initial adjoint sensitivity and forecast error of the typhoon DIANMU.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nergy distributions of the adjoint sensitivity for the typhoon DIANMU are consistent with those for other typhoons using other models, indicating that the tools for calculating the adjoint sensitivity in the KMA UM is credibl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구름에 의한 지표 일사량의 증가 정연진 ,조희구 ,김준 ,김영준 ,김윤미 pp.131-142

보기
MJO의 다중스케일 분석을 통한 수십년 변동성 이상헌 ,서경환 pp.143-149

보기
다층 상세 태양복사 모델에 의한 단층 태양복사 모델의 보정 지준범 ,이원학 ,조일성 ,이규태 pp.151-162

보기
통합모델의 초기 자료에 대한 예측 민감도 산출 도구 개발 김성민 ,김현미 ,주상원 ,신현철 ,원덕진 pp.163-172

보기
동아시아 지역재분석자료 생산의 전망 박상종 ,최용상 pp.173-183

보기
울릉도 특별관측 수행평가 및 강수특성 분석 김기훈 ,김연희 ,김도우 ,장동언 pp.185-196

보기
WRF 기반 공군 단기 수치 예보 시스템 :2009년 하계 모의 성능 검증 변의용 ,홍성유 ,신혜윰 ,이지우 ,송재익 ,함숙정 ,김좌겸 ,김형우 ,김종석 pp.197-208

보기
동적 데이터베이스 기반 태풍 진로 예측 이윤제 ,권혁조 ,주동찬 pp.209-220

보기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한 상세계절예측시스템 구축 및 겨울철 예측성 검증 김문현, 강현석, 박수희, 권원태, 변영화 pp.17-33

제주 고산에서 2009년 가을에 관측된 입자 생성 및 성장 현상의 특성 김유미, 김상우, 윤순창, 장임석, 이석조, 이미혜, 김지형 pp.35-44

객관적인 태풍 통계자료 구축을 위한 ‘한반도 근접 태풍’의 정의 및 기준 설정 문일주, 최의수 pp.45-55

한반도 EUV-B 복사의 특성분석 및 적정 비타민D 합성을 위한 노출시간 산출 곽민경, 김재환 pp.123-130

KLAPS와 3DVAR를 이용한 ProbeX-2009 남·서해상 고층관측자료의 관측 시스템 실험 연구 황윤정, 하종철, 김연희, 김기훈, 전은희, 장동언 pp.1-16

