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게릴라 전 이론을 통해서 본 왜구 : 조선 왕조의 대마도 영유권 주장을 중심으로 / 李領 1
I. 서론 1
II. 영유권 관련 선행 연구의 검토 2
III. 게릴라와 왜구의 전술·전략 비교 12
(1) 게릴라의 기본 요건 13
(2) 게릴라와 왜구의 전투 행동 17
IV. 왜구의 성역과 영유권 주장의 목적 23
(1) 게릴라와 왜구의 성역 23
(2) 성역(聖域)의 소멸 27
V. 결론 33
〈참고문헌〉 35
〈要旨〉 3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변태섭(1971) 「高麗按察使考」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서울 | 미소장 |
2 | 이영(1999) 「中世前期の日本と高麗」 倭寇と日麗関係史 東京大学出版会 | 미소장 |
3 | 임 동원(1981) 혁명전쟁과 대공전략(対共戰略)-게릴라전을 중심으로- 탐구당 | 미소장 |
4 | 하우봉(1995) 「조선초기의 대외관계. 일본과의 관계」 한국사 22.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탐구당 | 미소장 |
5 | 나카무라(1965) 日鮮關係史の研究 吉川弘文館 | 미소장 |
6 | 마쓰무라 쓰도무(松村勤)(2003) ゲリラの戦争学 文春新書 254 | 미소장 |
7 | F.M. 오상카 외(1985) 현대 게릴라전 연구 도서출판 세계 | 미소장 |
8 | 고려사 | 미소장 |
9 | 고려사절요 | 미소장 |
10 | 노송당일본행록(老松堂日本行錄) | 미소장 |
11 | 목은시고 | 미소장 |
12 | 세종실록 | 미소장 |
13 | 신증동국여지승람 | 미소장 |
14 | 善隣國寶記 | 미소장 |
15 | 平戸記 | 미소장 |
16 | 満済准后日記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