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국어교육 평가 연구 / 장은아 1

Abstract 1

1. 서론 1

2. 한국어 평가 연구 자료 수집 및 분류 3

2.1. 연구 분석 자료 수집 3

2.2. 연구 분석 자료 분류 4

3. 한국어 평가 관련 논저 분석 4

3.1. 연도별 분류 4

3.2. 유형별 분류 7

3.3. 주제별 분류 9

4. 맺음말 23

〈참고 문헌〉 26

초록보기

 This study generally explores findings of the Korean education assessment studies that were conducted from the initial stag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2011, categorizes and analyzes them in order to understand its history of studies and changes. To do this, 1) relevant papers and books were classified by year, 2) theses, dissertations and brief paper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3) the general Korean education proficiency tests, achievement tests, academic purpose tests, performance evaluation and other types of assessment were categorized by topic.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improvements and suggestions have been made for the assessment research of the future Korean educ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터뷰 면접자 담화에 나타난 '상호작용 활성화' 발화 연구 강현주 pp.1-22

보기
외국인 유학생의 텍스트 기반 구두 발표 연구 : 문어 텍스트 재구성 양상을 중심으로 김현강, 손희연 pp.23-48

보기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표현 교육 방안 : 초등학교 국어과를 중심으로 박진욱, 노정은 pp.49-76

보기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1, '정보 조회 질문'과 '정보 확인 질문'을 중심으로 백승주 pp.77-110

보기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등급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 동사를 중심으로 이유경 pp.111-138

보기
"Should I learn Korean?" a multiple case study of learning Korean as heritage language Eun-Young Jang pp.139-164

보기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 발음 오류 양상 정효주, 김영주 pp.165-187

보기
한국어 어휘 평가의 현황과 전망 :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중심으로 조현용 pp.189-215

보기
입출력 강화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듣고 재구성하기 과제의 활용을 중심으로 최문석 pp.217-241

보기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박준언 pp.243-262

보기
한국어 교육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송향근 pp.263-305

보기
학습자 언어 연구 : 오류분석과 중간언어 연구 이해영 pp.307-330

보기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김정숙 pp.331-349

보기
한국어교육 평가 연구 장은아 pp.351-382

보기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최정순 pp.383-402

보기
한국어 이해 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김영규 pp.403-422

보기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정명숙 pp.423-451

보기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방법론 동향 분석 강현화 pp.453-479

보기
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의 연구 동향 및 과제 정희정 pp.481-506