도시 지역에서 아파트 단지가 흐름과 확산에 미치는 영향 이영수, 김재진 pp.95-108

한국에서 발생한 청천난류 사례에서 나타나는 종관규모 대기상태에 대한 연구 민재식, 전혜영, 김정훈 pp.69-83

위성자료가 기상청 전지구 통합 분석 예측 시스템에 미치는 효과 이주원, 한상옥, 이승재, 이숭우, 장동언 pp.85-93

라이다와 스카이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를 이용한 서울지역 라이다 비의 특성 분석 김만해, 김상우, 윤순창, Nobuo Sugimoto, 손병주 pp.57-67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현미, 정병주, 계준경, 박종임, 김성민, 서유미, 2007: 목표 관측 수행을 위한 기반 시스템 연구, 62pp. 미소장
2 2007년 5월 6-8일 황사 현상의 예측 민감도 분석 소장
3 The Variability of Adjoint Sensitivity with Respect to Model Physics and Basic-State Trajectory 네이버 미소장
4 Buizza, R., 1994: Localization of optimal perturbations using a projection operator. Quart. J. Roy. Meteor. Soc., 120,1647-1681. 미소장
5 Cardinali, C., 2009: Monitoring the observation impact on the short-range forecast. Quart. J. Roy. Meteor. Soc., 135, 239-250. 미소장
6 Interpretation of Tropical Cyclone Forecast Sensitivity from the Singular Vector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7 Clayton, A. M., 2004: VAR Scientific Documentation 60, UK Met. Office. 1-12. 미소장
8 Courtier, P., J.-N. Thepaut, and A. Hollingsworth,: A strategy operational implementation of 4-D VAR using an incremental approach. Quart. J. Roy. Meteor. Soc., 120, 1367-1387. 미소장
9 Studies with a flexible new radiation code. I: Choosing a configuration for a large‐scale model 네이버 미소장
10 Essery R., M. Best, and P. Cox, 2001: MOSES 2.2 technical documentation. Hadley Centre technical note 30. 미소장
11 What Is an Adjoint Model? 네이버 미소장
12 Gelaro, R., and Y. Zhu., 2009: Examination of observation impacts derived from observing system experiments (OSEs) and adjoint models. Tellus, Ser. A, 61, 179-193. 미소장
13 Parametrization of momentum transport by convection. II: Tests in single‐column and general circulation models 네이버 미소장
14 Jung, B.-J., and H. M. Kim, 2009: Moist-adjoint based forecast sensitivities for a heavy snowfall event over the Korean peninsula on 4-5 March 2004, J. Geophys. Res., 114, D15104, doi:10.1029/2008JD011370. 미소장
15 Kershaw, R., and D. Gregory, 1997: Parametrization of Momentum Transport by Convection 1: Theory and Cloud Modeling Results. Quart. J. Roy. Meteor. Soc., 123, 1133-1151. 미소장
16 Adjoint-based forecast sensitivities of Typhoon Rusa (DOI 10.1029/2006GL027289) 네이버 미소장
17 Singular Vector Structure and Evolution of a Recurving Tropical Cyclone 네이버 미소장
18 Influence of Moist Physics and Norms on Singular Vectors for a Tropical Cyclone 네이버 미소장
19 Kim, H. M., J. K. Kay, and B.-J. Jung, 2008: Application of adjoint-based forecast sensitivities to Asian dust transport events in Korea.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95, 335-343, doi:10.1007/s11270-008-9750-8. 미소장
20 Characteristics of adjoint sensitivity to potential vorticity 네이버 미소장
21 Kim, H. M., S.-M. Kim, and B.-J. Jung, 2011: Real-time adaptive observation guidance using singular vectors for T-PARC 2008, Weather and Forecasting, doi: 10.1175/WAF-D- 10-05013.1. In press. 미소장
22 Interpretation of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Adjoint-Derived Forecast Sensitivity Gradients 네이버 미소장
23 Klinker, E., F. Rabier, and R. Gelaro, 1998: Estimation of key analysis errors using the adjoint technique. Quart. J. Roy. Meteor. Soc., 124, 1909-1933. 미소장
24 Use of adjoint sensitivity analysis to diagnose the CMC global analysis performance: A case study 네이버 미소장
25 Langland and Baker, 2004: Estimation of observation impact using the NRL atmospheric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adjoint system, Tellus, Ser. A, 56, 189-201. 미소장
26 Estimating observation impact without adjoint model in an ensemble Kalman filter 네이버 미소장
27 A New Boundary Layer Mixing Scheme. Part I: Scheme Description and Single-Column Model Tests 네이버 미소장
28 A Potential Vorticity and Wave Activity Diagnosis of Optimal Perturbation Evolution 네이버 미소장
29 Peng. M. S., and C. A. Reynolds, 2005: Double trouble for typhoon forecasters. Geophys. Res. Lett., 32, L02810, doi:10.1029/2004GL021680. 미소장
30 Sensitivity of Tropical Cyclone Forecasts as Revealed by Singular Vectors 네이버 미소장
31 Overview of global data assimilation developments in numerical weather‐prediction centres 네이버 미소장
32 Reynolds, C. A., M. S. Peng, and J. -H. Chen 2009: Recurving tropical cyclones: Singular vector sensitivity and downstream impact. Mon. Wea. Rev., 137, 1320-1337. 미소장
33 Improvements to the representation of orography in the Met Office Unified Model 네이버 미소장
34 A microphysically based precipitation scheme for the UK meteorological office unified model 네이버 미소장
35 Wu, C. C., S. -G. Chen, J. -H. Chen, K. -H. Chou, and P. -H. Lin, 2009: Interaction of Typhoon Shanshan (2006) with the midlatitude trough from both adjoint-derived sensitivity steering vector and potential vorticity perspectives. Mon. Wea. Rev., 137, 852-862. 미소장
36 Zou, X., F. Vandenberghe, M. Pondeca, and Y.-H. Kuo, 1997: Introduction to adjoint techniques and the MM5 adjoint modeling system. NCAR Tech. Note NCAR/ TN- 435STR, 110 pp.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