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경기도와 경상북도 일대의 '대석조생' 자두 재배포장에서 착색이 불균일한 얼룩 반점 증상의 과실이 발생하였다. 이들 시료로부터 유전자 진단(RT-PCR)과 Dot-blot hybridization 검정 결과 호프왜화바이로이드(HSVd)가 검출되었고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개의 HSVd 변이주(DP1, DP2) 를 동정하였다. GenBank에 등록된 자두 HSVd의 7개 변이주와 새로운 DP1, DP2 변이주와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한 결과 94-100%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DP1와 DP2의 유전자는 59번과 60번 염기가 각각 CG, AA로 서로 다른 변이를 보였다. 국내외 자두 과실 얼룩반점 증상에서 동정된 HSVd의 유전자는 특이적으로 59번과 60번 부위의 염기가 CG, AA, TG인 3개 군으로 크게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apple fruits of plum cv. Oiishiwase (Prunus salicina L.) were occurred at Gyeonggi-do and Gyeongsangbukdo. The symptoms resembled the dapple fruit disease caused by Hop stunt viroid (HSVd). To identify the causal disease agents, RT-PCR was performed with the specific primers of HSVd. RT-PCR analysis showed that HSVd variants (DP1, DP2) were detected from dapple fruits. HSVd detection was also confirmed by the dot blot hybridization using a DIG-probe specific to HSVd. Nucleotide sequences of DP1 and DP2 had the identities of 94-100% with those of other 7 variants of HSVd in Genbank database. DP1 and DP2 were different in two nucleotides of CG and AA at position of 59 and 60, orderly.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at position of 59 and 60, HSVd variants associated with plum dapple fruits could be divided mainly into three groups as CG, AA and T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우리나라 화훼류 파이토플라스마병의 특성 정봉남, 정명일, 최국선 pp.265-271

2010년산 맥류의 붉은곰팡이병 발생 및 Fusarium 곰팡이독소 자연발생 류재기, 이수형, 손승완, 이승호, 남영주, 김미자, 이데레사, 윤종철 pp.272-279

전국 미곡종합처리장에서 채집한 2009년산 쌀과 가공부산물 시료의 독소생성곰팡이 오염 손승완, 남영주, 이승호, 이수민, 이수형, 김미자, 이데레사, 윤종철, 류재기 pp.280-287

벼 키다리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기내 유묘 검정법 개발 이용환, 이명지, 최효원, 김성택, 박진우, 명인식, 박경석, 이세원 pp.288-294

살균제 살포횟수 감소를 위한 딸기 탄저병 방제프로그램 남명현, 김현숙, 남윤규, N.A. Peres, 김홍기 pp.295-301

근권세균을 전 접종한 감귤에서 감귤 더뎅이병 억제 효과 및 기작 김소연, 현재욱, 전용철 pp.302-310

고추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방법 개발 김수, 김동휘, 김대현, 한경숙, 한유경, 이성찬, 조명철, 양은영, 김기홍 pp.311-316

콩 불마름병 발생정도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홍성준, 김용기, 지형진, 심창기, 김민정, 박종호, 한은정, 이봉춘 pp.317-325

한국에서 분리한 Ralstonia solanacearum에 대한 순계 토마토의 병 반응과 고온에서의 발병 이형주, 조은정, 김남희, 채영, 이선우 pp.326-333

2010년 우리나라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상황 김정수, 이수헌, 최홍수, 김미경, 곽해련, 남문, 김정선, 최국선, 조점덕, 조인숙 [외] pp.334-341

성주지역 참외 바이러스병의 발생실태와 전염생태 박석진, 이중환, 남문, 박충열, 김정선, 이주희, 전은숙, 이준성, 최홍수, 김정수 [외] pp.342-350

전남지역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분석 고숙주, 강범용, 김도익, 최덕수, 김선곤, 이관석, 김창석, 최홍수, 김홍재, 김정수 pp.351-357

국내 얼룩반점 자두에서 발생한 호프왜화바이로이드(HSVd)의 유전자 변이 조인숙, 정봉남, 조점덕, 최승국, 최국선, 김정수 pp.358-363

Gray mold on carrot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Kyeong-Hun Park, Kyoung-Yul Ryu, Hye-Jeong Yun, Jeong-Chul Yun, Byeong-Seok Kim, Kyu-Sik Jeong, Young-Seok Kwon, Byeongjin Cha pp.364-368

종 특이 primer를 이용한 옥수수 오염 Fusarium verticillioides의 PCR 검출 강미란, 김지혜, 이승호, 류재기, 이데레사, 윤성환 pp.369-375

토마토 종자로부터 PCR을 이용한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의 검출 조정희, 임규옥, 이혁인, 예미지, 차재순 pp.376-380

