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게릴라 전 이론을 통해서 본 왜구 : 조선 왕조의 대마도 영유권 주장을 중심으로 / 李領 1

I. 서론 1

II. 영유권 관련 선행 연구의 검토 2

III. 게릴라와 왜구의 전술·전략 비교 12

(1) 게릴라의 기본 요건 13

(2) 게릴라와 왜구의 전투 행동 17

IV. 왜구의 성역과 영유권 주장의 목적 23

(1) 게릴라와 왜구의 성역 23

(2) 성역(聖域)의 소멸 27

V. 결론 33

〈참고문헌〉 35

〈要旨〉 37

초록보기

倭寇の戦術をゲリラと比較考察した結果, 倭寇はゲリラの基本要件を備えていたし,また両者の戦闘行動は①襲擊 ②伏擊 ③破壞工作 ④テロ ⑤ 退却 ⑥潛伏等の面でほぼ一致することが確認された. 朝鮮の世宗元年(1419)に行われた対馬征伐(応永の外寇)を契機として始まった対馬に対する領有権の主張はその歴史的根拠が乏しい. それはただ対馬征伐を正当化する目的で打ち出したものであった. 高麗王朝は勿論世宗代にも朝鮮側は, 対馬は日本の領土であると認識していた. どころが対馬征伐の後, 朝鮮は対馬に対して‘空島化’を要求する. 対馬はこれに応じなく, 代りに‘屬州化’を提案する. それに答えて朝鮮の朝廷は島主に印信を下賜した. これによって朝鮮は対馬が朝鮮領土の一部になったと主張出来る根拠を確保した. しかし‘屬州化の提案’は対馬側の臨機應變的な措置であり本音ではなかった. その点は朝鮮側も知り尽くしていた. 対馬は地理的かつ地政学的に‘倭寇の聖域’の機能を果たしていた. ここで'聖域'とは安全な避難処を意味する. 朝鮮側は対馬が倭寇の本拠地であるのを分かっても日本の領土なので勝手に侵攻できなかった. 朝鮮側が‘屬州化’の虛構性を知りつつ以降も対馬に対する領有権を主張し続けたのは, 対馬が再び倭寇を行うことが有れば何時でも軍事行動を起こすという強い決意の表現であった. それは言換えれば倭寇の聖域を認めないという意味でもあったのである.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VN되다」の日本語訳に関する一考察 木口政樹 pp.7-27

보기
日本語学習者の漢語の認知過程 : 中国人と韓国人を比較して 田中節子 pp.29-49

보기
한중일 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개인적 차원의 언어관리 朴良順 pp.51-69

보기
1項目形容詞述語文の用法 朴海煥 pp.71-95

보기
「갈등」の日本語訳に関する研究 : 通訳翻訳大学院における使い分け指導を中心に 坂野慎治 pp.97-117

보기
다언어 서비스에 관한 의식 조사 : 한국과 일본 대학생 앙케이트를 중심으로 양민호 pp.119-135

보기
東アジアの高等教育機関における日本語学習者のe・mラーニング利用状況と多様性について : 韓国・中国における事例調査 磯野英治, 鄭盛旭, 林之賢 pp.137-149

보기
旧満洲国の言語景観にみられる日本語を中心とした多言語使用 張守祥 pp.151-178

보기
「指示表現」の学習者の使い分けについて : 表現意図を表す典型表現と非典型表現の視点から 津崎浩一 pp.179-193

보기
『幇間』 論 : 텍스트론을 중심으로 金尙垣 pp.195-211

보기
東アジアにおける初期地獄説話の成立に関する考察 : 『冥報記』の影響を中心に 李市埈, 張庚男, 孔翔喆 pp.213-230

보기
『源氏物語』と謡曲-執心の造形 : <葵上><野宮>を中心として 李允智 pp.231-246

보기
『풀 베개(草枕)』 소론 : 일상과 비일상 상극을 중심으로 張南瑚 pp.247-266

보기
童話世界,または仏教世界(コスモロジー)の芥川的変容 : 芥川龍之介『蜘蛛の糸』 鄭寅汶 pp.267-284

보기
小林一茶と金笠の比較検討への試み : 諧謔と弱者性を中心に 河英美 pp.285-304

보기
『괴담 보탄도로(怪談牡丹燈籠)』속에서의 「빙의」와 의미 변화 韓成旼 pp.305-320

보기
바쇼의 俳諧世界에 나타나 있는 '風'에 관한 고찰 許坤 pp.321-339

보기
Civil dispute adjudication in Tokugawa Japan : norms and interpretations Kim SukYeon pp.341-364

보기
시와스마쓰리(師走祭り)를 통해본 가미(神)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金泰姬 pp.365-384

보기
게릴라 전 이론을 통해서 본 왜구 : 조선 왕조의 대마도 영유권 주장을 중심으로 李領 pp.385-421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변태섭(1971) 「高麗按察使考」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서울 미소장
2 이영(1999) 「中世前期の日本と高麗」 倭寇と日麗関係史 東京大学出版会 미소장
3 임 동원(1981) 혁명전쟁과 대공전략(対共戰略)-게릴라전을 중심으로- 탐구당 미소장
4 하우봉(1995) 「조선초기의 대외관계. 일본과의 관계」 한국사 22.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탐구당 미소장
5 나카무라(1965) 日鮮關係史の研究 吉川弘文館 미소장
6 마쓰무라 쓰도무(松村勤)(2003) ゲリラの戦争学 文春新書 254 미소장
7 F.M. 오상카 외(1985) 현대 게릴라전 연구 도서출판 세계 미소장
8 고려사 미소장
9 고려사절요 미소장
10 노송당일본행록(老松堂日本行錄) 미소장
11 목은시고 미소장
12 세종실록 미소장
13 신증동국여지승람 미소장
14 善隣國寶記 미소장
15 平戸記 미소장
16 満済准后日記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