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고대일본의 국제관계와 대외인식 / 나행주 1

I. 서론 1

II. 고대일본의 국제관계 2

1. 중국과의 관계 2

2. 한반도제국과의 관계 11

III. 고대일본의 대외인식 23

1. 중국에 대한 인국관과 그 실체 23

2. 한반도에 대한 번국관과 신공황후전설 26

IV. 결어를 대신해 33

〈Abstract〉 35

초록보기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foreign recognition of the ancient Japan, and the result if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way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the Japanese Archipelago(Islands) was a route of Kyusyu(九州). It was from Kinai(畿内) and Kyusyu, to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Especially the exchange with the Korean Peninsula was weighty, it means the route to the Korean Peninsula was highly significant. The ultimate obj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the ancient Japan with China was to acquire authority (before 6C) and to adopt political culture (after 7C). While, with the Korean Peninsula, it was constant for getting indispensable supplies and things advanced.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Peninsula was to obtain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more practically than one with China. The recognition for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of the ancient Japan was completely divorced from circumstances of the ancient times. And its ground came from the historical view of Nihonsyoki, based on the law, formed at 8C, and the legend of Empress Jingu. Therefore, in the recognition of the ancient Japan, China was a neighboring country(隣國), having an equal relationship. And the countrie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savage country(蕃國), being shield to keep the ancient Japan safe. Bu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at the ancient times, the Ancient Japan was a tributary state(朝貢國) of China, and basically had a equal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Peninsul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동제국기』를 통해 본 15세기 조선지식인의 동아시아관 : 약탈의 시대에서 공존·공생의 시대로 손승철 pp.1-28

