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근대 예술 개념의 성립에 관한 연구 / 강손근 1
[한글 요약] 1
1. 머리말 3
2. 서양 근대 이전의 예술 개념 5
1) 고대 그리스·로마의 예술 개념 7
2) 중세에 있어서 예술 개념 9
3. 제 학예 비교논쟁(파라고네) 12
1) 르네상스와 미술가 열전 12
2)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있어서 제 학예 비교논쟁의 발생 14
3) 초기 르네상스 16
4) 레오나르도 다 빈치 17
4. 회화, 조각, 건축의 화해와 조정 20
5. 회화, 조각, 건축을 통합하는 이념의 성립 21
6. 결언 25
참고 문헌 26
[Abstract] 27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근대 예술 개념의 성립에 관한 연구 | 강손근 | pp.3-30 |
|
보기 |
도덕적 우연(Moral Luck)과 책임에 관한 소고 | 구인회 | pp.31-51 |
|
보기 |
막스 셸러의 총체인격(Gesamtperson) 소고 | 금교영 | pp.53-74 |
|
보기 |
생태학과 환경론에서 인간의 위치 | 김기윤 | pp.75-95 |
|
보기 |
키치 개념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키치와 숭고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 김동훈 | pp.97-124 |
|
보기 |
현대시조의 형식·총체성과 다원주의 | 김두삼 | pp.125-143 |
|
보기 |
21세기 조직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화이트헤드와 들뢰즈의 과정 철학과 카오스모스 | 김영진 | pp.145-167 |
|
보기 |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가상현실이 아닌 거의 확실한 이유 | 김한승 | pp.169-187 |
|
보기 |
철학 공부 방법 :읽기, 쓰기, 평가하기 | 류의근 | pp.189-208 |
|
보기 |
이상론과 비이상론의 관계에 대한 고찰 :존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 목광수 | pp.209-228 |
|
보기 |
정의에 대한 동서 철학적 성찰 | 宋寅昌 | pp.229-247 |
|
보기 |
한나 아렌트에게 묻는다 :당신은 누구나/지금도 '행위'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가? | 이성환 | pp.249-271 |
|
보기 |
어느 개죽음에 대한 성찰 | 이왕주 | pp.273-294 |
|
보기 |
기능적 환원주의는 새로운 물리주의인가? | 이종왕 | pp.295-312 |
|
보기 |
동성애자들의 자율성과 도덕적 책임 | 이종원 | pp.313-331 |
|
보기 |
튀빙겐 학파의 플라톤 초기 대화편 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주광순 | pp.333-353 |
|
보기 |
養生사상의 정당화 가능성 문제 :莊子, 嵇康, 葛洪의 관점을 중심으로 | 李溱鎔 | pp.355-373 |
|
보기 |
熊十力의 乾元本體論 | 鄭炳碩 ,金大壽 | pp.375-395 |
|
보기 |
소외와 복지관광에 관한 연구 | 曺洙東 | pp.397-41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바타쥰조우 저, 강손근 역, 미와 예술의 논리-미학입문 , 집문당, 서울, 1995. | 미소장 |
2 | 곰브리치, E. H., 서양미술사 , 백승길․이종승 옮김, 서울, 예경, 1994. | 미소장 |
3 | 회화 속 미적 진리에 대한 융합·통일·차이의 분석 : 메를로-뽕띠의 현상학적, 살존재론적 회화론을 토대로 | 소장 |
4 | 타타르키비츠,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이론과 실천 , 김용대 옮김, 이론과 실천, 서울, 1990. | 미소장 |
5 | 단테, 신곡 Ⅰ, 한형곤 역, 삼성출판사, 1978. | 미소장 |
6 | 래리 쉬너, 예술의 탄생 , 김정란 옮김, 도서출판 들녘, 파주, 2007. | 미소장 |
7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 이창우․김재홍․강상진 옮김, 이제이북스, 서울, 2008. | 미소장 |
8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세계사상교양전집․후기 1), 최명관 역, 을류문화사, 서울, 1981. | 미소장 |
9 |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행복 : 『국가』Ⅰ권의 윤리적 논의를 중심으로 | 소장 |
10 | '재현/현시 해체'와 '2차적 실재'의 귀환 : 영화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소장 |
11 | 퍼거슨, W. K. 르네상스 , 김성근․이민호 공역, 탐구당, 서울, 1990. | 미소장 |
12 | 佐々木 健一, 「4. 藝術」, 今 道友信 編輯 講座美學 2-美學の 主題 ,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85. | 미소장 |
13 | 佐々木健一, 美學事典 , 東京大學出版会, 東京, 1995. | 미소장 |
14 | 心田進, 大森正一, 村田誠一, 淸瀨みさを, 藝術表現 5つの焦點 , 法律文化社, 京都, 1999. | 미소장 |
15 | 渡辺護, 芸術學 , 東京大學出版會, 東京, 1977. | 미소장 |
16 | Wladyslaw Tatarkiewicz, A History of Six Idears -An Essey in Aesthetics,PWN-Polish Scientific Publishers, Warszawa 198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