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thesis studies the meaning of 'writing' in Il Postino(1994) directed by Michael Radford and Poetry(2010) directed by Lee, Chang-dong. These films make us think the meaning of poetry as literature in this age of 'the death of poetry'. Furthermore, these films impress us with the meaning about 'writing.

The stories of these films focus on the main character's(Mario and Mi-ja's) changes when they try to write a poem. In an attempt to write a poetry about the romance of love or beauty of nature, two characters are frustrated. But they make a poem work after seeing a irrationality of society and deceit of political authority. Going through that affair, they 'see' the ugliness, unsightliness, and foulness of the society. They 'observe' the ugly, un-fair things instead of the beautiful, fair things. Then, they write a poem about this society for the first time.

Their writing is a way to memorize ugliness and foulness in their society. Writing is seeing precisely, and is finding 'beauty and truth'. These films give us that the meaning of writing is to oppose honestly to all things, and to see precisely this socie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피와 상흔', 혹은 <데어 윌 비 블러드>에 대해 김석 pp.643-663

영화 <일 포스티노>와 <시>에 나타난 '글쓰기'의 의미 김중철 pp.665-686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의 젠더와 섹슈얼리티 분석 김지혜 pp.687-718

다큐멘터리극의 상상력 : 하비 밀크 사건을 향한 청각기억의 확장 김태형 pp.719-750

은유로서의 장르 : 영화장르에 대한 인지주의적 해석 박노출 pp.751-771

한중합작영화 왜 실패할까? 송원찬 pp.773-798

크리스 마커의 <환송대>에 나타난 '불가능한 기억'의 문제 이윤영 pp.799-823

<식객>의 스토리 보강을 위한 포스트 프로덕션 : 분할 화면과 유사-내레이션 전윤수, 박정식 pp.825-840

한류와 이미지 공간의 정치 : 비판적 리저널리즘을 위한 문화지리의 재구성 조흡 pp.841-863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시>. 이창동 감독․각본. 파인하우스필름(주) 제작. 2010. 미소장
2 <일 포스티노>(Il Postino). 마이클 레드포드(Michael Radford) 감독. 이탈리아. 1994. 미소장
3 김문주. 「은유, 그 서정의 전언」. 영화 속의 혹은 영화 곁의 문학 . 모아드림. 2003. 미소장
4 김미정. 「땅에 밀착한 파충류처럼 혹은 전장(戰場)의 뮤즈처럼」. ‘Inner View: 인터뷰’ 문예중앙 113. 랜덤하우스코리아. 2006. 미소장
5 김욱동. 은유와 환유 . 민음사. 1999. 미소장
6 김은자. 일 포스티노와 빈대떡 . 고려대 출판부. 2009. 미소장
7 김정은. 대중문화 읽기와 비평적 글쓰기 . 민미디어. 2003. 미소장
8 Writing as culture in the uncultured age-Groping for setting the goal of a writing subject as cultural education in college 소장
9 meaning of ‘writing’ in a film 네이버 미소장
10 김현․김주연. 문학이란 무엇인가 . 문학과지성사. 1988. 미소장
11 노영덕. 영화로 읽는 미학 . 랜덤하우스중앙. 2006. 미소장
12 일 포스티노(II Postino) 연구 소장
13 박성창. 「신수사학 시대의 언어와 문학」. 세계의 문학 2006년 여름호. 민음사. 미소장
14 박승희. 시교육과 문학의 현재성 . 새미. 2004. 미소장
15 박진․김행숙. 문학의 새로운 이해 . 청동거울. 2004. 미소장
16 송병선. 영화 속의 문학 읽기 . 책이 있는 마을. 2001. 미소장
17 오세영. 문학과 그 이해 . 국학자료원. 2006. 미소장
18 유종호. 「인문주의의 허와 실」. 유종호 전집 5: 문학의 즐거움 . 민음사. 1995. 미소장
19 이왕주.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 효형출판. 2007. 미소장
20 장미영. 나르시스의 연못 . 이화여대 출판부. 2008. 미소장
21 조용훈. 시, 문화를 유혹하다 . 이마주. 2007. 미소장
22 한귀은. 이토록 영화같은 당신 . 앨리스. 2010. 미소장
23 정성효. 「내 청춘에 부친다. <일 포스티노>」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