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한 부모, 친구, 도덕적이탈 및 관계효능감의 영향 / 박영신 ; 김의철 ; 탁수연 1

〈요약〉 1

I. 서론 2

1. 한국사회에서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의 현상 2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4

II. 이론적 배경 4

1.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의 개념 접근과 유형 4

2. 심리특성으로서 도덕적이탈과 자기효능감이 사이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5

3. 부모와 친구의 관계가 도덕적이탈, 관계효능감 및 사이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8

4. 발달단계별 부모자녀관계와 친구관계의 변화 12

5. 연구모형 13

II. 연구방법 15

1. 분석대상 15

2. 측정도구 15

3. 실시 및 분석방법 17

III. 연구결과 17

1. 초등학생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한 부모, 친구, 도덕적이탈 및 관계효능감의 영향 17

2. 고등학생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한 도덕적 이탈, 관계효능감, 부모 및 친구의 영향 19

IV. 논의 및 결론 20

1. 논의 20

2. 맺음말 23

후주 24

참고문헌 24

Abstract 29

초록보기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해, 인간관계특성으로서 부모와 친구의 영향 및, 심리특성으로서 도덕적이탈과 관계효능감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678명(초등학생 366명, 고등학생 312명)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 =.72∼.93으로 양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도덕적이탈의 정도가 높을수록, 관계효능감이 낮을수록, 사이버 일탈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그러므로 도덕적이탈과 관계효능감은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은 부모가 거부적일수록 도덕적이탈이 높고 관계효능감이 낮아졌으며, 친구로부터 따돌림을 받을수록 관계효능감이 낮았다. 고등학생은 친구로부터 따돌림을 받을수록 도덕적이탈이 높고 관계효능감이 낮아졌으며, 부모가 거부적일수록 관계효능감이 낮았다. 그러므로 부모의 거부적 태도나 친구의 따돌림은 도덕적이탈과 관계효능감을 통해 사이버 일탈행동에 간접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초등학생 경우는 부모의 거부가, 고등학생 경우는 친구의 따돌림이, 도덕적이탈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이는 초등학생 시기에는 부모자녀관계가, 고등학생 시기에는 친구관계가, 도덕적이탈과 사이버 일탈행동의 과정에서 더욱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cyber delinquency among Korean adolescents,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influence of parents, friends, moral disengagement and relational efficacy. A total of 678 adolescents(elementary school students=366, high school students=312) of both sexe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The scales were found to be reliable, with Cronbach α ranging from .72 to .9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indicate that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moral disengagement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and relational efficacy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cyber delinquency. Secon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al rejection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moral disengagement an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relational efficacy.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relational efficacy. For high school students,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moral disengagement an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relational efficacy. Parental rejection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relational effic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al rejection had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moral disengagement and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had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moral disengag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 rejection had an important impact on moral disengage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le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had an important impact on moral disengag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which in turn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yber delinquenc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육 과목 교육심리학의 운영 현황과 과제 신종호 ,박수원 ,최재희 pp.417-429

보기
문제해결능력과 행동의 자기조절능력 수준에 따른 수학문장제의 언어 일치성과 한정성의 효과 검증 문병상 pp.431-445

보기
세 가지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구조 박병기 ,강현숙 ,이영신 ,이정규 pp.447-474

보기
수학 기술 중재 효과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 :뇌 영상기법을 중심으로 김동일 ,김이내 ,신재현 ,이기정 pp.475-499

보기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상황의 정서 연구 김은진 ,양명희 pp.501-521

보기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 일반성 대 특수성 쟁점과 교육맥락 변인과의 관련성 윤초희 pp.523-544

보기
전문가 모형의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적용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윤채영 ,윤소정 ,김정섭 pp.545-567

보기
지각된 교수자 특성과 대학생들의 학업적 흥미, 즐거움, 내재동기, 인지적 학습전략 사용 및 과목만족도의 관계 분석 김현진 ,정재학 pp.569-589

