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acetaldehyde (AA) and formaldehyde (FA)migra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s into mineral water during storage at 25 and 35℃ for 240 days.

Generally, AA and FA were observed to migrate more at 35℃ than at 25℃. The amount of FA in the samples irradiated under UV lamps was higher than in those stored in the dark over the storage period and vice versa for AA. Using a triangular test, the sensory panels distinguished a difference between one sample and the other two mineral water samples that had been exposed to UV lamps after 60 days of storage at 35℃ (p<0.05). At this time, FA and AA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267.4 and 515.3 g/L, respectively. After 120 days, an independent mineral water sample from the other two samples in all treatments could be distinguished by the panel members at a significance level of p<0.00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통중인 쌀의 호화 및 관능적 특성 박찬은 ,김윤숙 ,박동준 ,박기재 ,김범근 pp.401-406

녹차와 후발효차의 유리형 및 결합형 향기성분에 대한 연구 이혜진 ,박승국 pp.407-412

홍삼음료의 함량 및 안전성 실태조사 김종필 ,김진희 ,강경리 ,양용식 ,홍삼재 ,김은선 ,문용운 ,이정치 ,송현제 ,정재근 pp.413-418

질량분석기 기반 전자코를 이용한 저장 온도별 머스크멜론의 향기 패턴 분석 윤예리 ,노봉수 ,김병삼 ,권기현 ,김종훈 ,김상희 ,최덕주 ,차환수 pp.419-425

Blanching 처리 조건에 따른 동결 대파의 품질 특성 이혜옥 ,이영주 ,김지영 ,윤두현 ,김병삼 pp.426-431

미나리 프락토올리고당 발효액의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김민주 ,양선아 ,박정현 ,김혁일 ,이삼빈 pp.432-437

유자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제조된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 양희선, 은종방 pp.438-445

김치에서 항균활성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김수영 ,김종두 ,손지수 ,이시경 ,박갑주 ,박명수 pp.446-452

가수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탁주의 품질특성 손홍석 ,박병대 ,고봉국 ,이철호 pp.453-457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보호 효과 김정기 ,이지해 ,배일홍 ,서대방 ,이상준 pp.458-463

우렁쉥이 추출물의 항산화 및 리파아제 저해활성 효과 권태형 ,김진기 ,김태완 ,이진욱 ,김준태 ,서현주 ,김민정 ,김충곤 ,전득산 ,박년호 pp.464-468

생강 분획의 gingerols 분석 및 초임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이은주 ,양선아 ,최희돈 ,임효권 ,황기 ,이인선 pp.469-474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한 과채류 주스 음용으로부터 한국인의 일인당 하루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섭취량 추정 이봉한 ,김선영 ,조치흥 ,정대균 ,전옥경 ,김대옥 pp.475-482

Epigallocatechin-3-gallate의 화학안정성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각종 항산화제의 영향 김미리 ,강스미 ,홍정일 pp.483-489

유통중인 즉석섭취 새싹채소와 샐러드의 세균오염 분석 강태미 ,조선경 ,박지용 ,송경빈 ,정명수 ,박종현 pp.490-494

냉장 저장 중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특성 변화 손시혜 ,김수진 ,김기창 ,김행란 ,윤기선 pp.495-503

페트병 생수 중 아세트알데하이드와 포름알데하이드의 이행 분석 정의민 ,김동주 ,이근택 pp.504-508

동결건조 쌀죽의 재수화 특성에 미치는 동결온도의 영향 고소미 ,임종환 ,김정목 pp.509-512

비열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polystyrene, 소시지 케이싱, 그리고 훈제연어에서의 식중독균 저해 이한빛 ,노영은 ,양희재 ,민세철 pp.513-517

복합균주에 대한 부추와 마늘 생즙 및 가루성분의 항균특성 이은희 ,장금일 ,배인영 ,이현규 pp.518-523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rmal degrad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study of polymer stabilization 네이버 미소장
2 Dabrowska A, Borcz A, Nawrocki J. Aldehyde contamination of mineral water stored in PET bottles. Food Addit. Contam. 20: 1170-1177 (2003) 미소장
3 Erwender J, Franz R, Mauer A, Welle F. Determination of the migration of acetaldehyde from PET bottles into non-carbonated and carbonated mineral water. Deut. Lebensm-Rundsch. 6: 215-221 (2003) 미소장
4 Acetaldehyde in Mineral Water Stored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s: Odour Threshold and Quantification 네이버 미소장
5 ILSI. Report on packaging materials: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International Life Sciences Institute, Seoul, Korea. pp. 5-6 (2000) 미소장
6 Chromatographic Data (1980) 네이버 미소장
7 Ashby R. Migration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under all conditions of use. Food Addit. Contam. 5: 485-492 (1998) 미소장
8 Identification of Odor-Active Compounds Resulting from Thermal Oxidation of Polyethylene 네이버 미소장
9 Begley TH, Biles JE, Cunningham C. Migration of a UV stabilizer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nto food simulants. Food Addit. Contam. 21: 1007-1014 (2004) 미소장
10 Zhu Z, Kelley MJ. IR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deep UV irradiation on PET films. Polymer 46: 8883-8891 (2005) 미소장
11 The effect of ultraviolet stabilizers on the photodegrad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네이버 미소장
12 Chromatography of environmental hazards 네이버 미소장
13 Mutsuga M, Tojima T, Kawamura Y, Tanamoto A. Survey of formaldehyde, acetaldehyde and oligomers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od-packaging materials. Food Addit. Contam. 22: 783-789 (2005) 미소장
14 Lores M, Llompart M, Gonzalez-García R, Gonzalez-Barreiro C, Cela R. On-fibre photodegradation studie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using SPME-GC-MS-MS: A new approach. Chemosphere 47: 607-615 (2002) 미소장
15 Schnable JG, Dussert B, Suffet IH, Hertz CD. Comparison of quarter-hourly on-line dynamic headspace analysis to purge-andtrap analysis of vary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drinking water sources. J. Chromatogr. A 513: 47-54 (1990) 미소장
16 Maria L, Ken L, Merv F.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and semi-volatile pollutants in water and air. J. Chromatogr. A 824: 53-61 (1998) 미소장
17 Identification of off‐flavor compounds in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with different amounts of abscents 네이버 미소장
18 A novel approach for studying the thermal degradation, and for estimating the rate of acetaldehyde generation by the chain scission mechanism in ethylene glycol based polyesters and copolyesters 네이버 미소장
19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mine-functionalized SiO 2/TiO 2 films for formaldehyde degradation 네이버 미소장
20 EC. Commission Directive 2002/72/EC relating to plastic materials and articles inten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foodstuffs. Official J. Eur. Commun. L220 (200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