보기
담화 및 화용과 한국어 교육 연구 한상미 pp.507-551

보기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황인교 pp.553-589

보기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방성원 pp.591-626

보기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중섭 pp.627-657

보기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 김선정 pp.659-686

보기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강승혜 pp.687-712

보기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정희 pp.713-733

보기

참고문헌 (1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명순․이미혜․이정희․정희정(1999), 한국어 듣기 능력 평가 방안, <한국어교육> 10-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47쪽~94쪽. 미소장
2 강소산(2009), 한국어능력시험의 듣기 문항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소장
4 강승혜(2005), 한국어 고급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 기초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0호,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쪽~21쪽. 미소장
5 강승혜․강명순․이영식․이원경․장은아(2006), 한국어 평가론 , 서울: 태학사. 미소장
6 강은아(2002),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단계의 어휘․문법 영역 문항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강현화(1999), SAT2의 한국어시험에 대한 분석, <한국어교육> 10-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7쪽~134쪽. 미소장
8 한국어 숙달 지침과 말하기 능력 측정에 대하여 소장
9 한국에서의 한국어 평가 : 한국어 능력 시험(KPT: Korean Proficiency Test) 소장
10 김민경(2002), 한국어능력평가 분석 및 대안-초급 평가를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김보현(2010), 한국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평가 방안,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김상경(2010), 한국어 CBT 말하기 평가의 개선 방안-CBT와 인터뷰 시험의 수험자 담화 비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김석기(2005), 중국의 한국어 능력 평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편,『한국어교육론 1』,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14 김영아(1996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Evalu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네이버 미소장
16 김왕규․김정숙․조항록․정구향․조지민․김수정(2002),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7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소장
18 김유정(1999), 한국어 능력 평가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Study on Korean Writing Portfolio Assessment 네이버 미소장
20 김유정(200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론, 박영순 편,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21 김유정(2005), 한국의 한국어 능력 평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편, 한국어교육론 1 ,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22 An Analysis of Item Difficulty for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소장
23 Pres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Plan of EPS-KLT 소장
24 김재덕(1988), 청해 능력과 발화 능력의 시험과 평가-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tandard in Korean Language Speaking Ability 네이버 미소장
26 김정숙․최은규․김유정(2005ㄱ),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등급부여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6-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77쪽~97쪽. 미소장
27 김정숙․최은규․김유정(2005ㄴ),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평가 문항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6-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1쪽~107쪽. 미소장
28 Primar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Korean Speaking Evaluation 소장
29 Study on the Assessment of Writing proficiency in Korean 네이버 미소장
30 김정숙․이정희․이준호․장은아(2011),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미소장
31 한국어 능력평가검사의 개발 실태 및 분석 소장
32 김지애(2008), 한국어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 방안 연구-고급 단계의 논설문 쓰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김하수․박영순․백봉자․윤희정․서상규․김정숙․이다미(1996), 한국어 능력검정제도 실시를 위한 기본 연구에 관한 최종 보고서, 교육부 학술 연구 조성비(교육 정책 특별 과제) 지원에 의한 연구 과제. 미소장
34 김하수․윤희원․서상규․황지하․원진숙․조항록․진기호(1997), 한국어 능력평가 제도의 기본 모형 개발에 관한 최종 연구 보고서, 교육부 학술 연구 조성비(교육 정책 특별 과제) 지원에 의한 연구 과제. 미소장
35 김혜진(2005), 일본의 한국어 능력 평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편, 한국어교육론 1 ,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36 김호웅(2002), 중국 조선어문시험 평가 방식의 실태와 특성: <2002 보통고등학교 초생전국통일고시조선어문>(길림성전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0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465쪽~498쪽. 미소장
37 남명호․이인제․김정숙․박정․김왕규(1999), 한국어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38 남명호․양태식․이영숙․원효헌(2000), 한국어능력시험 등급 기준 조정 및 문제은행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39 남명호 외(2002), 한국어능력시험 등급 기준 조정 및 문제 은행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정책과제. 미소장
40 노대규(198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시험과 평가, <이중언어학> 1-1호, 이중언어학회. 139쪽~170쪽. 미소장
41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 소장
42 SAT Ⅱ 한국어의 현황과 문제점 소장
43 한국어능력시험의 운영 현황 및 과제 소장
44 한국어 능력 검정 시험의 방안 소장
4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 소장
46 박갑수(2004), 한국어교육 평가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교육논고>, 서울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도자과정. 미소장
47 박광진(2009),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교실 말하기 평가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8 박민신(2008), 한국어 듣기 평가 텍스트의 진정성 연구, <한국어교육> 19-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쪽~20쪽. 미소장
49 박승재(2009), 웹기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0 박영순(2004), 한국어교육 평가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 서울: 도서출판 월인. 미소장
51 반소연(2010), 일반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시험의 듣기 텍스트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2 백봉자(1998), 한국어교육 성취 수준에 대한 평가-연세대 한국어학당 1급, 2급의 성취도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15-1호, 이중언어학회. 141쪽~167쪽. 미소장
53 러시아 대학의 한국어교육과정의 현 능력평가제도에 대하여 : 러시아 국립극동대학교 한국학대학을 예로 소장
