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백제 성왕의 즉위와 왕권 강화과정 / 장수남 1

요약 1

I. 머리말 2

II. 선왕의 장례 주재와 왕위 계승 3

1. 무령왕의 장례의식 3

2. 장례의식의 주재와 왕권 7

III. 왕권의 확립과 대통사의 창건 12

1. 왕권 강화를 위한 시책 12

2. 왕권 안정의 구심점. 대통사 창건 14

IV. 맺음말 21

참고문헌 23

[요약] 25

초록보기

무령왕이 523년 세상을 뜨자 성왕은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성왕은 선왕을 대신해 '다시금 강국이 된 백제'의 명운을 젊어지게 되었다. 먼저 선왕의 장례를 주재하면서 그 기간 동안 왕권의 기틀을 잡고, 사비천도 후 대외전쟁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성왕은 왕권을 뒷받침 해 줄 통치 이념이 필요하였다.

무령왕대는 양과의 교섭을 통해 중국의 장례문화가 들어왔는데,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지석을 통해 빈의 기간을 알 수 있었다. 이 기간은 선왕의 장례 기간이자 성왕이 왕권을 구축해야 하는 시기였다. 성왕은 중국의 상 장례 의식에 대하여 잘 알고 있던 오경박사를 통해 부왕과 어머니의 장례를 잘 마무리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기간 동안 성왕은 고구려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부왕의 시호를 추증하여 왕족 의식을 고양하였으며, 양으로부터 '지절도독백제제군사수동장군백제왕(持節都督百濟諸軍事綏東將軍百濟王)' 의 작호를 받았다. 이로써 성왕은 선왕의 장례를 성공리에 마치고 선왕의 왕권을 온전히 물려받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성왕은 측근 등 새로운 정치세력을 이용하여 지배체제를 재편하고, 대외전쟁을 수행하여 그 기반을 더욱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갈등이 야기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성왕은 불교라는 이데올로기를 통해 갈등을 치유하는 한편 왕권강화를 모색하였던 것 같다. 그러고 그것은 대통사의 창건으로 이어졌다.

대통사의 창건 목적은 양면적이었던 것 같다, 겉으로는 양무제를 위해 창건하였다고 하면서 외교적인 실리를 추구하였지만, 실제로는 불교를 통해 민심을 하나로 모으고 무령왕 부부의 영령을 추복하는 능사(陵寺)적인 성격을 부여함으로써 왕권 안정의 구심점으로 삼으려 한 것 같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中部地域 突帶文土器文化의 展開樣相 : 江原嶺西地域을 中心으로 朴榮九 pp.25-55

보기
巨石記念物과 社會政治的 發達에 대한 고고학적 이해 : 남한지역 지석묘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론화를 위하여 金範哲 pp.57-74

보기
東北亞 靑銅器·初期鐵器時代 首長墓 副葬遺物의 展開 中村大介 pp.75-108

보기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황재훈 pp.109-145

보기
청동기시대 청동제품의 생산전문화 양상에 대한 일 고찰 : 남한 출토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의 표준화 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조대연, 이동희 pp.147-168

보기
선사시대 팥의 이용 및 작물화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이경아, 윤호필, 고민정 pp.169-187

보기
匈奴遺蹟 출토 銘文자료에 대한 일고찰 姜仁旭 pp.189-219

보기
古代 東亞細亞 出土 晉式帶金具의 成立과 展開 김지현 pp.221-251

보기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 검토 : 고분 분포를 중심으로 조가영 pp.253-275

보기
백제 성왕의 즉위와 왕권 강화과정 장수남 pp.277-301

보기
統一新羅時代 北原小京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이재환 pp.303-323

