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0 삼성화재 TV 광고 ‘낚시 편’과 ‘드라이브 편’]의 보험광고에서는 미래 욕구가 소비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게 하기위하여 직관적(直觀的) 언어구조(내래이션, 텍스트)와 쇼트의 미장센 표현으로 관객의 몰입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시각적으로 우리의 상식을 벗어나 우리가 이해하기 힘든 비일상적 모습의 표현으로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는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 자극을 주어 무의식중에 시선을 집중시키고,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비주얼 스캔들(Visual Scandal)이라고 한다. 본 연구자의 시선과 내면의 충격 주었던 삼성화재의 두 편의 TV 광고는 VISUAL IMPACT 효과로 디지털 퀵 줌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의식작용이 수용된 [2010 삼성화재 TV 광고 ‘낚시 편’과 ‘드라이브 편’]의 직관적(直觀的) 언어구조(내래이션과 텍스트)를 통한 시청각과 영상분석(샷과 쇼트 의미 분석), 디지털 편집(디지털 퀵 줌)이 야기한 시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이미지’를 지각하고 인지하는 인간의 공감각적 의식작용이 TV 광고의 의미구조 전략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The insurance advertisement of [Samsung Fire and Marine Insurance Company's 2010 TV Advertisement ‘Fishing’ and ‘Driving’ Edition] induces audiences’ effective immersion with an intuitive language structure (narration, text) and the Mise-en-Scene expression of shots in order to show future needs as the types of consumption. The visual scandal refers to what attracts eyes unconsciously and arouses interest by giving visual stimuli through unrealistic visual images with unusual expressions hard to understand since they are out of our common sense visually. Two TV advertisements of Samsung Fire & Marine Insurance which shocked this researcher’s eyes and inside used digital quick zoon with VISUAL IMPACT.

Focusing on the movement of time and space resulted from audiovisual elements, image analysis (shots and shot meaning analysis), and digital edition (digital quick zoom) through the intuitive language structure (narration and text) of [Samsung Fire and Marine Insurance Company's 2010 TV Advertisement ‘Fishing’ and ‘Driving’ Edition] accepting such effects of consciousnes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ynesthetic effects of human consciousness perceiving and recognizing ‘moving images’ are being utilized in the meaning structure strategies of TV advertisem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40~60대 비만체형 여성의 인체 형상 연구 김효숙, 이소영 pp.7-16
남성패션의 성이미지 유형분석 : TV 트렌디드라마를 중심으로 윤지영, 유태순 pp.17-28

실내공간에서 패브릭의 확산효과를 활용한 LED 조명 디자인의 특성 및 경향 양보람, 정강화 pp.29-40

비유법에 의한 광고 일러스트레이션의 사례 김경선, 사문룡 pp.41-51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시지각 원리의 활용 : 착시 현상을 중심으로 정승은, 엄린아, 조은희, 류한영 pp.53-62

구스타프 클림트의 팜므파탈 이미지를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김미현, 유태순 pp.63-76
책의 역사와 디자인 요소 분석을 통한 전자책 디자인 제안 : 제품환경디자인을 고려한 형태와 기능을 중심으로 김현정 pp.77-86

자포니즘의 특성이 근대 디자인의 형성에 미친 영향 강민정, 임경호 pp.87-96

뉴실버세대의 색채 선호 특성 서주환 pp.97-106

TV 광고에 적용한 VISUAL IMPACT 연구 : 삼성화재 TV 광고 "낚시 편 & 드라이브 편"을 중심으로 정동환 pp.107-118

한글 캘리그라피의 디자인적 특성과 여백의 관계성 연구 : 전통주 라벨을 중심으로 이하림 pp.119-128

인포테인먼트 기반의 비주얼서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권효정, 이화세 pp.129-140

