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조선 여성영웅소설의 출현배경에 관한 시론 : 『북송연의』의 영향 가능성에 대해 / 河炅心 1

1. 들어가며 1

2. 조선 여성영웅소설에 관한 기존의 연구 3

3. 『북송연의』의 여성영웅고사와 조선 여성영웅소설 8

3.1. 『북송지전(양가장전)』과 언해본 『북송연의』 8

3.2. 『북송연의』중 여성영웅 형상과 고사 11

3.3. 『북송연의』의 여성영웅고사와 조선 여성영웅소설 20

4. 나오며 23

〈참고문헌〉 24

〈중문적요〉 25

초록보기

朝鲜(1392-1910)中期以来,小说成为从九重宫阙、市井到闺房,无论男女老少都享受的、格外受到欢迎的一种文学体裁。其中以战争为题材的所谓‘军谈小说’非常盛行。在军谈小说中,像<李大凤传>、<黄云传>、<郑秀贞传>、<洪桂月传>等作品或以女性英雄当作主角,或在男性英雄故事中揷入女英雄故事,显得具有特色。这些女性英雄小说是在因朝鲜中期外国的侵掠(壬辰倭乱丙子胡乱)而形成的对外反感和对英雄出现的期待感之下产生的。但除了朝鲜社会的各种内在因素以外,中国小说的影响恐怕是不可否认的。以往的研究虽然涉及到『三国志演义』、『水浒传』、<薛仁贵传>等历史演义小说的影响,但毕竟是有所局限的。本稿要考察的是朝鲜女性英雄小说受到中国其他演义小说影响的可能性。尤其,像『北宋志传(杨家将传)』般包含各式各样的女性英雄(杨门女将)故事及多种人物类型的演义小说对朝鲜小说产生一定的影响。『北宋志传(杨家将传)』不但流入到朝鲜,且在18世纪已被飜译成韩文小说『北宋演义』。其故事可能通过说话人(传奇叟)或者书房主人(贳册家)广范传播到读者。朝鲜和中国的小说虽然各具特色,但通过两国小说的内容和女性英雄形象的比较,可以发现其间有些共同因素,譬如她们都具有超出男性的智略和武功、胆识和气槪,且女扮男装,和男性比武,有时侯在战场上生孩子,结婚。这些场面设定都十分类似。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敦煌本 『玄應音義』 小考 金愛英 pp.7-18

보기
離合訶'V+個+N’結構中'個'的語法功能硏究 曲曉茹 pp.19-32

보기
중국어 긍정응답어 '好', '是', '對'의 화용적 특징 고찰 金廷恩 pp.33-55

보기
漢語中韓語外來詞的形式及內容分析 姜春華 pp.57-74

보기
數詞"一"的眞値和非眞値含義及用法小考 :兼論"一"非眞値用法的哲學淵源 王楠 pp.75-90

보기
‘장소+是+NP’ 문형 연구 張興錫 pp.91-116

보기
중국어 독해능력 향상을 위한 '無標志複文'의 유형분류와 독해방법 고찰 崔世崙 pp.117-138

보기
韓國學生漢語介詞短語的語序偏誤分析 :依據漢韓對比分析 尹有貞 pp.139-158

보기
民國時期 中國語會話 敎材에 보이는 副詞 '竟', '淨'의 用法 考察 金雅瑛 pp.159-176

보기
論現代漢語的單音節性 周一民 pp.177-188

보기
Modification of external event structure by preverbal NPs denoting duration and iteration Jeeyoung Peck pp.189-210

보기
一部中國當代女性的成長史 :評虹影的作品 李安東 pp.211-223

보기
'진정한 자아'를 향한 相反合一의 詩 세계 :王維, 한용운, W.Blake의 시를 중심으로 申懿先 pp.225-242

보기
吳偉業의 詩史論과 敍事詩 考 姜正萬 pp.243-260

보기
古意詩論 韓寧 ,朴永鍾 pp.261-278

보기
지역 문화적 특색으로 본 明代 越中의 희곡 발전 배경 趙美娟 pp.279-302

보기
조선 여성영웅소설의 출현배경에 관한 試論 :『북송연의』의 영향 가능성에 대해 河炅心 pp.303-328

보기
主題學硏究在中國 :以水滸傳主題的形成與衍生爲中心 許庚寅 pp.329-350

보기
也談 ≪正音咀華≫ 的音系基礎 彭靜 pp.351-365

보기
中文報章漢外語碼混編純理功能修辭分析 :以 ≪新民晩報≫ 爲例 仇鑫奕 pp.367-383

보기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楊家將演義 , 秦淮墨客 校閱 烟波釣叟 參訂, 劉倩 校點 楊家將演義 人民文學出版社, 2007, 北京. 미소장
2 楊家將傳 , 岳麓書社出版社, 2004, 長沙. 미소장
3 新鑴玉茗堂批點按鑑參補楊家將傳 , 硯石山樵(明) 訂正, 織里畸人 校閱, 표제 北宋志 (序 萬曆 戊午(1618) 仲秋日 玉茗主人題), 연세대 학술정보원소장. 미소장
4 元 脫脫 等 撰, 宋史 , 中華書局, 1976. 미소장
5 권혁래,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성격 , 박이정, 2000, 서울. 미소장
6 구인환 엮음, 홍계월전 , 신원문화사, 2004, 서울. 미소장
7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 소명출판, 2007, 서울. 미소장
8 박상란, 여성과 고소설, 그리고 문학사 , 한국학술정보(주), 2005, 서울. 미소장
9 서대석 엮음, 우리고전캐릭터의 모든 것 , 휴머니스트, 2008, 서울. 미소장
10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 이대출판부, 1985, 서울. 미소장
11 성현경, 한국옛소설론 , 새문사, 1995, 서울. 미소장
12 신태수, 하층영웅소설의 역사적 성격 , 아세아문화사, 1995, 서울 미소장
13 오오키 야스시, 노경희 역, 명말 강남의 출판문화 , 소명출판, 2004, 서울. 미소장
14 인천대민족문화연구소간, 구활자본 고소설전집6‧설인귀전 , 은하출판사, 1983. 미소장
15 임성래, 조선후기의 대중소설 , 보고사, 2008, 서울. 미소장
16 전용문, 한국여성영웅소설의 연구 , 목원대학교출판부, 1996. 미소장
17 정병헌‧이유경, 한국의 여성영웅소설 , 태학사, 2000, 서울. 미소장
18 정창권, 한국 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 지식산업사, 2002, 서울. 미소장
19 조동일소장, 국문학연구자료제21권‧여장군전 , 박이정, 1999. 미소장
20 최태응 역주, 정선한국고전문학전집 12 군담소설, 서영출판사, 1978, 서울. 미소장
21 허문섭외 옮김 陳將軍傳‧이대봉전 , 한국고전문학전서10. 미소장
22 閔寬東, 中國古典小說在韓國之傳播 , 學林出版社, 1998. 미소장
23 김현양, <조선조후기 군담소설 연구-개념 유형 성격 문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4. 미소장
24 성현경, <여걸소설과 설인귀전>, 국어국문학 62호, 국어국문학회, 1973. 미소장
25 정명기, <여호걸계소설의 형성과정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0. 미소장
26 중국 전통극 중 여성영웅형상 연구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