보기

참고문헌 (6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삼국사기』 미소장
2 『삼국유사』 미소장
3 『일본서기』 미소장
4 『주서』 미소장
5 『북사』 미소장
6 『통전』 미소장
7 『남사』 미소장
8 『자치통감』 미소장
9 『歷代三寶紀』 미소장
10 『위서』 미소장
11 강종원, 2007, 「사비천도의 단행」,『사비도읍기의 백제』,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미소장
12 전 동명왕릉과 진파리 고분군의 성격 검토 소장
13 鎌田茂雄, 1984, 『中國佛敎史-南北朝의 佛敎(上)』3, 장승 미소장
14 곽동석, 2007,「웅진기 중국과의 문물교류」,『百濟의 文物交流』,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미소장
15 고대 한국의 喪葬儀禮 소장
16 권오영 2005,『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돌베개. 미소장
17 권오영, 2007, 「무령왕대 정치적 안정과 국력회복-선진문물의 수용-」,『웅진도읍기의 백제』,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미소장
18 백제 시기의 효사상 수용과 그 의의 소장
19 길기태, 2006, 『백제 사비시대의 불교신앙 연구』, 서경. 미소장
20 백제 시조 九台廟와 능산리사지 네이버 미소장
21 백제의 천도 소장
22 The Frontier of the King Sung in Paekche Dynasty 소장
23 百濟 聖王代의 북방 영역 변화 소장
24 History : The Conditions of Gaya Region and Reaction of Baekje in Early Period of King Sung 네이버 미소장
25 백제 성왕대 관산성 전투의 의미 소장
26 百濟 威德王의 父王을 위한 追福과 夢殿觀音 소장
27 6세기 百濟의 加耶진출과 그 성격 소장
28 김주성, 1995, 「사비천도와 지배체제의 재편」,『한국사』3. 미소장
29 김주성, 2000,「성왕의 한강유역 점령과 상실」,『百濟史上의 戰爭』, 서경문화사. 미소장
30 백제왕실의 남천과 지배세력의 변천 소장
31 노중국, 1994,『백제 정치사 연구』, 일조각. 미소장
32 문동석, 2004, 「백제 노귀족의 불심-사택지적비」,『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미소장
33 박현숙, 2008, 「백제의 섬진강 유역 영역화와 가야와의 관계」,『백제와 섬진강』,전북문화재연구원. 미소장
34 6세기 전반 백제의 가야진출과정 소장
35 A study on the Emperor of Liang Dynasty, Wudi's Buddhist policy 소장
36 신광섭, 2007, 「능사 다시 찾은 백제의 마지막 모습」,『사비도읍기의 백제』,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미소장
37 신종원, 2002, 「삼국 불교와 중국의 남조문화」,『강좌 한국고대사9- 문화의 수용과 전파-』,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미소장
38 신형식, 1984,「삼국시대 전쟁의 정치적 의미」,『한국고대사의 신연구』, 일조각. 미소장
39 양기석, 1990, 「백제 성왕대의 정치개혁과 그 성격」,『한국고대사연구』4, 한국고대사연구회. 미소장
40 百濟 威德王代 王權의 存在形態와 性格 소장
41 양기석, 2007, 「관산성 전투와 집권세력의 변화」,『사비도읍기의 백제』,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미소장
42 이기백, 1986,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미소장
43 이남석 ․ 서정석, 2000, 『大通寺止』, 공주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44 이근우, 2003, 「웅진 ․ 사비기의 백제와 대가야」『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서경. 미소장
45 百濟 泗비 遷都의 再檢討 소장
46 支石墓의 葬送儀禮 소장
47 이한상, 1998,「公州 艇止山遺蹟의 編年과 性格」,『백제의 왕실제사유적 정지산 학술발표대회 요지문』. 미소장
48 이한상, 2003,「지석에 새겨진 무령왕 부부의 삶과 죽음」,『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미소장
49 이한상, 2007, 「백제의 장례풍습」,『百濟의 文化와 生活』,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미소장
50 南朝의 喪禮 硏究 : 皇帝의 儀禮를 中心으로 소장
51 관산성전투에 대한 새로운 고찰 소장
52 정운용, 2007, 「한강유역 회복과 관산성 전투」,『사비도읍기의 백제』,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미소장
53 高句麗 壁畵古墳에 나타난 信仰과 祭儀 양상 소장
54 百濟의 支配勢力과 法華思想 소장
55 조경철, 2000,「백제 성왕대 유불정치이념-육후와 겸익을 중심으로」,『한국사상사학회』15, 한국사상사학회. 미소장
56 百濟 聖王代 大通寺 창건의 사상적 배경 소장
57 조경철, 2006, 「백제 불교사의 전개와 정치변동」,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박사논문. 미소장
58 조경철, 2007, 「유불통치이념구현」,『사비도읍기의 백제』,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미소장
59 Critical Discussion on Influence of Chinese Buddhism[中國佛敎] on Baekje Buddhism[百濟佛敎] 소장
60 公州 宋山里6號墳 銘文塼 판독에 대한 管見 소장
61 조인성, 2010, 「황룡사 영건의 정치적 ․ 사회적 배경 연구」,『황룡사 복원 기반 연구』,국립문화재연구소. 미소장
62 百濟「大通寺式」수막새의 성립과 전개 : 中國 南朝系 造瓦技術의 전파 소장
63 王仲殊, 1989, 「東晋南北朝時代中國與海東諸國的關係」『考古』1989-11,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미소장
64 百濟武寧王陵の形式構造に關しての考察 소장
65 土生田鈍之, 1998,「古墳築造過程における儀禮-墳丘を中心として」『黃泉國の成立』學生社 미소장
66 和田萃, 1995,「喪葬儀禮と卽位儀禮」『日本古代の儀禮と祭祀 ․ 信仰』塙書房刊.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