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국어 발화의 의미에 대하여 / 최호철 1
〈Abstract〉 1
1. 머리말 2
2. 언표 단위와 발화 단위의 구분 3
2.1. 일반적 기술에 대한 논의 4
2.2. 용어 정리와 관련한 논의 11
3. 발화 의미와 화행 의미의 구분 24
4. 국어 발화의 의미 분석 31
4.1. 단어 발화의 의미 33
4.2. 문장 발화의 의미 35
5. 맺음말 45
〈참고문헌〉 47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 different use of terminology in studies regarding larger units than a sentence, to explore meanings that need considering when interpreting a meaning of utterance, and to formulate a manner that a meaning acts in the meaning of utterance and a process of interpretation on the meaning of utterance.
First, a classification of 'locutionary' and 'utterance' has been made in this article by defining a 'locutionary' as linguistic expressions without a context, and an 'utterance' as linguistic expressions within a context. The units which belong to the former are described as locutionary word, locutionary phrase, locutionary sentence, locutionary paragraph, and locutionary text. The units which belong to the latter are described as word utterance, phrase utterance, sentence utterance, paragraph utterance, text utterance.
Second, the context meaning is described as a binding meaning; since context meaning is to be added to meanings of words or sentences themselves in a locutionary meaning. And the context meaning is described as a speech act meaning; since context meaning is to be added to meanings of words, sentences or text themselves in an utterance meaning.
Finally, in this article, a formulation has been made about an analysis process of utterance meaning; locutionary meaning, i.e., literal and binding meaning, attitudes of speakers and listeners, i.e., background and intention, relations of speakers between listeners, i.e., position, age and intimacy, a setting of utterance, i.e., time, space and event, deixis of utterance.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화시의 기능과 체계에 대한 고찰 | 박철우 | pp.1-37 |
|
보기 |
담화 화시와 사회적 화시 | 임동훈 | pp.39-63 |
|
보기 |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양태적 의미 | 김정남 | pp.65-89 |
|
보기 |
발화 요소와 발화 유형 | 김수진, 차재은, 오재혁 | pp.91-118 |
|
보기 |
신동엽 산문의 담화·화용 양상 : 문법 관련 현상을 중심으로 | 김흥수 | pp.119-148 |
|
보기 |
'어느'와 '어떤'의 사용 의미 연구 | 박기선 | pp.149-180 |
|
보기 |
주제 분석과 텍스트 유형 | 신지연 | pp.181-202 |
|
보기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 냄새 | 신현숙 | pp.203-227 |
|
보기 |
「新約全書 국한문」의 非漢字語化 要素 硏究 | 유경민 | pp.229-263 |
|
보기 |
한국어 동사 '놓-'의 의미 변화 양상 분석 | 이민우 | pp.265-283 |
|
보기 |
토론 프레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 이숙의 | pp.285-311 |
|
보기 |
NSM에 기초한 국어 간투사의 의미 기술 | 이정애 | pp.313-333 |
|
보기 |
부사 '거의' 의미 연구 | 이홍매 | pp.335-361 |
|
보기 |
동반 경험 망 모형을 적용한 성서 히브리어의 신체 어휘 번역 방안 고찰 | 정병철 | pp.363-389 |
|
보기 |
반말체 어미 '-게'의 문법화와 의미 변화 | 조은영, 이한민 | pp.391-417 |
|
보기 |
TV 광고 언어의 통합적 해석 | 채완 | pp.419-448 |
|
보기 |
대우어 목록 추출 및 의미 특질 분석 : 대명사를 중심으로 | 최재웅 | pp.449-480 |
|
보기 |
국어 발화의 의미에 대하여 | 최호철 | pp.481-529 |
|
보기 |
한국어 결과구문의 의미 특성 | 황주원 | pp.531-55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영근(2002). “문법과 텍스트과학.” 고영근 밖에, 「문법과 텍스트」(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3-18면. | 미소장 |
2 | 교육 인적 자원부(2002). 「고등 학교 문법」. 서울: (주)두산. | 미소장 |
3 | 교육부(1996). 「고등 학교 문법」.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 미소장 |
4 | 김민수(1982). 「국어문법론」(중판). 서울: 일조각. | 미소장 |
5 | 개념적 의미에 관한 몇 가지 오해에 대하여 : 왜 개념적 의미는 담론적 의미인가 | 소장 |
6 | 김종택(1984). 「국어화용론」. 서울: 형설출판사. | 미소장 |
7 | 김태자(1987). 「발화분석의 화행의미론적 연구: 어학의 문학에로의 접근」. 서울: 탑출판사. 89-103면. | 미소장 |
8 | 맥락 분석과 의미 탐색 | 소장 |
9 | 남기심ㆍ고영근(1985/1993). 「표준 국어문법론」. 서울: 탑출판사. | 미소장 |
10 | 문교부(1985/1991). 「고등 학교 문법」.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 미소장 |
11 | 박영순(1994). 「한국어 의미론」.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12 | 박영순(2008). 「한국어 담화ㆍ텍스트론」(2판). 서울: 한국문화사. 17-28면. | 미소장 |
13 | 21 세기 담화 의미 연구의 방향 ![]() |
미소장 |
14 | Textlinguistics and Pragmatics, for Their Point of Contact | 소장 |
15 | 이관규(1999). 「학교 문법론」. 서울: 도서출판 월인. | 미소장 |
16 | 이석규 편(2003). 「텍스트 분석의 실제」. 서울: 도서출판: 역락. | 미소장 |
17 | 장경희(1992). “국어 화용론.” 「국어학 연구 백년사」(서울: 일조각). 359-367면. | 미소장 |
18 | 화행의미론 ![]() |
미소장 |
19 | 현대 국어의 소형발화 연구 | 소장 |
20 | 전병선(1995). 「본문언어학」.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0, 서울: 박이정. | 미소장 |
21 | 조성식(1990). 「영어학사전」. 서울: 신아사. | 미소장 |
22 | 최호철(1993). “현대 국어 서술어의 의미 연구: 의소 설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8-19면. | 미소장 |
23 | 한국텍스트언어학회(2004).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서울: 박이정. | 미소장 |
24 | Allan, Keith(1986). Linguistic Meaning.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 미소장 |
25 | Asher, R. E. ed.(1994) The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vol. 10. Oxford: Pergamon Press. | 미소장 |
26 | Bright, William(1992).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vol. 4.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Lyons, John(1995). Linguistic Semantics: An Introdu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