보기
창의적 문제발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정미선 pp.591-615

보기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한 부모, 친구, 도덕적이탈 및 관계효능감의 영향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pp.617-645

보기
특목고 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이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송영명 pp.647-669

보기
학교조직풍토와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혜란 ,김아영 ,차정은 pp.671-691

보기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정서 및 인지적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 간의 경로 탐색 연구 김현진 ,김현진 pp.693-716

보기

참고문헌 (7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향신문 (2011.1.6). 홈쇼핑 개인정보 빼내 불법영업한 ‘사이버 흥신소’ http://news.khan.co.kr/ 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1061607111&code=940202. 미소장
2 경향신문 (2011.5.19). 온라인 사기 1년새 33%증가…물품 직거래 사기 최다. http://news.khan. 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5191546221&code=940202 미소장
3 국민일보 (2010.11.16). 충격! 철부지 10대의 ‘게임 중독’ 가족死…엄마 죽이고, 스스로 목매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soc&arcid=0004334256&cp=nv. 미소장
4 The internet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Temporal changes and 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소장
5 김경연, 하영희 (2003). 최책감, 도덕적이탈 및 친구의 규칙위반성향과 청소년의 규칙위반행동.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2), 39-52. 미소장
6 정서적 고독감과 인터넷 효능감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미치는 영향 : 남녀대학생을 중심으로 소장
7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 and Internet Addiction in Children 소장
8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Communication Apprehension, on Students' Online Game Addiction via Social Presence and Life Satisfaction 소장
9 한국 청소년의 심리,행동특성의 형성 : 가정,학교,친구,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소장
10 김의철, 박영신, 김의연, Tsuda, A., & Horiuchi. S. (2010).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 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2), 특집호, 197-219. 미소장
11 Comparison of relationship with friends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소장
12 A Study of Internet Delinquency and Motivation 소장
13 김혜원 (2001).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현황과 그에 대한 원인분석: 인터넷중독증세와 음란행위를 중심으로. 제 37회 청소년문제 연구 세미나 자료집, 19-66.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미소장
14 대전시티저널 (2011.5.18). 온라인게임 중 험담해 집단폭행한 일당 검거. 여자친구가 주차장으로 유인… 선배들과 집단폭행. http:// www.gocj.net/news/articleView.html?idxno= 34065. 미소장
15 A study of individual and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influencing adolescent`s friends relationship 소장
16 심리적인 보호/위험 요인과 가족 구조 요인 그리고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행동간의 관계 : 성별 모형에 의한 접근 소장
17 Effect of family and personal variable of internet addicted young adults 소장
18 Differences in Adaptation to School according to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소장
19 박영신, 김의철 (2000).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 중 고 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학업성취,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8(2), 109-147. 미소장
20 청소년 학교폭력행동과 환경 및 심리특성의 관계 ; 위탁청소년과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소장
21 청소년의 인간관계와 일탈행동 :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교사학생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22 Factor influencing trust among Korean adolescent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relational trust 소장
23 The quality of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Korean adolescents 소장
24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specific focus o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financial resources and academic achievement 소장
25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소장
26 Longitudinal analysis of factor influencing delinquent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social perspectives 소장
27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files of adolescent on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specific focus on moral disengagement, self-efficacy, delinqu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소장
28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among Urban and Rural Students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Residence, Parental Expect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Parent-child Conflict and Self-efficacy 소장
29 박중규, 배성만, 김승연 (2008). 청소년 인터넷중독 고위험군의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608-609. 미소장
30 방송통신위원회 (2010a). 201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가구 인터넷보급률 및 컴퓨터 보유율.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345. 미소장
31 방송통신위원회 (2010b). 201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인터넷 이용 빈도 및 주 평균 이용 시간. http://kosis.kr/metadata/main.jsp?c_id= 2006267. 미소장
