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저수지 퇴사 및 배사현상을 모의하기 위한 준정류 모형을 제시하였다. 준정류 모형은 하상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만 유동은 정상류라는 가정에 기초한다. 이것은 유동에 비해 매우 장기간에 걸쳐 하도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타당하다. 개발된 모형을 저수지 퇴사에 관한 실내실험에 적용하였다. 수치계산을 통하여 상류측에서 공급되는 유사량에 따라 하도의 수심 및 하상경사가 조정되는 것을 보였다. 수치모의에 의한 수위와 하상고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형을 저수지 배사 현상에 관한 선행 실험 조건에 적용하였다. 이 경우에는 배사를 촉진시키기 위해 실험에서 부정류를 발생시켰기 때문에 준정류 모형에 의한 모의결과가 관측자료와 잘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사공급에 따른 평형 수심과 하상경사에 관한 공식을 제시하였으며 수치실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quasi-steady model for numerical simulations of reservoir sedimentation and reservoir flushing. The quasi-steady model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low is steady with time-dependent stream morphology change. This is reasonable because stream morphology changes over a long period, while the flow changes rapidly. The proposed model is first applied to two laboratory experiments for reservoir sedimentation. The channel is shown to be adjusted to new sediment supply at the upstream by changing both the flow depth and slope. Simulated water surface and bed profiles compare favorably to measured data. The model is also applied to reservoir flushing. Good agreement between simulated and measured data is not obtained due to time variation of outflow generated to facilitate the flushing in the experiment. Finally, relationships for equilibrium flow depth and bed slope are proposed and tested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상자료를 이용한 만경강 하도변화에 관한 연구 홍일, 강준구, 여홍구 pp.127-136

식생하천의 현장자료를 이용한 조도계수 관계식 유도 이종석, Julien, P.Y., 김재훈, 이태우 pp.137-149

만곡하천의 자갈하상재료 분포에 따른 한계수류력 평가 신승숙, 박상덕, 이승규, 지민규 pp.151-163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한 동아시아 유출해석 및 평가 손경환, 이문환, 배덕효 pp.165-178

토양 오염원의 이동에 관한 연구 : 감쇠항이 있는 3차원 이송-확산 방정식의 수치모형 개발 김상준 pp.179-189

Freund 이변량 지수분포의 매개변수 추정과정 검토 박철순, 유철상 pp.191-201

도시화에 따른 물순환 영향 평가 모형의 개발 및 적용. 1, 모형 개발 김현준, 장철희, 노성진 pp.203-215

저수지 퇴배사 모의를 위한 준정류모형 최성욱, 최성욱 pp.217-227

퍼지논리를 이용한 달천의 물리서식처 모의 정상화, 장지연, 최성욱 pp.229-242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기존댐 생애주기 연장사업 및 저사댐 소개 소장
2 Experiments on upstream-migrating erosional narrowing and widening of an incisional channel caused by dam removal (DOI 10.1029/2003WR002940) 네이버 미소장
3 Validity of Uniform Flow Hypothesis in One-Dimensional Morphodynamic Models 네이버 미소장
4 Open-channel profiles by Newton's iteration technique 네이버 미소장
5 Garcia, M. (1999). Chapter 6. Sedimentation and erosion hydraulics. Hydraulic Design Handbook. (edited by L.W. Mays), McGraw Hill, NY. 미소장
6 New numerical/physical framework for mobile-bed modelling 네이버 미소장
7 Hotchkiss, R. (1989). Reservoir sedimentation and sediment sluic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Ph.D. thesi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win City, MN. 미소장
8 Shock Fitting of Aggradational Profiles Due to Backwater 네이버 미소장
9 Comparison of Coupled and Semicoupled Numerical Models for Alluvial Channels 네이버 미소장
10 Modeling of Unsteady Flows in Alluvial Streams 네이버 미소장
11 Flushing sediment through reservoirs 네이버 미소장
12 Morris, G.L., Annandale, G., and Hotchkiss, R. (2007). Chapter 12. Reservoir Sedimentation, Sedimentation Engineering(edited by M.H. Garci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Reston, VA. 미소장
13 Parker, G. (2004). 1d sediment transport morphodynamics with applications to rivers and turbidity currents, e-book. 미소장
14 Soni, J.P., Garde, R.J., and Ranga Raju, K.G. (1980). Aggradation in stream due to overloading.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106, No. 1, pp. 117-132. 미소장
15 Vreugdenhil, C.B., and de Vries, M. (1967). Computations of non-steady bedload transport by a pseudo-viscosity method. Delft Hydraulics Laboratory Publication No. 45, Delft Hydraulics Laboratory, Delft, The Netherland. 미소장
16 Reanalysis and Correction of Bed-Load Relation of Meyer-Peter and Müller Using Their Own Database 네이버 미소장