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중재 연구에서 과학적인 방법과 효과성이 입증된 증거 기반 교수(Evidence-Based Practice)의 필요성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쓰기 학습장애 위험아동을 대상으로 세 가지 쓰기 전략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글의 질적 향상과 양적 증가에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제가 된 전략은 자기조절 중심의 ‘주장쓴글’ 전략, 그래픽 조직자 전략, 모델 학습 전략이다. 연구결과 자기조절 중심의 ‘주장쓴글’ 전략이 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쓰기 능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전략의 효과는 장르를 달리한 글쓰기에서도 일반화되었으며, 지도 받은 후 40일이 경과한 후에도 성공적으로 유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쓰기 학습장애 위험아동에 위한 각 쓰기 전략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writing quality and quantity by comparing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writing strategies to the children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y. Different writ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Self-regulation centered ‘주장쓴글’, Graphic organizer and Study of Model strategy.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ll of three writing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effective to improv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children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self-regulation centered ‘주장쓴글’ wa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This strategy showed obvious improvement of quality(contents creation, structure, expression, formality and grammar) and quantity. Effectiveness of strategy was generalized by showing improvement of quality and quantity of writing diary which is different genre of writing from that of 1st and 2nd treatment. Maintenance evaluation was carried out 40 days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and evaluation and it showed that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DHD에 대한 유아교사와 부모의 지식과 중재 수용도 비교 황순영 pp.1-19

쓰기 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쓰기 전략의 효과 비교 : 자기조절 중심의 '주장쓴글' 전략, 그래픽조직자 전략, 모델학습 전략 중심으로 정혜승, 김소희 pp.21-52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 중재 연구 분석 서화자, 서한보미, 박현주 pp.53-80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김정은 pp.81-101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예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미아, 황순영 pp.103-122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서 드러난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생태학적 삶 특성 허유성, 나경은, 박성기 pp.123-148

학습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김자경, 정세영 pp.149-17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김은성, 김경미, 강철중, 김지훈 pp.175-193

직접교수 원리를 적용한 주인공 의도 파악하기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양정민, 김애화 pp.195-215

참고문헌 (5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ffects of Blended Learning Writing Instruction on Writing Ability and Attitude for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소장
2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with Story Grammar and Self-Evaluation Strategy on Written Expression Ability in Intermediate Graders with Writing Disabilities 소장
3 기현정 (2007). ‘신모방적 글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 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4 김길순 (2000). 과정 중심 쓰기 지도가 학습장애아의 쓰기 표현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5 Exploring an Integrated Model for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Beyond the Discrepancy and Responsiveness-to-Intervention 소장
6 김명옥 (2004). 마인드 맵 활용이 학습장애아의 읽기․쓰기 및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미소장
7 김봉진 (2001). 자기교시 훈련이 학습장애 아동의 작문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8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SRSD) Writing Instruction on Writ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소장
9 Effect of the Meaning-centered Writing Teaching Method on Meaning-expressional & Conventional Writing Ability of Primary Students with Writing Disabled 소장
10 The effects of a remedial sentence writing strategy for secondary school levels of Korean students without and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states 소장
11 Effects towards the Writ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D by a Sentence Writing Strategy 소장
12 김윤옥 (2008).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논술시험전략.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13 The Effects of Writing Self-Efficacy and Gender on Writing Performance 소장
14 배성미, 박현숙 (2002). ‘협동적 쓰기’교수가 초등 작문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청각연구, 7(2), 225-247. 미소장
15 The Effects of Writing Training with Wordprocessor and Web Mails on the Writing Ability of Children with Writing Learning disabilites 네이버 미소장
16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에 의한 쓰기표현 교수가 초등 고학년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소장
17 윤송이 (2008). 자기조정전략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8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Instruction on Writing Ability for Children with Writing Disabilities 소장
19 이선화 (2003). 자기조절전략훈련이 쓰기지체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0 Effects of Graphic Organizers on Composition Skills of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소장
21 Effects of Graphic Organizers on Composition Skills of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소장
22 이소현 (2005). 단계적 그래픽조직자 활용 프로그램이 학습부진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3 이은주 (2002). 예시문 활용을 통한 쓰기 교수-학습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4 이일수 (1996). 설명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산문 모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5 The Effects on Providing Alternative Thinking Strategy with Illustration to Increase Reading and Writing Skills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소장
26 effects of the book review activities on writ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소장
27 초등학교 학습장애 아동 및 학습부진 아동에 대한 문장작성전략의 중재 효과 네이버 미소장
28 조경은 (2000). 작문매체와 학습자의 메타인지수준이 작문의 길이와 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9 최미숙 (2006). 심상 그리기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가 초등학교 쓰기 학습장애 아동의 어휘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30 Effects of ICT with Gradational Application to Improve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소장
31 Effects of Dictated Experience Stories Program on Reading and Writing Ability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소장
32 Effects of Multimedia Learning Program on Reading and Writing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소장
33 Theoretical review about concepts and research-valid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소장
34 Bereiter, C., & Scardamalia, M. (1987). The psychology of written composition. NJ: Lawrence Eelbaum Associaters, Publishers. 미소장
35 Caplan, R., & Keech, C. (1980). Show-writing: A training program to help students be specific. Collaborative research study no. 2. Berkeley, CA: Bay Area Writing Project(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198539) 미소장
36 Teaching Writing to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s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네이버 미소장
37 Gast, D. L., & Tawney, J. W. (1984). The visual analysis of graphic data. In J. W. Tawney & D. L. Gast(EDs), Single subject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pp.142-186). Columbus: Cahres E. Merill Publishing Company. 미소장
38 Graham, S., Harris, K., MacArthur, C., & Schwartz, S. (1991). Writing and writing instruction wit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view of a program of research. Learning disabilities Quarterly, 14, 89-114. 미소장
39 Improving the Writing Performance of Young Struggling Writers: "Theoretical and Programmatic Research From the Center on Accelerating Student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40 A Meta-Analysis of Writing Instruction for Adolescent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41 Graves, A., Montague, M., & Wong, Y. (1990). The effects of procedural facilitation on the story composition of learning disabled student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5, 88-93. 미소장
42 Guiford, J. P., & Fruchter, B. (1981). Fundamental statistic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New York: Mcgrew-Hill. 미소장
43 Harris, K. R., & Graham, S. (1996). Making the writing process work: Strategies for composing and self-regulation(2nd ed.). Cambridge: BrooKline Books. 미소장
44 The simultaneous-treatment design 네이버 미소장
45 Kazdin, A. E. (1982).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s: Methods for clinical and applied setting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46 Eff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Grade, and Sex on Students' Persuasive Writing 네이버 미소장
47 Teaching writing to exceptional children: reaction and recommendations. 네이버 미소장
48 Effects of Goal Setting and Strategy Use on the Writing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Writing and Learning Problems 네이버 미소장
49 Reedy, J. E., Jr. (1964). A comparative study of two methods of teaching the organization of expository writing to ninth-grade pupi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Boston, MA. 미소장
50 Preventing Writing Difficulties: The Effects of Planning Strategy Instruction on the Writing Performance of Struggling Writers 네이버 미소장
51 Spandel, V., & Culham, R. (1996). Writing assessment.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structuring. Edited by Robert E. Blum and Judith A. Alter(1996), ASCD. 미소장
52 The Effectiveness of a Highly Explicit, Teacher-Directed Strategy Instruction Routine: Changing the Writ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