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百濟 熊津時期의 정국과 大通寺 창건 / 朴賢淑 1

I. 머리말 1

II. 웅진시기 백제 정국과 양과의 교섭 4

III. 대통사 관련 사료의 검토와 창건 시기 10

IV. 성왕대 대통사 창건과 그 의미 13

V. 맺음말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5

초록보기

 Daetongsa is one of the Buddhist temples of Paekche whose date of foundation and relevant information are well preserved. This paper examines, based on the records of Samguk Yusa, the history of the foundation of the Buddhist temple and its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Ungjin period and Paekche's close ties to Yang(梁).

Paekche had dynamic relations, both political and cultural, with Yang. King Muryeong(武寧) and King Seong(聖) dispatched envoys to Yang, namely the Southern Yang Dynasty, in order to be fully invested with kingship and, as a result, could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it. In doing so, they could introduce Buddhism and a variety of skills from China while holding Koguryo in check. Under the reign of King Muryeong, the policy on Kogury$$started to pay off and the overall situation became stabilized after transferring the capital to Ungjin. Along with this, the introduction of, and the development of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m created a proper atmosphere for the foundation of Daetongsa in the 21st year of King Seong's reign(527).

King Beopheung(法興) of Silla also founded a Buddhist temple named 'Heongryoonsa(與輪寺) at the same time as the foundation of Daetongsa in 527. They were the first temples in both countries that could be called 'Buddhist'temples in a strict sense and it is very interesting to find that they either begun to be constructed or were completed in 527 and that the roof tiles used for them were made by the same techniques. And what is common between the constructions of the two temples is Yang. The cultural network between Yang and Paekche extended into Sil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Paekche seems to have aimed at taking the lead in the war against Kogury$$while holding Silla and Yang in check by making the most of the advanced culture and institutions from Yang.

Daetongsa is not just one of the many Buddhist temples King Seong built.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Buddhism to prosper in Paekche and this is what I want to show in this paper. The foundation of Daetongsa is of significant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in Paekche. King Seong wanted to realize Buddha's Land in his country by constructing Daetongsa.

Eventually, King Seong strengthened royal authority by establishing Daetongsa. The foundation of Daetongsa, which was a result of Paekche's close political and cultural connections to Yang, supplied political and ideological fuel for the two kings to consolidate royal authority and raise their country's status to a higher level.

$$:원문참조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新羅의 大加耶 복속 과정에 대한 재검토 尹星鎬 pp.1-33

보기
高麗時期 寺院에서의 敎學活動 李炳熙 pp.35-73

보기
숙종대 保社功臣의 錄勳 과정과 사회적 關係網 분석 이상식 pp.75-112

보기
1910년대 최남선의 문명·문화론과 조선불교 인식 류시현 pp.113-137

보기
냉전시대 미국의 민족국가 형성 개입과 헤게모니 구축의 최전선 : 주한미공보원 영화 許殷 pp.139-169

보기
百濟 熊津時期의 정국과 大通寺 창건 朴賢淑 pp.171-196

보기
백제 熊津王都와 大通寺址 서정석 pp.197-229

보기
백제 대통사 창건의 불교사상적 배경 조경철 pp.231-265

보기
百濟와 梁의 교섭과 大通寺 조윤재 pp.267-303

보기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喪葬制를 중심으로 한 武寧王陵과 南朝墓의 비교 소장
2 김수태, 2008, 「웅진시기 백제의 대남조 외교」 百濟文化 海外調査報告書 Ⅵ-中國 南京地域, 국립공주박물관 미소장
3 김영태, 1990, 「미륵신앙」 삼국시대 불교신앙 연구 , 불광출판사 미소장
4 김현구・박현숙・우재병・이재석, 2003,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Ⅱ) , 일지사 미소장
5 新羅와 百濟의 交涉과 交流 : 6-7세기를 중심으로 소장
6 朴容塡, 1978, 「百濟瓦當の体系的 分類-軒丸瓦を中心として-」 百濟文化と飛鳥文化 , 吉川弘文館 미소장
7 6세기 백제 대외관계의 변화와 그 의미 소장
8 百濟 武王의 益山 경영과 彌勒寺 소장
9 徐榮洙, 1987, 「三國時代 對中外交의 전개와 성격」 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미소장
10 A study on the Emperor of Liang Dynasty, Wudi's Buddhist policy 소장
11 신종원, 1988, 新羅初期佛敎史 硏究 , 고려대학교 미소장
12 신종원, 1996, 「 三國遺事 原宗興法 厭髑滅身條 譯註」 겨례문화 10 미소장
13 삼국의 불교 初傳者와 초기불교의 성격 소장
14 웅진시대 백제와 중국 소장
15 윤용혁, 2005, 「輕部慈恩의 공주 백제문화 연구」 百濟文化 34 미소장
16 輕部慈恩의 백제고분 조사와 유물 소장
17 윤용혁, 2010, 가루베 지온의 백제 연구 , 서경문화사 미소장
18 李基白, 1986, 「新羅 初期 佛敎와 貴族勢力」 新羅思想史硏究 , 一潮閣 미소장
19 百濟 佛敎 受容 年代의 檢討 소장
20 이남석・서정석, 2000, 大通寺址 , 公州大學校博物館・忠淸南道 公州市 미소장
21 百濟 大通寺址와 그 出土遺物 소장
22 A New Perception about Baekje's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소장
23 李炳鎬, 2011, 「古式 蓮花文瓦當의 分類와 編年」 慶州工業高等學校內 遺構 收拾調査 , 國立慶州博物館 미소장
24 웅진시대 백제와 신라 소장
25 鄭載潤, 1999, 熊津時代 百濟 政治史의 展開와 그 特性 ,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5~6세기 백제의 남조 중심 외교정책과 그 의미 소장
27 The Ruling Elite of Paekche and the Pobhwa Thought of Buddhism 소장
28 百濟 聖王代 大通寺 창건의 사상적 배경 소장
29 백제 웅진 대통사와 대통신앙 소장
30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의 형식과 편년 소장
31 조윤재, 2011, 「백제와 梁 의 교섭과 大通寺」 공주 백제 大通寺址의 역사와 유적 (학술대회 발표문) 미소장
32 차용걸, 1978, 「백제의 제천사지와 정치체제의 변화」 한국학보 11 미소장
33 최광식, 1994, 「고대 한국의 국가와 제사」, 한길사 미소장
34 輕部慈恩, 1946, 百濟美術 , 寶雲寺 미소장
35 鈴木啓造, 1962, 「皇帝卽菩薩と皇帝卽如來について」 佛敎史學 10-1 미소장
36 田中俊明, 1989, 「公州地方の寺院と佛蹟」 韓國の古代遺蹟 2 百濟・伽耶篇, 中央公論社 미소장
37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Baekje Daetongsa-style roof tile 네이버 미소장
38 백제 시기의 효사상 수용과 그 의의 소장
39 河上麻由子, 2008, 「遣隋使と佛敎」 日本歷史 7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