54 "한국어 능력 평가 시험"의 기본 모형 수립을 위한 기초적 연구 소장
55 서상규(1999), 한국어 능력평가, 남기심․이상억․홍재성 외 공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법과 실제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56 서유남(2003),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평가 개선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7 SAT Ⅱ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소장
58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 : SAT Ⅱ한국어와 응시자들의 사회 언어적 배경을 중심으로 소장
59 손호민(1991), Patterned Weakness of OPI Interviewees in Korean, <한국말교육> 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60 손호민(1993), Korean Proficiency Guidelines, <한국말교육> 4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1쪽~230쪽. 미소장
61 A Study on assessment researches in Korean education 소장
62 심승자(2002), 프랑스 바칼로레아와 한국어, <국어교육연구> 10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365쪽~381쪽. 미소장
63 안기화(2002), 호주에서의 한국어평가방식 실태 및 평가 내용 및 개선 방법 모색, <국어교육연구> 10호,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343쪽~363쪽. 미소장
64 Assessing Academic Listening 소장
65 안미란(2008), 능력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어 읽기 쓰기 평가 문항 유형 개발, 15-1호, 한국외국어교육학회. 521쪽~544쪽. 미소장
66 우민정(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쓰기 평가 방안 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7 우지원(2005),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한국어능력시험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8 우혜령(2000),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항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9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70 韓國語敎育 의 到達目標 와 그 評價 에 關한 小考 소장
71 유준영(2010), 취업 목적 한국어 능력 평가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2 말하기 숙달도 평가에 관한 논평 : ACTFL OPI를 대상으로 소장
73 이영근(2005), 미국의 한국어 능력 평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편, 한국어교육론 1 ,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74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유형 및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소장
75 A Study on the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tandards and Assessment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Non-Korean-speaking Backgrounds 소장
76 이원경(2003), 한국어 평가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연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단 연구 보고서. 미소장
77 이은하(2007),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평가를 위한 분석적 채점척도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8 이종은(1997), 수행중심 한국어능력평가, <한국어교육> 8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9쪽~294쪽. 미소장
79 이준호(2009), 한국어 수행 평가의 원리 및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0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소장
81 한국어 이해능력 평가의 원리 및 실제 소장
82 이해영․김정숙․김영규․방성원․이정희․이동은(2006).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유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83 이향무(2003), 한국어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4 이희경․강승혜․김미옥․김제열․정희정․한상미․황인교(2002), 한국어 성취도 평가 문항 개발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1호,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41쪽~416쪽. 미소장
85 Detecting the Differently Functioned Items by Gender o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소장
86 장은아(2007), Angoff 방법과 북마크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능력시험의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7 장준남(2010), 취업 목적 한국어 평가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8 전설지(2008), 웹 환경을 이용한 한국어능력시험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9 한국어 능력 평가 네이버 미소장
90 전은주(2003), 말하기․듣기 영역 수행 평가의 방법, <어문학연구> 27호, 한국어문교육학회. 39쪽~65쪽. 미소장
91 전은주(2008),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국어교육연구> 31호,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29쪽~265쪽. 미소장
92 정광․고창수․김정숙․원진숙(1994), 한국어능력평가 방안 연구-언어숙달도(Proficiency)의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1호, 한국어학회. 481쪽~538쪽. 미소장
93 조아라(2006), 한국어 말하기 수행 평가의 역류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4 조인옥(2000), 한국어능력시험 언어권별 수험자 반응 분포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5 조인옥(2007), 한국어능력평가 답안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2호,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37쪽~258쪽. 미소장
96 조항록․조현선․한송화․곽지영(2002), 한국어 배치고사 개발 사례 연구-연세대학교 한국어 학당의 배치고사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417쪽~493쪽. 미소장
97 한국어 능력 평가 체계의 현황과 과제 소장
98 한국어 능력 시험 어휘 평가에 관한 연구 소장
99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육에서의 '대안적 평가' 소장
100 지현숙(2005), 평가의 과제와 발전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편, 한국어교육론 1 ,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101 지현숙(2006), 한국어 구어 문법 능력의 과제 기반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2 최길시(1991), 한국어 능력 검정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3 최은규(2005ㄱ), 평가의 연구사와 변천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편, 한국어교육론 1 ,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104 최은규(2005ㄴ), 한국어 평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원 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05 The Practice and Task of the Korean Language Testing 소장
106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소장
107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대학 입학 전 과정을 중심으로- 소장
108 한상미․윤은미․홍윤혜․배문경(2009), 컴퓨터 기반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도구 개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4호,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19쪽~554쪽. 미소장
109 태국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평가 소장
110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론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