보기
고대일본의 국제관계와 대외인식 나행주 pp.29-64

보기
'外國'과 '屬國'의 사이 : 正史를 통해 본 청의 조선 인식 김선민 pp.65-100

보기
조선 실학에 끼친 徐光啓의 영향 : 서유구 가문을 중심으로 조창록 pp.101-118

보기
檀君神話 小考 李學堂, 張懿田 pp.119-145

보기
咸安 城山山城 出土 新羅 荷札의 再檢討 윤선태 pp.147-178

보기
을미사변을 둘러싼 기억과 의문 : 명성황후 암살자에 관한 기록과 추적 김영수 pp.179-205

보기
일제시기 재조선 일본인 학교조합제도의 변천과 성격 : <학교조합령> 제정과 개정 내용을 중심으로 조미은 pp.207-239

보기
일본 시찰 보고서의 겉과 속 : 「일본시찰일기」읽기 임경석 pp.241-267

보기
8·15 해방 직후 조선어학회의 활동, 1945. 8. 15~1946. 2 정재환 pp.369-299

보기

참고문헌 (8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동북아역사재단 편, 고대 환동해 교류사 1부 고구려와 왜 및 고대 환동해 교류사 2부 발해와 일본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10 미소장
2 前漢書 미소장
3 三國志 미소장
4 晋書 미소장
5 仁藤敦史, 「邪馬台国からヤマト王権へ」, 荒野泰典ㆍ石井正敏․村井章介 編, 東アジ ア世界の成立 (동경, 吉川弘文舘, 2010), 127-131쪽 미소장
6 坂元義種, 倭の五王 (동경, 敎育社, 1981), 69-73 미소장
7 坂元義種, 古代東アジアの日本と朝鮮 (동경, 吉川弘文舘, 1978), 143쪽 미소장
8 Articles : Japanese Kings` Diplomacy with Southern Dynasties in China in the Century 소장
9 『宋書』 倭國傳에 보이는 倭王(武) 上表文에 대한 검토 소장
10 5세기의 고구려와 왜국 : 송서 왜국전의 왜왕무 상표문에 나타난 '고구려 정토' 문제를 중심으로 소장
11 The Alliance Formation of Baekje and its Management- About a request of governor-general Baekje military affairs of the King of Wae - 소장
12 5세기 百濟의 정국변동과 倭 5王의 작호 소장
13 김은숙의 연구(「2011년 검정통과 일본중학 역사교과서의고대 한국관련 서술 내용 분석」, 일본 역사교과서의 분석과 역사교육의 실태 , 한일관계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1.8 미소장
14 坂元義種, 「推古朝の外交」, 歷史と 人物 100, 1979, 49-50쪽 미소장
15 鄭孝雲, 「遣隋使の派遣回數の再檢討」, 立命館文學 559, 1999 미소장
16 西本昌弘, 「東アジアの動亂と大化改新」, 日本歷史 468, 1987 미소장
17 西本昌弘, 「倭王權と任那の 調」, ヒストリア 129, 1990. 미소장
18 井上光貞, 「大化改新と東アジア」, 岩波講座日本歷史 2(동경, 岩波書店, 1975) 미소장
19 坂元義種, 「東アジアの國際關係」, 岩波講座日本通史 2(동경, 岩波書店, 1993), 77-80쪽. 미소장
20 日本書紀 미소장
21 釋日本紀 미소장
22 善隣國寶記 미소장
23 東野治之, 遣唐使と正倉院 (동경, 岩波書店, 199 2) 미소장
24 森公章, 遣唐使と古代日本の對外政策 (동경, 吉川弘文舘, 2008) 미소장
25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East Asia during the 7th Century―From the Founding of Sui(隋) to the Fall of Baekje(百濟)― 소장
26 金鉉球, 大和政權の對外關係硏究 (동경, 吉川弘文館, 1985) 미소장
27 정효운, 古代韓日政治交涉史硏究 (서울, 학연문화사, 1995) 미소장
28 연민수, 고대한일관계사 (서울,혜안, 1998) 미소장
29 연민수, 고대한일교류사 (서울, 혜안, 2003) 미소장
30 김은숙, 「6세기 후반 신라와왜국의 국교성립과정」, 신라문화재 학술발표회논문집 15, 1994 미소장
31 이재석, 「백제의 부흥운동과 왜국의 대외노선」, 고대한일교류와 상호인식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자료집, 2011.9 미소장
32 谷公男, 日本の歴史03大王から天皇 へ (동경, 講談社, 2001), 65쪽), 미소장
33 石井正敏, 「東アジア世界の成立」, 荒野泰典 미소장
34 나행주,「왜 왕권과 백제ㆍ신라의 ‘質’」, 일본역사연구 24, 2006 미소장
35 삼국사기 미소장
36 The Japanese Wa(倭王權) and Mimana-no-cho(任那의 調) 소장
37 8세기의 新羅와 日本의 關係 소장
38 김은숙, 「왜국과의 관계」, 한국사 7, 1997 미소장
39 李成 市, 「統一新羅と日本」, 古代を考える日本と朝鮮」(동경, 吉川弘文館, 2005) 미소장
40 8세기 중엽 '新羅征討' 계획으로 본 古代日本의 對外方針 소장
41 8세기 중엽 발해·신라·일본의 관계 : 일본의 신라침공계획을 중심으로 소장
42 연민수, 「통일신라의 대일관계」, 한일역사쟁점논집 전근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0 미소장
43 鈴木靖民, 古代對外關係史の硏究 (동경, 吉川弘文館, 1985) 미소장
44 森公章, ‘白村江’以後 (동경, 講談社, 1998), 208-210쪽 미소장
45 李成市, 東アジアの王權と交易 (동경, 靑木書店, 1997) 등. 36) 미소장
46 濱田耕策, 「渤海國の遣日本使」, 경북사학 23, 2000 미소장
47 石井正敏, 日本渤海關係史の硏究 (동경, 吉川弘文館, 2001) 미소장
48 酒寄雅志, 渤海と古代 の日本 (동경, 校倉書店, 2001) 미소장
49 박진숙, 발해의 대일본외교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50 森公章, 「日渤關係における年期制の成立とその意義」, 2008 미소장
51 Study on the Beginning Time of Exchange between Palhae and Japan 네이버 미소장
52 연민수, 「발해ㆍ일본의 교류와 상호인식」, 고대한일교류와 상호인식 ,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자료집, 2011. 9 미소장
53 남제서 왜국전 미소장
54 양서 왜전 미소장
55 남사 왜국전 미소장
56 善隣國寶記 미소장
57 「經籍後傳記」 미소장
58 「異國牒狀記」 미소장
59 金子修一, 「唐代の國際文書」, 隋唐の國際秩序と東アジア (동경, 名著刊行會, 2001) 미소장
60 수서 왜국전 미소장
61 西嶋定生, 「6-8世紀の東アジア世界」, 岩波講座日本歷史 2(동경, 岩波書 店, 1962) 미소장
62 石母田正, 「古代史槪說」, 岩波講座日本歷史 2(동경, 岩波書店, 1962 미소장
63 石母田正, 「日本古代の國際意識について」, 思想 454, 1962 미소장
64 石母田正, 「天皇と諸蕃」, 石母田正 著作集 4권(동경, 岩波書店, 1989[초출은 1963]) 미소장
65 구당서 왜국전. 미소장
66 唐丞相曲江張先生文集 권7. 미소장
67 森公章, 「古代日本における対唐観の研究」, 古代日本の対外認識と通 交 (동경, 吉川弘文舘, 1998) 미소장
68 東野治之, 「遣唐使の朝貢年期」, 遣唐使と正倉院 (동경, 岩波書店, 1992) 미소장
69 令集解 미소장
70 고대 한ㆍ일국가와 타자인식 소장
71 이재석, 「일본 고대국가의 자화상과 타자상」, 일본역사연구 24, 2006 미소장
72 神功皇后 전설과 日本人의 對韓觀 소장
73 日本律令國家의 新羅觀의 형성과 실태 소장
74 森公章, 「 白村江」以後 (동경, 講談社, 1998), 198-199 미소장
75 다무라 엔초(田村圓澄), 古代日本の國家と佛敎 (동경, 吉川弘文館, 1999), 244-245 미소장
76 나오키 고지로(直木孝次郞), 「神功皇后傳說の成立」, 古代日本と朝鮮ㆍ中國 (동경, 講 談社, 1988), 90-98쪽 미소장
77 노중국, 「5세기 한일관계사의 성격 개관」, 왜5왕문제와 한일관계 , 경인문화사, 2005 미소장
78 나행주,「고대 한일관계에 있어서의 ‘질’의 의미」, 건대사학 8, 1993 미소장
79 나행주, 「古代朝・日関係における「質」の意味-特 に百済の「質」の派遣目的を中心として-」, 史観 134, 1996 미소장
80 백제와 일본간의 왕실외교 : 5세기를 중심으로 소장
81 百濟와 倭 왕실의 관계 : 왕실 간 혼인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82 「광개토왕비문」 미소장
83 平野邦 雄, 「倭と朝鮮三国間の外交形式」, 大化前代政治過程の研究 (동경, 吉川弘文舘, 1985) 미소장
84 新川登龜男, 「日羅間の 調(物産)の意味」, 日本歷史 481, 1988 미소장
85 新川登龜男 「新羅進調の思想像」, 日本史硏究 333, 미소장
86 중세 일본의 자기 정체성과 타자성 소장
87 石井正敏, 「 異國牒狀記 の基礎的硏究」, 中央大學文學部 紀要 54號, 200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