32 방송통신위원회 (2010c). 201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연령별 인터넷 이용율. http://kosis.kr/metadata/main.jsp?c_id=2003002 미소장
33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행동간의 관계 소장
34 Effects of Internet User Type and Addiction Level on Peer Relation and Perceived Reality of Cyberspace 소장
35 청소년의 마음읽기 능력과 또래괴롭힘의 관계 : 도덕적 이탈·도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36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nd Internet-related Delinquency 소장
37 여성가족부 (2009a). 청소년 유해환경접촉 종합실태조사: 업소(pc방) 이용률. http://kosis.kr/ metadata/main.jsp?c_id=2006046. 미소장
38 여성가족부 (2009b). 청소년 유해환경접촉 종합실태조사: 컴퓨터와 모바일 1일 평균 이용시간. http://kosis.kr/metadata/main.jsp?c_id= 2006046 미소장
39 연합뉴스 (2010.9.14). ‘인터넷 성매매’ 청소년 갈수록 저연령화. http://news.naver.com/main /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655448 미소장
40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toward child-rear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소장
41 Self-concept, Escaping from the Self and Social Support of Internet Addictive User 소장
42 또래아동의 비행 행동이 피해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개선방안 : 집단괴롭힘 소위 ‘왕따’(bullying)를 중심으로 소장
43 이상미, 박영신 (2006). 사회적 지원, 관계효능감, 생활만족도와 신뢰의 관계에 대한 종단 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354-355. 8월 17-19일. 서울: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동. 미소장
44 Study on the Interrelation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with Internet Addi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소장
45 The study on the personal and social influence on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소장
46 Internet Addiction a In Correlation to Friendship and Internet Use of Adolescents 소장
47 A Study on the Effect of Need for Internet Use and Parent Related Variables on Game Addiction 소장
48 The Impa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 the Needs of Internet Use as mediating variable 소장
49 Adolescent-Mother Conflicts and their Related Variables 소장
50 정경아, 한규석 (2001). 게임중독 청소년의 특성 분석: 개입의 필요성 판단을 위한 연구. 2011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223-228. 미소장
5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인터넷 중독경향 및 인터넷관련 비행간의 관계 소장
52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deviance in cyberspace 소장
53 Cyber delinquency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human relationship,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소장
54 Cyber Delinque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소장
55 행정안전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2010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미소장
56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소장
57 Internet Use Among College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네이버 미소장
58 Armstrong, L., Phillips, J. G., & Saling, L. L. (2000).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3, 537-550. 미소장
59 Bandura, A. (1991). Social cognitive theory of moral thought and action. In W, M, Kurtines & J, L, Gewirtz(Eds.),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 pp.45-103. Hillsdale, N. J.: Erlbaum. 미소장
60 Selective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네이버 미소장
61 Bandura, A. (1995). Multifaceted scale of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Unpublished manuscript, Department of Psychology, Stanford University, USA. 미소장
62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네이버 미소장
63 Gini, G. (2006). Social cognition and moral cognition in bullying: What's wrong? Aggressive Behavior, 32(6), 528-539. 미소장
64 Kevin, P. P. (2001). Ethical decision making and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The effects of moral intensity, accountability, and moral diseng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 USA. 미소장
65 Moral emotions and bullying: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bullies, victims and outsiders 네이버 미소장
66 Park, Y. S., & Kim, U. (2004). Paths to academic achievement, delinquency and life-satisfaction: Longitudinal analysis of influences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cultural factors. Invited keynote address at the 1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ross-Cultural Psychology. p.11-12. August 2-6. Shaanxi Normal University, Xi'an, China. 미소장
67 Rohner, R. P. (1984).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Press. 미소장
68 SBS TV (2010.12.28. 오후 9:13). PC방→식사→PC방…‘밤샘 게임’ 대학생 사망. http://news.sbs. 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839333. 미소장
69 Aggression and Moral Disengagement 네이버 미소장
70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Chichester: Wiley. 미소장
71 YTN (2011.2.9). 청소년 성매매가 전체 13%.... 주로 인터넷알선. http://www.ytn.co.kr/_ln/0103_ 20110209111503107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