찰스 레니 맥킨토시 의자디자인의 사례와 특성 김진우 pp.141-152

지속가능디자인의 프로세스 프레임 도출에 관한 연구 : Triple Bottom Line 지속가능경영원칙을 중심으로 김이석 pp.153-162

도시형 모바일 게임 "City Pac-Man"과 위치기반 게임의 가능성 정의태 pp.163-172

조직구조가 디자이너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훈 pp.173-182

도로명 안내체계 표지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상욱 pp.183-192

공공시설에서의 이용자 Wayfinding 행태 연구 김신혜, 김호월 pp.193-202

미디어아트 작품의 진화하는 기술기반에 관하여 : SoniColumn의 피지컬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목진요 pp.203-214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나타난 팝아트의 조형적 관계성 연구 : 색채와 이미지,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정소현, 장미경 pp.215-224

보건의료용 모유수유 맞춤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웹사이트 제작 및 분석 강남미, 송용, 이운형, 정혜경 pp.225-234

소재와 문양분석을 통한 사이버쇼핑몰의 전통문화상품 디자인 특성 고찰 신준용, 박영순, 정의철 pp.235-244

야외 운동기구의 기대효과 및 디자인 특성 이연숙, 이동주, 이유빈 pp.245-258

표상으로써의 기하학적 모티브가 지닌 존재형식과 구조 김연화 pp.259-268

인터넷쇼핑몰과 디자인 환경 : 쇼핑목적을 중심으로 류철호, 최철재 pp.269-278

일본 밀레니엄시티 커뮤니티의 디자인특성과 그 활동 박정은, 이효원 pp.279-288

포항 호미곶 해안도로 플레이스 브랜딩 연구 권기제, 임경호 pp.289-304

모듈시스템을 활용한 한글디자인 강화영 pp.305-314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가 소비자 접근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희순, 정혜정 pp.315-324

국내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개념 및 진화과정 김수연, 황진숙 pp.325-338

자기 동일시 관점에서 본 노스텔지어 감성의 시각화 우동경, 임경호 pp.339-348

한국영화 프로모션 웹사이트 활용에 관한 연구 김희준 pp.349-360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디지털 기술 수준 및 활용과 디자인 성과의 관계 김호곤, 윤정식, 김낙수, 구본섭 pp.361-370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 분석을 통한 개념 재정립 남궁윤재 pp.371-380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과 디자인 창의성 연구 강성중 pp.381-390

1970년대 한국 의류에 나타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유형 연구 이은옥 pp.391-400

상징주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실체 : 랭보의 '깜짝 놀란 아이들'시어를 중심으로 이고은 pp.401-410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 금보상.(2004).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의 미장센 비교 연구: 공각기동대와 블레이드 리너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 김완석.(2005). '광고심리학', 서울: 지학사, 83. 미소장
3 - 베르너 파울스티히, 이상일 역.(2003). '영화의 분석', 서울: 미진사, 75. 미소장
4 - 손인수.(2007). 영상의 특권적 부동의 단면 추출을 기반으로 한 기업 이미지 광고 메시지 분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 미소장
5 - 임현미.(1999). 지각이론의 입장에서 본 영화적 재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미소장
6 - 정정호.(1989). ‘포스트모더니즘론’, 서울: 터. 미소장
7 - 질 들뢰즈, 유진상 역.(2002). ‘시네마 1:운동-이미지’. 서울: 시각과 언어, 9. 미소장
8 - 최귀영, 김경민.(1997). 최근 광고산업에 나타난 비주얼 스캔들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회지: 한국디자인포름’, 2, 162. 미소장
9 - 코래드 광고 전략연구소.(1996). ‘광고대사전’, 서울: 나남출판사, 330. 미소장
10 - 황정석.(2007). 동화를 원작으로 한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의 몽타주 비교 연구: 미녀와 야수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미소장
11 - Ekkat Kaemmerling, "Rhetorik als Montage", in: Semiotic des films, S.95(s.94-109). 미소장
12 - John Gibbs(2002). Mise-En-Scene ; Film Style And Interpretation, Wallflower Press, 5-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