당근 검은잎마름병원균 Alternaria dauci의 포자 발아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 박경훈, 윤혜정, 류경열, 윤종철, 김세리, 김원일, 김두호, 권영석, 차병진 pp.381-385

Microstroma juglandis에 의한 호두나무 흰곰팡이병 발생 이상현, 이승규, 박지현, 조성은, 신현동 pp.386-390

팽나무 뒷면흰가루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Pleochaeta shiraiana의 존재 확인 이승규, 이상현, 조성은, 박지현, 신현동 pp.391-395

Rhizopus oryzae에 의한 산딸기 무름병 권진혁, 강동완, 안재욱, 최옥희, 곽연식 pp.396-398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초석잠 흰비단병 권진혁, 강동완, 이성태, 최옥희, 신순선 pp.399-401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팔레놉시스 흰비단병 한경숙, 이성찬, 한유경, 김수, 박종한 pp.402-404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큰물개구리밥(Azolla japonica) 마름병 이정한, 차재율, 노길한, 한기수, 배동원, 권영상, 임채신, 정성우, 권진혁, 박정규 [외] pp.405-409

비파나무 및 홍가시나무 점무늬병의 살균제 방제효과 서상태, 신창훈, 지권혁, 박소영 pp.410-412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16 new sequence variants of Hop stunt viroid reveals the existence of invariable regions and a conserved hammerhead-like structure on the viroid molecule. 네이버 미소장
2 Plant Pathology (4th edn) 네이버 미소장
3 Plant Pathology and Plant Pathogens 네이버 미소장
4 Cho, I. S., Kim, D. H., Kim H. R, Chung, B. N., Cho, J. D. and Choi, G. S. 2010. Occurrence of pome fruit viruses on pear trees (Pyrus pyrifolia) in Korea. Res. Plant Dis. 16: 326−330. (In Korean) 미소장
5 Diekmann, M. and Putter. C. A. J. 1996. Stone fruits. In : FAO/ IPGRI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safe movement of germplasm, No. 16, pp. 34-35, FAO/IPGRI, Rome. 미소장
6 Gazel, M., Serce, C. U., Caglayan, K. and Faggioli, F. 2008. Sequence variability of Hop stunt viroid isolates from stone fruits in Turkey. J. Plant Pathol. 90: 23−28. 미소장
7 Detection of Prune dwarf virus by one-step RT-PCR and its quantitation by real-time PCR. 네이버 미소장
8 Cultivated grapevines represent a symptomless reservoir for the transmission of hop stunt viroid to hop crops: 15 years of evolutionary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9 Domains in Viroids: Evidence of Intermolecular RNA Rearrangements and Their Contribution to Viroid Evolution 네이버 미소장
10 Hop stunt viroid (HSVd) sequence variants from Prunus species: evidence for recombination between HSVd isolates. 네이버 미소장
11 Martelli, G. P. and Uyemoto, J. K. 2008. Plant virus diseases : Fruit trees and grapevine. In : Desk encyclopedia of plant and fungal virology, ed. by W. J. M., Briian, and H. V. V. R, Marc, pp. 433−434, Academic Press, NY, USA. 미소장
12 Variation of viroid profiles in individual grapevine plants: novel grapevine yellow speckle viroid 1 mutants show alterations of hairpin I. 네이버 미소장
13 Occurrence of dapple fruit of plum in Italy 네이버 미소장
14 Sano, T., Hataya, T., Terai, Y. and Shikata, E. 1989. Hop stunt viroid strains from dapple fruit disease of plum and peach in Japan. J. Gen. Virol. 70: 1311−1319. 미소장
15 Citrus Cachexia Viroid, a New Viroid of Citrus: Relationship to Viroids of the Exocortis Disease Complex 네이버 미소장
16 A single nucleotide change in Hop stunt viroid modulates citrus cachexia symptoms 네이버 미소장
17 Shikata, E. 1990. New viroids from Japan. Semin. Virol. 1: 107− 115. 미소장
18 Terai, Y. 1985. Symptoms and graft-trasmission of plum dapple fruit disease. Annu. Phytopathol. Soc. Jpn. 51: 363−364. 미소장
19 Yang, Y. Ai., Wang, H. Q., Wu , Z. J., Cheng, Z. M. and Li, S. F. 2008. Molecular variability of Hop stunt viroid: Identification of a unique variant with a tandem 15-nucleotide repeat from naturally infected plum tree. Biochem. Genet. 46: 113−123. 미소장
20 Zhang, B., Liu, G. Y., Liu, C., Wu, Z., Jiang, D. and Li, S. 2009. Characterisation of Hop stunt viroid (HSVd) isolates from jujube trees (Ziziphus jujuba). Eur. J. Plant Pathol. 125: 665− 66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